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scussion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Model and Important Factors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 Cha, Sung-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Received : 2010.01.08
  • Accepted : 2010.03.1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A law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was legislated in December 2007. According to the law, projects for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consisted of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a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a family-friendly culture.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developing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rough projects such as those advocating for flexible work hours, an employee support system, and child care and a family care support system. However, in terms of a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re was no noticeable advancement.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vitalize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in terms of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family-friendly village could be structured on the three axes of time, space, and relation. The model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motivation, systematization, and participating & practicing. In the motivation step, integration, community, and sustainability were needed as basic ideologies for a family-friendly village. In the systematization step,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s for residents taking on leadership and activist roles was stressed. In the participating & practicing step, many ways to facilitat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starting the project from matters of common interests, making the resolution of families' problems a communal task of the residents, accepting the opinions of various groups associated with the matter, and taking a differentiated project proces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family-friendly village should be taken as a common functional scheme in everyone of eight livable village models because a key factor in a family-friendly village, family care, serves an essential function in any livable village model.

Keywords

References

  1. 강인남(2004). 희망을 나누며 하나되는 우리 동네 서울시 관악구 임대아파트 마을만들기 사례. 국토연구원. 국토, 273, 119-123.
  2. 강지원(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6:안전한 거리조성, 주민 모두 한마음-부천시 고강본동 '차없는 거리 조성사업'. 국토연구원. 국토, 273, 105-111.
  3. 강찬호(2004). 광명시의 마을만들기는 '현재 진행형'. 국토연구원. 국토, 269, 120-125.
  4. 광주 YWCA 좋은동네만드는사람들(엮음)(2001). 좋은동네 만들기:왜 공동체인가?. 광주:새날출판사.
  5. 구자인(2007). 기획특집:살기좋은 지역만들기;주민주도 상향식의 농촌마을만들기-전라북도 진안군의 경험.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84(0), 55-68.
  6. 김경화(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7:자연과 사람의 상생전략 실현중-경남 산청군 안솔기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72, 101-105.
  7. 김경희(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9: 맹산에서 꽃핀 지역사랑 환경사랑-성남시 분당구 '맹산 반딧불이 자연학교' 사례. 국토연구원. 국토, 274, 140-145.
  8. 김미영(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3:우리가 꿈꾸는 녹색마을, 우리 손으로 만들어요-고양시 일산구 후곡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68, 124-127.
  9. 김선기 . 이소영(2007). 주민주도형 지역 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0. 김성훈(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4:주민과 함께 일군 "우리병원"-대전민들레의료생협. 국토연구원. 국토, 259, 116-121.
  11. 김은희(2005). 살기좋은 우리동네 43: 나, 너 그리고 우리가 함께 만드는 살기좋은 동네. 국토연구원, 국토, 279, 122-127.
  12. 김종경(2002).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한 작은 실험-춘천시 우두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49, 56-60.
  13. 다무라 아키라, 강혜정 옮김(2005). 마을만들기의 발상. 한림신서, 일본학 총서 81. 서울: 도서출판 소화.
  14. 류중석 . 송미령 . 이성은 . 이왕건 . 이재준(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건설교통부 . 행정자치부 . 농림부.
  15. 마상열(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세부추진전략 수립. 경남발전연구원.
  16. 마이어, J. 외 지음. 박영한 . 안영진 옮김(1998). 사회지리학. 법문사.
  17. 박영숙(2003). 작은 도서관에서 마을 공동체 문화를 일구는 사람들. 국토연구원. 국토, 260, 132-137.
  18. 박종숙(2001 a). 살기좋은 우리동네 1: 내집 마당에서 골목으로, 동네로, 지역으로-대구 삼덕동 골목공동체. 국토연구원. 국토, 236, 104-108.
  19. 박종숙(2001 b). 살기좋은 우리동네 2: 부족한 문화시설, 우리 스스로 만들어요. 국토연구원. 국토, 237, 111-115.
  20. 박종숙(2001 c). 살기좋은 우리동네 3: 공간을 디자인하는 주민들-서울시 동작구 사당 3돈 양지공원-국토연구원. 국토, 238, 89-93.
  21. 서철모(2009).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시범사업 우수사례. 자치발전, 15(2), 40-46.
  22. 송혜림(2006).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 개발의 가능성-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18.
  23. 여성가족부(2006). 지역단위 '가족친화형' 마을 조성한다. 보도자료. 여성가족부.
  24. 우윤석(2008).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수원:경기도 인재개발원.
  25. 유계숙(2008 a).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37.
  26. 유계숙(2008 b).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징.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249-270.
  27. 유계숙 . 전혜정(2007). 가족친화기업 인증제 도입을 위한 지표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5(9), 113-130.
  28. 유계숙. 장혜경 . 전혜정 . 김윤정 . 민성혜 . 박은미 . 안재희 . 장보현 . 한지숙(2008). 가족정책론. 서울:시그마프레스.
  29. 유홍번(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7:시민단체 . 행정 . 주민이 함께 한 안산마을만들기운동. 국토연구원. 국토, 262, 92-100.
  30. 이명규(2006). 한국의 살기좋은 도시만들기 사례.
  31. 이세인 . 이숙현 . 권영인(2007). 가족의 지원 및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가 사무직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9-57.
  32. 장희정 . 이기숙(2008).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기혼 남성의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4), 103-121.
  33. 정민자(2006). 지역사회네트워크와 건강가정사업. 제 3기 건강 가정사 양성교육 자료집, 391-412.
  34. 정영금(2002). 여성인적자원의 활용을 위한 가족친화적 정책의 적용.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0(11), 107-118.
  35. 정의춘(2007). 마을만들기 운동의 지속화를 위한 광주시의 동 단위 네트워크 구성과 주민교육 사례. 도시와 빈곤, 84호, 47-54.
  36. 조득환, 임성호(2003). 대구시 담장허물기운동의 확대방안. 대구경북개발연구원.
  37. 조재성(1996). 현대 근린주구이론의 개척자 페리 . 스타인 . 라이트. 국토연구원. 국토, 176, 80-87.
  38. 차미숙(2007). 살기좋은 도시의 측정지표와 적용: 미국 331개 도시권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국토, 303, 96-108.
  39. 차성란(200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동육아품앗이 실천사례.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0. 최병두(2006). 살기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공동체 복원방안. 지리학 연구, 4(4), 513-528.
  41. 최봉익(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9: 좋은 동네는 좋은 가정에서 출발합니다-광주 YMCA 좋은동네만드는사람들. 국토연구원. 국토, 244호, 57-63.
  42. 최성일 . 유계숙(2006). 일-가족 조화를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 정책의 발달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51-73.
  43. 최성일 . 유계숙 (2007).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이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 인적자원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경로모형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26.
  44. 최시영(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1: 오고 싶고, 머물고 싶고, 살고 싶은 녹색마을 만들기 - 충북 청주시 용암동. 국토연구원. 국토, 256, 102-108.
  45. 한지숙 . 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46. 행정자치부(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모델 유형화 및 공모방안 수립연구. 행정자치부.
  47. 행정자치부(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성공매뉴얼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행정자치부.
  48. 한표환(2007). 특집: "살기좋은지역만들기 전망과 과제;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의 총괄소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56(639), 16-25.
  49. 홍승아 . 김혜영 . 류연규 . 소마나오코 . 조순주 . 진미정(2007).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모형개발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0. 가족친화지수 웹시스템. http://ffi.mw.go.kr
  51. 법률지식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
  52. 이데일리(2009). 심각한 저출산 200년후 50만명 초미니국가. 2009.10.13.
  53. http://www.edaily.co.kr/News/Economy/NewsRead.asp?sub_cd=IB11&newsid=01984406589852592&clkcode=00203&DirCode=00302&OutLnkChk=Y
  54. 통계청(2009). 한국의 사회동향 2009. 보도자료. http://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