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umer Satisfaction Model for Cyber Learning: Focused on Expectation-disconfirmation Paradigm

가상강의에 대한 소비자만족모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 유현정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 Received : 2009.12.17
  • Accepted : 2010.02.2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measured college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cyber learning through an online survey of students who had taken one or more cyber learning before. 500 returned and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SPSS WIN 12.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ir cyber learning. Their decision to take the cyber learning was initiated more by emotional motives (m=3.13) than by rational motives (m=3.35). Secon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the 'Expectation for service quality' and the 'Expectation for economy,' and their 'Expectation for economy'(m=4.02) was higher than their 'Expectations for service quality'(m=3.60). Third, the consumers' expectations for the cyber learning and the results of the cyber learning were analyzed, and a discrepancy between these two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of discrepancy between the two showed that the average of the resul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pectations, which means that the cyber learning did not meet the consumers' expectations in every aspect, However,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was 3.20, which means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cyber learning overall. Fourth, cause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were divided into internal factors due to personal matters and external factors due to classes and other factors. It was found that dissatisfaction due to internal factors was greater than that due to external factors. Lastly,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nd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e for its use affected the formation of expectat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cyber learning affected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positively. However, the effect of dissatisfaction on the willingness to use it agai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Keywords

References

  1. 강대범, 강규영. (2002). 인터넷상의 동영상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컨텐츠 보호, 과금/결제 통합 솔루션 개발. 추계학술대회논문집. 470-476.
  2. 강석후. (1994). 서비스 질의 측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연구, 6, 267-291.
  3. 강현화, 김미경, 김혜경. (2003). 사이버강의에 대한 재학생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학생생활연구, 8, 71-105.
  4. 김선태. (2008). 전문계고 교수-학습 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습자 주도형 e-Learning 콘텐츠 모델개발 및 적용연구-공업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1), 44-66.
  5. 김정재, 박재표, 전문석. (2005). 동영상 데이터 보호를 위한 공유 키 풀기반의 DRM 시스템. 정보처리학회지, 12(2), 183-190.
  6. 김정태, 최재웅, 이영호. (2005). IT정책과 전자정부; DRM기반 인덱스 동영상관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62-169.
  7. 박길영. (2001). 인터넷을 활용한 회계학 가상강의의 교육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14(1), 383-395.
  8. 박성익, 윤순경. (2000). 가상강의의 운영실태와 효과분석-S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6(2), 19-35.
  9. 배창석, 최윤식. (2003). 정보은닉을 이용한 동영상데이터의 전송오류 보정. 한국정보처리학회지, 10(2), 189-196.
  10. 선복군, 한광록. (2005), 온라인교육을 위한 동영상과 가상 현실 데이터의 동기화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지, 8(3), 389-397.
  11. 송유진. (2008). 서울.상해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식품소비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손경아, 이정은. (2007). 대학교육에서의 이러닝 운영절차 개발 및 적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1), 75-98.
  13. 신동환, 유세근, 최종욱. (2004). Portable Device 환경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구현. 정보처리학회지, 11(6), 128-134.
  14. 안광호, 하영원, 박흥수. (2006). 마케팅원론(3판). 학현사.
  15. 안상희. (2001), 사이버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준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엄명용, 김태웅. (2006).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5(1), 51-80.
  17. 유지연. (2001).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 13(6), 28-50.
  18. 유현정, 김기옥. (2001). 쇼핑몰 유형별 인터넷 쇼핑에 대한 소비자 만족모델. 소비자학연구, 12(4), 223-255.
  19. 유환희, 최경호, 구흥대. (2004). 동영상 자료 구조화에 의한 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2(4), 69-74.
  20. 이건창, 정남호. (2004). 가상교육에 있어서 매체의 차이에 따로 학습자 태도 비교 : 인터넷과 TV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45-53.
  21. 이만재, 이상선. (2002). 멀티미디어교과서. 안그라픽스.
  22. 이명근. (2000). 사이버 교육의 기능성 제고방안. 연세교육과학 제48집, 43-54.
  23. 이정선. (2008).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러닝 이용동기와 충족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9호, 155-193.
  24.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4). 소비자행동(제3판). 법문사.
  25. 이혜정, 홍영일, 손지영. (2007). Blended e-Learning 환경에서 학생 간 온라인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 만족도, 학습자가 인지하는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3), 131-157.
  26. 임동현. (2003). 사이버교육에서의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주영주, 김나영, 심우진, 김지연. (2008).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동기 측정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기업교육연구, 10(1), 47-64.
  28. 최석신, 이광배. (2000). 한국산 수입품에 대한 일본 소비자의 만족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3(3), 153-168.
  29. 최용준, 김종근. (2004). 인터넷 기반 가상교육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강의 컨텐츠 저작과 전송.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6(4), 68-77.
  30. 황재연, 최명숙. (2006). 교원 원격연수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255-274.
  31. Bearden, W. O., & Teel, J. E. (1983). Selected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complaint repor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0(1), 21-28. https://doi.org/10.2307/3151408
  32. Moore, M. G., & Kearsley, G. (1996). Distance Education : A System View. Belmont, Cal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
  33. Oliver, R. L., & Desarbo, W. S. (1988), Response determinants in satisfaction judge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4), 495-507. https://doi.org/10.1086/209131
  34. Oliver, R. L.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 Journal of Retailing, 57(3), 25-48.
  35. Tse, D. K., & Wilton, P. C. (1988).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an exten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204-212. https://doi.org/10.2307/3172652
  36. Yi, Y. J. (1990). A Critical Review of Consumer Satisfaction, In Zeithaml, V. A.(Eds), Review of Marketing (pp. 68-123). Chicago, Illinoi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