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현정(2005). 초등학생의 하루 : 초등학교 아동의 일과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1, 2, 3.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지도서 1-총론. 서울 : (주)두산.
- 교육인적자원부(200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11-특별한 날들.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 김마리(2008). 유치원 행사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김성훈(2008). 교육과정 강의. 서울 : 동문사.
- 김수향 . 이용주 . 이은진(2008). 보육시설 운영관리. 서울 : 동문사.
- 김영옥 . 진명희 . 김혜경(1995). 유치원 행사활동 계획. 서울 : 동문사.
- 김영천(1998). 교육학에서의 질적연구 : 정점에 오르기까지. 이용숙 . 김영천 편.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 방법과 적용. 서울 : 교육과학사.
- 김영천 . 조재식(2006). 질적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김영천 편. After Tyler : 교육과정 이론화 1970년-2000년. 서울 : 도서출판 문음사.
- 김은성(2007). 학습자들은 왜 문법학습을 꺼리는가?-문법학습 부진 요인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40, 35-72.
- 김은영(2006). 유치원 교사 직무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김종만(1992). 어른들이 벌이는 유치한 재롱잔치. 중등우리교육, 24, 101-102.
- 김혜원(2005).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유아와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송재영(1998). 유치원 행사에서의 부모의 지도의식-운동회를 중심으로 한 한 . 일 비교연구 창조교육학회지, 2(1), 53-72.
- 서영희(2008). 표준보육과정과 생태보육과정의 운영 실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여성가족부(2007).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척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서울 : 여성가족부.
- 유혜령(2005). 아동교육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 역사와 과제. 교육인류학연구, 8(1), 57-88.
- 이근호(2006). 현상학과 교육과정 연구. 김영천 편. After Tyler : 교육과정 이론화 1970년-2000년. 서울 : 도서출판 문음사.
- 이대균 . 송정원(2005). 최신 보육시설의 운영관리. 경기 : 양서원.
- 이정화(2004). 고3 어머니의 모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미래교육연구, 17(2), 95-120.
- 임영수(1996). 한국 학력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대한 고찰. 교육학연구, 34(5), 465-486.
- 조염미(2004). 유치원 행사의 계획과 운영. 자격연수, 6, 91-99,
- 조용환(1999).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 교보문고.
- 조주연(2004).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 문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 하정연(2009). 보여주고 알리는 행사, 더불어 자라고 즐기는 잔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55-178.
- 한겨레신문(2008. 2. 14). 대형강당 '재롱잔치', 어린이 집 너무해. http : //www.hani.co.kr
- 한임순(1994). 새유아교육개론. 서울 : 동문사.
- 홍성임(1994). 유치원행사현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허창수(2004). 한국 교육에서의 젠더 평등과 공평 : 여성 연구에 대한 개념 확장의 필요성. 교육사회학연구, 14(2), 219-246.
- Carlson, D. (1992). Educational as a political issue: What's missing in the public conversation about education? In J. Kincheloe & S. Steinberg (Eds.), thirteen questions (pp.263-274). New York: Peter Lang.
- Guba, E., & Lincoln, Y.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 Press.
- Pinar, W. F., Reynolds, W. M., Slattery, P., & Taubman, P. M. (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An introd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 New York : Peter Lang.
- Spradley, J. P. (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Participant observation](이희봉 역).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1980년 원저 발간).
- Walker, D. (1992). Methodological issues in curriculum research. In P. Jack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pp.98-118). New Yorks : Macmillan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