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교수 공편. 본초학. 서울, 영림사 pp.198-9, 2004.
- 이덕재.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on the murine mode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김영동. Effects of lactobacillus fermented flos lonicerae on the murine mode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서성숙, 정승기. 발효 금은화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에 대한 저해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0(3):465-80, 2009.
- 정희재, 박성규, 정승기, 이형구. 금은화와 백작약이 BEAS-2B 인간 기관지상피세포의 Cytokines mRNA level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24(3):145-54, 2003.
- 정광진, 정승기, 이형구, 정희재. 금은화(金銀花)가 천식(喘息)유발 cytokine 분비와 호산구 chemotax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6(1):129-42, 2005.
- 이재성,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금은화(金銀花)가 Bleomycin에 의한 폐섬유화(肺纖維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1):71-80, 2004.
- Derendorf H, Nave R, Drollmann A, Cerasoli F, Wurst W. Relevance of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inhaled corticosteroids to asthma. Eur Respir J. 28(5):1042-50, 2006. https://doi.org/10.1183/09031936.00074905
- 이상철. LPS 유도 생쥐 관절염에서 금은화의 MIF 활성 조절이 COX-2와 MMP-9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최형준. 급성코카인 투여로 인해 유도된 보행성 활동량과 c-Fos발현에 대한 금은화의 효과. 대구한의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이주호. 금은화 Cationic Bovine Serum Albumin 투여로 유발된 Membranous Nephropathy Mouse Model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박혜진, 김기석. 금은화의 약리 및 독성학적 특성. 계명대학교자연과학연구논집. 27(2):97-104, 2009.
- 최성희. 한방꽃차로서의 말린 괴화와 금은화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차학회지 15(2):93-8, 2009.
- 오경임. 안압상승으로 유도된 망막허혈모델에서 금은화 추출물의 효과와 세포조직학적 연구. 순천향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동석. Cyclooxygenase mRNA 발현에 대한 금은화의 효능 연구. 경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김근영. 금은화로부터의 분리 성분이 shear stress에 의한 혈소판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채기원. 금은화의 항염작용과 파골세포 형성 억제효과.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김재우. 금은화의 Benzo[a]pyrene 유발 간손상에 대한 간세포 보호효과.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유성광, 전주은, 강경원, 강삼식, 신종헌. HPLC-DAD-MS/MS를 이용한 금은화 생리활성 물질의 동시분석. 약학회지, 52(6):446-51, 2008.
- 현미란, 박효진, 서근영, 박영현.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연구. 순천향자연과학연구, 14(2):163-7, 2008.
- 정사무엘, 송현파, 최준호, 김빛나, 신명호, 이봉덕, 조철훈. 금은화, 황련, 상엽 추출물 혼합물과 항생제(Albac G150) 급여가 계육의 산화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5(1):29-37, 2008.
- 한충택, 장호송, 강상철, 길기현, 공광한, 김도형, 안태환, 배진숙, 고현규, 한명규, 김학수. 금은화(Flos Lonicerae) 추출물의 Fischer 344/N 랫드를 이용한 90일간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대한수의학회지, 48(4):401-11, 2008.
- 이정노, 정승일, 장선일. 수용성 금은화 추출물이 Trimellitic Anhydride 유도 마우스 접촉성 과민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3(2):51-8, 2008.
- 윤용갑, 김민규, 이성준, 유승훈, 장선일. 금은화 수용성 추출물의 LPS 유도 염증매개물 억제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2(3):117-25, 2007.
- 김승훈, 김은주, 김지은, 남혜성, 김연준, 정현미, 남개원, 안성연, 이해광, 문성준, 양웅모. 현삼(玄蔘), 백복령(白茯笭), 금은화(金銀花), 마치현(馬齒莧), 백과엽(白果葉)을 함유하는 한방화장품이 인체 피부의 보습 및 청열 효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2(2):45-50, 2007.
- 한재섭, 박희수. 금은화약침의 항암 및 면역반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3(4):205-18, 2006.
- 김상찬, 이재령, 최경임, 박숙자, 권영규, 변성희. 금은화 화장수가 DNCB로 유발된 접촉성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1(1):9-15, 2006.
- 박희수. 금은화 약침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2(5):91-7, 2005.
-
서상철, 조성길, 홍주헌, 최용희. 초임계유체
$CO_2$ 및 co-solvent 첨가에 따른 금은화(Lonicera flos)의 flavonoid류 추출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7(2):183-8, 2005. - 배지현, 김미순, 강은혜.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7(4):642-7, 2005.
- 이동언, 이재령, 김영우, 권영규, 변성희, 신상우, 서성일, 권택규, 변준석, 김상찬. 금은화(金銀花) 및 금은화전초(金銀花全草)가 Raw 264.7 cell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 iNOS, COX-2 및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2):481-9, 2005.
- 전미숙. 프로테아제 활성수용체-2를 매개로한 발바닥 부종에 대한 금은화의 항염증 효과. 원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Kang OH, Choi YA, Park HJ, Lee JY, Kim DK, Choi SCh, Kim TH, Nah YH, Yun KJ, Choi SJ, Kim YH, Bae KH, Lee Y. Inhibition of trypsin-induced mast cell activation by water fraction of flowers of Lonicera japonic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7(11):1141-6, 2004. https://doi.org/10.1007/BF02975120
- 김희수. 금은화의 항류마티즘 효능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곽의종, 한창균, 장현욱, 김현표, 강삼식, 손건호. 금은화에서 분리한 항염증 사포닌, 로니세로사이드 C.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13:233-5, 2003.
- 박선관, 최병기, 이은방.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금은화의 작용. 응용약물학회지, 10(1):32-6, 2002.
- 홍석진, 최유진, 임희순, 손재범, 정성숙. 금은화와 포공영추출물이 첨가된 치약의 치면세균막 및 치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5(4):347-55, 2001.
- 서정민. 금은화의 외부 및 내부형태 규격 연구. 우석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이정현. 접촉성 피부염에서 황련, 황련해독탕, 금은화가 림프구 활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나민균, 하티탄훵. 안인파, 이상명, 김영호, 이종필, 성락선, 이경순, 배기환. 금은화의 품질 평가. 생약학회지, 12(2):340-4, 2000.
- 최병기. Paraquat 유도독성에 대한 금은화 엑스의 효과(IV). 한국환경독성학회지, 15(1-2):7-12,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