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 시 Filter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n the Usefulness of Filter in Sentinel Lymphoscintigraphy Using $^{99m}Tc$-Phytate

  • Jeong, Yeong-Hwa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1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eo, Han-Ky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1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him, Cheol-M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1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im, Seong-D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1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Han, Dong-Hyeon (Department of Radiotechnology, Seohae College) ;
  • Park, Yung-Sun (Department of Radiotechnology, Seohae College) ;
  • Kim, Dong-Yun (Department of Radiotechnology, Seohae College)
  • 투고 : 2010.04.20
  • 심사 : 2010.04.30
  • 발행 : 2010.06.05

초록

감시림프절 검사에는 $^{99m}Tc$-ASC, $^{99m}Tc$-Tin colloid, $^{99m}Tc$-HSA 등이 사용되었으나 공급 제한으로 간 스캔에 사용되고 있는 $^{99m}Tc$-phytate를 대체 방사성의약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phytate의 입자 크기 분포를 알아보고 200 nm 필터 사용유무에 따른 영상을 획득 분석하여 감시림프절 검사 시 필터 사용의 적절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Photal사의 ELS-8000 장비를 이용하여 phytate kit의 입자크기 분포를 측정 하였다. 동물 실험은 생후 12~15주령, 체중 250~300 g 암컷 백서를 사용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앙와 위로 고정시켜 영상을 획득하였다. 비교군으로 여과시키지 않은 $^{99m}Tc$-phytate를 실험군으로는 200 n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99m}Tc$-phytate를 백서의 발가락 사이에 피하주사 하였다. 6마리의 백서를 3~4일 간격으로 비교군과 대조군으로 그룹을 나누어 2회씩 실시 하였으며, 주사 후 1시간 지연영상을 얻은 후 서혜부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였으며 비정상적인 집적이 없는 부위를 선별하여 픽셀당 카운트를 얻었다. 세포 실험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비교군과 실험군에 $^{99m}Tc$-phytate를 넣어주고 30분 동안 배양시켜 감마카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분 당 카운트 값을 측정하였다. 이 값들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검정하였다. Phytate를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측정 결과 평균 직경은 130~650 nm가 $85{\pm}5%$ 정도였으나 200 n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의 입자 크기는 용매 내 phytate 입자의 농도가 너무 낮아 측정할 수 없었다. 획득한 영상을 분석한 결과 비교군에서는 $60.2{\pm}4.88$ count/pixel, 실험군에서는 $58.3{\pm}5.97$ count/pixel 값을 보였다. 세포 실험에서 실험군의 카운트 값은 $17,152{\pm}1,165$ cpm이고 비교군은 $16,908{\pm}1,075$ cpm을 보였다. 동물 실험과 마찬가지로 세포 실험에서도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phytate의 사이즈가 매우 분산적이며 균일하지 못 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동물 실험과 세포실험을 통한 필터 사용의 적절성을 판단한 결과 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에서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in phytate kit and compare filtered method with non-filtered method using 200 nm filter for sentinel lymphoscintigraphy (SLS). Materials and Methods: Five phytate kit of having the same available period was measured by particle size analyzer. For in-vivo experiment, $^{99m}Tc$-phytate was injected intradermally at both foot to perform lymphoscintigraphy. Imaging was acquired at 1hour after injection. Region of interest (ROI) was drawn in inguinal and background area for analysis. RAW 264.7 cells (Murine macrophage cell) were prepared for measurement of celluar uptake as a representative of macrophages. 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SPSS Inc, USA)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size of most particle in Techne phytate kit was distributed in 130~650 nm(90.5 %). In-vivo study, the ROI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 between filtered and non-filtered sample, and the numerical value of count/pixel were $58.3{\pm}5.97$ and $60.2{\pm}4.88$. In-vitro study, cellular uptake study also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iltered and non-filtered sample by gamma counting.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was no meaning of 200 nm filtered method for SLS using $^{99m}Tc$-phytat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