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lec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of Amenities

국토 어메니티 평가지표 개발

  • Lee, Jae-Joon (Dep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Hyupsung University) ;
  • Choi, Seok-Hwan (Dep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Kim, Sun-Hee (Center for Territorial Policy & Green Growth,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Received : 2009.10.20
  • Accepted : 2010.04.0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rst, classify the approach system of utilizing national and local amenities into three groups: evaluation of the level of the amenity, evaluation of the value of amenity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Secondly, the study aims to derive an evaluation index which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approach system. As for a strategy of utilizing amenities, the self-diagnosi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level of local amenities is required. In this study, three sectors, ten items and 43 detailed items have been derived though specialists, FGIs(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cases within and outside of the country. In the survey with specialists, a unit-space key index which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unit-space characteristics(such as urban and rural area, fishing villages, mountain villages, and littoral areas), environmental area, important index and optional index have been derived. As for the evaluation index which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ypical local amenities resources, 14 detailed evaluation indexes from three sectors have been derived. These have been classified again into six key indexes, six important indexes and two optional indexes. In the evaluation index of amenity resources, natural and environmental value-such as ecological value of preservation, uniqueness of aesthetic landscape and ecological value of restoration-historic and cultural value of preservation and individuality of the resources, and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are derived as being important. As for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15 items from three sectors-such as reservation, restoration, intentional use, and industrial use-have been derived. Also, through a survey with specialists, key indexes and important indexes were derived by unit-space. As a result, in urban areas, seven items-including creative development of space, aesthetic landscape control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have been derived as key indexes; in rural areas, mountain villages, fishing villages and littoral areas, eight items-including brand of region, brand of the products, and brand of tourism resources-have been derived. In environmental areas, six items-including 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 and restoration of ecosystem-have been derived. Indexe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order to establish a strategy for amenity plans and an implementation strategy, but can be readjusted, allowing for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thus, advisable that local governments selectively utilize index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r newly develop them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regional amenities.

본 연구는 국토 및 지역에서의 어메니티를 활용한 접근체계를 크게 '어메니티 수준평가', '어메니티 자원 가치평가' '어메니티 자원 활용방안'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접근체계에 따라 필요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어메니티를 활용한 전략은 먼저 지역의 어메니티 수준을 평가하여 자가진단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전문가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통해 3개 부문 10개 중항목 42개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지역, 농 산촌지역, 어촌 연안지역, 환경지역 등 공간단위별로 특성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단위별 핵심지표와 중요지표, 선택적 활용지표를 도출하였다. 지역의 대표적인 어메니티 자원을 발굴하기 위한 가치평가지표는 문헌조사 및 전문가 FGI를 통해 3개 부문 14개 세부 평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6개 핵심지표, 6개 중요지표, 2개 선택적 활용지표로 구분하였 다. 어메니티 자원 가치평가지표는 '생태적 보존가치', '자연 경관의 독특함', '생태적 복원가치' 등 자연환경적 가치와 '역사 문화적 보존가치', '자원의 개성', '미적 가치' 등의 문화적 가치가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어메니티 자원 활용 방안은 기존 사례를 바탕으로 '보전 복원', '계획적 이용', '산업적 이용' 등 3개 부문 1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공간단위별로 핵심지표와 중요지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도시지역에서는 '창조 적 공간개발화'와 '경관관리', '문화컨텐츠화' 등의 7개 항목이 핵심지표로 도출되었으며, 농 산촌지역과 어촌 연안지역 에서는 '지역브랜드화', '상품브랜드화', '관광자원화' 등의 8개 항목이 핵심지표로 도출되었다. 또한 환경지역에서는 '자연 자원보전', '역사 문화자원 보전', '자연생태계 복원' 등의 6개 항목이 핵심지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들은 지역의 어메니티 계획과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나, 지역이 가지는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재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자체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관련 지표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활용하거나, 새로이 개발하여 지역의 어메니티를 최대한 활용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1995) 경기도 쾌적환경평가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수원: 경기개발연구원.
  2. 경기개발연구원(1998a) 수원시 어메니티 플랜. 수원시 보고서.
  3. 경기개발연구원(1998b) 안양시 어메니티 플랜. 안양시 보고서.
  4. 국토연구원(2007) 미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국토 어메니티 발굴과 창출전략 연구. 얀양: 국토연구원.
  5. 권용우, 이재준, 김세용(2001) 도시쾌적성을 위한 어메니티플랜 계획지표의 개발. 국토지리학회 지리학연구 35(4): 351-361.
  6. 김광웅(1977) 사회과학연구방법론. 서울: 박영사.
  7. 김병국(1989) 도시생활환경지표와 측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승환, 변문기(1991)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 어메니티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01-115.
  9. 농림부(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농림부 보고서.
  10. 박두희(1996) 경제 및 어메니티 수준에 의한 한국의 지역격차연구. 경영경제연구 97(3): 151-181.
  11. 부산시(1995) 부산 어메니티 플랜. 부산시 보고서.
  12. 서천군(2005) 어메니티서천 만들기 종합계획. 서천군 보고서.
  13. 유상오, 김선원, 허준(2001) 생태마을건설에 있어 지역자원을 활용한 기본전략구상.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14(1): 107-134.
  14. 윤희정(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41(2): 93-105.
  15. 이왕기(1996) 아파트가격에 내재한 경관조망 가치의 측정 및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재준(1998)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어메니티 평가 및 계획적 함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재준(2007) 지역개발수단으로서 도시브랜드 개발 방안.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42(460): 12-21.
  18. 이재준, 황기원(1998) 계획원리로서의 어메니티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3(5): 17-33.
  19. 전영옥(2003) 어메니티가 도시경쟁력이다.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 정휘, 이상문(2007) 산업화 측면에서의 농촌어메니티자원의 활용성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4): 157-169.
  21. 정남수(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농촌계획 11(4): 9-15.
  22. 제상우(1994) 도시근린공원의 어메니티 편익 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한국지방행정연구원(1995) 도시지표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황기원(1994) 도시어메니티 서울21세기 구상 제11차 워크숍.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44.
  25. 황기원(1995) 도시의 정체성과 쾌적성. 한국조경학회 학술세미나.
  26. 金承煥(1986) 自然環境保全に關すゐ韓國と日本の比較硏究. 筑波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7. 束京都(1986) 도민의식에 기초한 쾌적환경 지표의 작성조사보고서. 日本 東京都.
  28. 李東根(1993) 주민의식에 기초한 지역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동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越谷市(1993) 越谷市 ェコトビア計劃. 日本 越谷市.
  30. 酒井憲一(1998) 환경을 넘어서는 실천사상 어메니티. 서울: 따님.
  31. 進土五十八(1992) アメニティ デザイン. 東京: 學藝出版社.
  32. Allison, T. (1991) Socioeconomic Assessment Guidance Report: Determining the Effects of Amenity Characteristics on Business Location Decisions. Work sponsored b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Office of Civilia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p. 3-6.
  33. Dennis, Shultz S.(1993) Open Space Amenities. Land Uses, and Property Values in Tucson: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Improve Hedonic Models(Arizona). The University of Arizona. the Degree of Ph D.
  34. Emmanuel, A.(1993) Master Planning, Amenities, and Property Values: Interactions in North Suburban Dallas(Housing, Dallas).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the Degree of Ph. D.
  35. Noble, Benjamin. (1994) Do Consumers Anticipate Changes in Environmental Amenitie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University of Washington. the Degree of Ph. D.
  36. OECD(1994) The Contribution of Amenities to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37. OECD(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