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system Configuration and its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산업 구성 및 구조

  • Received : 2009.12.30
  • Accepted : 2010.04.13
  • Published : 2010.04.28

Abstract

The cultural contents are a field that originally has a cycle ranged from producers of various contents and distribution consumption. The various object elements composing of an ecosystem of cultural contents in this cycle, and the search of harmonious relations between these object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The ecological approach on the cultural contents field is not being tried authentically until now, in spite of the expansion of interest and usefulness from its application at present, so there is no detailed discussion on the inside of an ecosystem and its action such as confirmation of object elements composing of the ecosystem, interaction principles between objects and object development, principles of co-evolution, etc. achieving common development of all objects composing of the ecosystem.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confirm object elements composing of the ecosystem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an ecosystem model that has been researched in several fields of the ecosystem and social science, and to seek interaction between objects and each object as well as a development direction of a total ecosystem.

문화콘텐츠는 본래 다양한 콘텐츠 생산자와 유통 소비에 이르는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사이클 안에는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개체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개체들 간의 조화로운 관계의 모색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문화콘텐츠분야에 대한 생태계적 관점의 접근은 최근 관심의 확대는 물론 관점 적용에서 오는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않은 분야이며, 따라서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요소의 미확인은 물론 개체간의 상호 작용 원리, 개체별 발전 방안,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개체의 공통적 발전을 이루는 공진화의 원리 등 생태계 내부 및 그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없는 상태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와 사회과학의 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생태계 모델을 통해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요소의 확인, 그리고 각 개체들간의 상호 작용 및 개체 각각은 물론 전체 생태계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민, 콘텐츠산업진흥을 위한 정책과제, 삼성경제연구소, 2008.
  2. 구문모, "창조산업의 경제적 기여와 서울시의 정 책적 함의",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4호, 2005.
  3. 김선빈, 대한민국 정책지식 생태계, 삼성경제연구소, 2007.
  4.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3.
  5. 박경숙, 이철우, "대구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사슬 체계와 경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3 권, 제2호, pp171-186, 2007.
  6. 박정수, 문화콘텐츠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 산업연구원, 2007.
  7. 방송위원회,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융합과 포털의 차세대 미디어전략 분석, 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7.
  8. 옥성수, '문화콘텐츠기업 창업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9.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2007.
  10. 유영만, 지식생태학, 삼성경제연구소, 2006.
  11. 이수상, "정보생태계의 관점에서 본 도서관 2.0 서비스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 2호 pp.29-49, 2008.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029
  12. 이재영, 디지털 컨버전스 하에서의 콘텐츠산업 발전과 공정경쟁이슈 ; 시장봉쇄 이론 및 사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13. 이호영, 박현주, 음수연, 디지털시대의 문화수용 방식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14. 이호영, 정은희, 이장혁, 웹2.0시대 디지털 콘텐 츠의 사회적 확산 경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15. 정재훤, 전문가 커뮤니티 내에서의 지식기여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지식생태계 관점으로, 한국과학기술원, 2006.
  16. 최희윤, "지식생태학 관점에서 본 도서관의 지식 관리 모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권, 제 1호, pp.397-416, 2006. https://doi.org/10.4275/KSLIS.2006.40.1.397
  17. Fritjof Capra, The Web of Life, Brockman, Inc., New York, (1996) ; 김용정, 김동광 역, 생명의 그물, 범양사, 1998.
  18. Moore, F. James; 강병구 역, 경쟁의 종말 : 기업생태계 시대의 리더십과 전략, 자작나무, 1998.
  19. M. Odem, Ecology : A Brige between Science and Society, Sinauer Association, Inc., (1997) ; 이도원 외 역 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001.
  20. M. Porter,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The Free Press, New York, 1990.
  21.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백서 2002-2008.
  22.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정책백서 2002-2008.

Cited by

  1. Considerations on the Making of Scientific Content and Processing of Biological Knowledge vol.11,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