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hildren's Talent Show" at Child Care Centers

보육시설에서의 "학예발표회"에 대한 질적 분석

  • Received : 2009.12.31
  • Accepted : 2010.03.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s the children's talent show performed at child 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edagogy in order to investigate it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Two child care centers where children's talent show are opened annually were selected as a sampl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teacher, parents, and principles at the selecte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ildren's talent show played a role as a business tool for managing the child care center in terms of such functions as recruitment of new children and promotion of the institute, rather than simply being the result of demand from the children and parents. Consequently, the children and parents appear to be passive participants in the talent show by partially accepting the positive views thus generated without expressing disagreement with these views.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 general debate regarding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events at child care centers.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정(2005). 초등학생의 하루 : 초등학교 아동의 일과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1, 2, 3.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지도서 1-총론. 서울 : (주)두산.
  4. 교육인적자원부(200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11-특별한 날들.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5. 김마리(2008). 유치원 행사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김성훈(2008). 교육과정 강의. 서울 : 동문사.
  7. 김수향 . 이용주 . 이은진(2008). 보육시설 운영관리. 서울 : 동문사.
  8. 김영옥 . 진명희 . 김혜경(1995). 유치원 행사활동 계획. 서울 : 동문사.
  9. 김영천(1998). 교육학에서의 질적연구 : 정점에 오르기까지. 이용숙 . 김영천 편.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 방법과 적용. 서울 : 교육과학사.
  10. 김영천 . 조재식(2006). 질적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김영천 편. After Tyler : 교육과정 이론화 1970년-2000년. 서울 : 도서출판 문음사.
  11. 김은성(2007). 학습자들은 왜 문법학습을 꺼리는가?-문법학습 부진 요인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40, 35-72.
  12. 김은영(2006). 유치원 교사 직무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3. 김종만(1992). 어른들이 벌이는 유치한 재롱잔치. 중등우리교육, 24, 101-102.
  14. 김혜원(2005).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유아와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송재영(1998). 유치원 행사에서의 부모의 지도의식-운동회를 중심으로 한 한 . 일 비교연구 창조교육학회지, 2(1), 53-72.
  16. 서영희(2008). 표준보육과정과 생태보육과정의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7. 여성가족부(2007).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척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서울 : 여성가족부.
  18. 유혜령(2005). 아동교육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 역사와 과제. 교육인류학연구, 8(1), 57-88.
  19. 이근호(2006). 현상학과 교육과정 연구. 김영천 편. After Tyler : 교육과정 이론화 1970년-2000년. 서울 : 도서출판 문음사.
  20. 이대균 . 송정원(2005). 최신 보육시설의 운영관리. 경기 : 양서원.
  21. 이정화(2004). 고3 어머니의 모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미래교육연구, 17(2), 95-120.
  22. 임영수(1996). 한국 학력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대한 고찰. 교육학연구, 34(5), 465-486.
  23. 조염미(2004). 유치원 행사의 계획과 운영. 자격연수, 6, 91-99,
  24. 조용환(1999).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 교보문고.
  25. 조주연(2004).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 문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26. 하정연(2009). 보여주고 알리는 행사, 더불어 자라고 즐기는 잔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55-178.
  27. 한겨레신문(2008. 2. 14). 대형강당 '재롱잔치', 어린이 집 너무해. http : //www.hani.co.kr
  28. 한임순(1994). 새유아교육개론. 서울 : 동문사.
  29. 홍성임(1994). 유치원행사현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허창수(2004). 한국 교육에서의 젠더 평등과 공평 : 여성 연구에 대한 개념 확장의 필요성. 교육사회학연구, 14(2), 219-246.
  31. Carlson, D. (1992). Educational as a political issue: What's missing in the public conversation about education? In J. Kincheloe & S. Steinberg (Eds.), thirteen questions (pp.263-274). New York: Peter Lang.
  32. Guba, E., & Lincoln, Y.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 Press.
  33. Pinar, W. F., Reynolds, W. M., Slattery, P., & Taubman, P. M. (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An introd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 New York : Peter Lang.
  34. Spradley, J. P. (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Participant observation](이희봉 역).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1980년 원저 발간).
  35. Walker, D. (1992). Methodological issues in curriculum research. In P. Jack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98-118). New Yorks : Macmillan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