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곽동곤, 한경수, 정승아, “교합장치의 장착이 단모음 및 모음/아/에 선행하는 자음의 발음양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28권, pp.157-171, 2003.
- 김덕원, 송철규, 나동균, 이명호, “포만트 위치비교를 이용한 구개열 환자의 발음분석”, 의공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83-288, 1990.
- 김민정, 심현섭, 최홍식, “음운환경과 검사어 길이가 정상성인의 비음치에 미치는 영향", 언어청각 장애연구, 제5권, 제2호, pp.91-105, 2000.
- 박한상, “한국어 2음절 단어의 시간 구조-모음 간장애음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언어학, 제49권, pp.349-383, 2007.
- 박순복, 이봉원, 신지영, 김기호,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의 변별 지각 단서”, 음성과학, 제4권, 제1호, pp.47-58, 1989.
- 이경희, 이봉원, “한국어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의 음향적 특성-길이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제10권, pp.47-66, 1999.
- 이상찬, 한경수, 이숙향, 오민정, “교합장치의 장착이 마찰음 및 파찰음의 발음형태에 미치는 음향학적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28권, 제4호, pp.465-480, 2003.
- 이석재, 장재웅, 김태경, 김정아, 장윤자, 성제현, 임수경, 김종덕, “한국인과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마찰음 /ㅅ/와 /ㅆ/ 구분의 음향 단서 분포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언어연구, 제24권, 제2호, pp.261-280, 2008.
- 이호영, "국어 모음과 자음의 음향적 특성", 한국구개열언어연구회, pp.45-54, 2005.
- 이호영, 지민제, 김영송, "동시조음에 의한 변이음들의 음향적 특성", 한글220, 제6권, pp.5-28, 1993.
- 임성은, 심현섭, “과대비성에 대한 비음도와 비음치의 상관관계”, 언어청각장애연구, 제5권, 제1호, pp.209-221, 2000.
- 최창규, 우이형, 박남수, “구개상의 형태 변화가 발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ㅅ/을 중심으로 한 컴퓨터 분석”, 경희치대논문집, 제11권, pp.143-162, 1989.
- 표화영, 이주환, 최성희, 심현섭, 최홍식,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음성과학, 제6권, 제1호, pp.145-161, 1993.
- A. Takayuki, O. Keiko, I. Setsuko, and Y. Yuichi, “Acoustic and perceptual cues of the palatalized articualtion of /s/,” Journal of the Acoustic Society of Japan, Vol.18, No.6, pp.297-304, 1997. https://doi.org/10.1250/ast.18.297
- Allard, W. Jongman, W. Ratree, and W. Serena, “Acoustic characteristic of English fricativ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108, No.3, pp.1252-1263, 2000. https://doi.org/10.1121/1.1288413
- R. Duane and D. Van, “A factor analysis of the speech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The Cleft Palate Journal, Vol.3, No.2, pp.159-170, 1966.
- R. Duane and D. Van, “Misarticulations of cleft palate children achieving velopharyngeal closure and children with functional speech problems,” The Cleft Palate Jounal, Vol.4, No.1, pp.31-37, 1967.
- T. Estrem and P. Broen, “A. Early speech producions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Jou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32, pp.12-23, 1989. https://doi.org/10.1044/jshr.3201.12
- H. Y. Grace and D. S. Sigfrid, “Recognition of vowels from information in fricative: perceptual evidence of fricative-vowel coarticula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70, No.4, pp.966-975, 1981. https://doi.org/10.1121/1.387031
- J. M. Heinz and K. N. Stevens, “On the properties of voiceless fricative consonants,” The Jou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33, p.589-596, 1961. https://doi.org/10.1121/1.1908734
- G. W. Hughes and M. Halle, “Spectral properties of fricative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28, No.2, pp.303-310, 1956. https://doi.org/10.1121/1.1908271
- M. H. John and N. S. Kenneth, “On the properties of voiceless fricative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33, No.5, pp.589-596, 1961. https://doi.org/10.1121/1.1908734
- A.. Jongman, R. Wayland, and S. C. Wong,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fricatives,”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108, No.3, pp.1252-1263, 2000. https://doi.org/10.1121/1.1288413
- W. Lorin, “Inferring articulatory movement from acoustic properties at fricative-vowels boundari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94, No.3, pp.1881-1881, 1993.
- S. H. Mark and N. O. Ralph. “Effect of realative amplitude of frication on perception of place of articual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94, No.4, pp.2005-2026, 1993. https://doi.org/10.1121/1.407503
- W. H. Moore and K. S. Ronald, “Phonetic contexts: their effects on perceived nasality in cleft palate speakers,” The Cleft Palate Journal, Vol.10, No.1, pp.72-83, 1973.
- D. Van,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ressure articulation testing in various contexts for subjects with cleft palat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13, pp.741-754, 1970. https://doi.org/10.1044/jshr.1304.741
- H. C. William, W. W. Donald, and P. B. Doris, “The effect of cleft palate on oral port constriction during fricative productions,” The Cleft Palate Journal, Vol.11, No.2, pp.95-104, 1974.
- D. Wyatt, J. Sell, A., Russell, K., Harding, and E, Albery, “Cleft palate speech dissected: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nd analysis,”British Journal of Plastic Surgery, Vol.49, pp.143-149, 1996. https://doi.org/10.1016/S0007-1226(96)90216-7
- 김민정, 배소영, 박창일, 우리말 조음평가, 서울: 휴브알엔씨, 2007.
- 배소영, 임선숙, 이지희, 장혜성, 구문의미이해력검사,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사회복지관, 2004.
- 이경희, 국어 마찰음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이주희, 구개파열 아동의 말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화자요인, 명지대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임운, 조음음성학과 음향음성학, 서울 : 한국문화사, 2007.
- 정언랑, 구개파열 성인의 의사소통 태도와 명료도 간 상관연구, 단국대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조윤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아동의 마찰음 산출의 음향음성학적 특성비교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하승희,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자음 산출을 위한 연인두 기능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A. C. Gimson, An Introduction to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4th ed.), London : Edward Arnold. 181, 1989.
- P. Ladefoged, A coure in phonetics. (4th ed.), new York :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2001.
- J. M. Pickett, The acoustic of speech communication, the fundamental, speech perception theory, and technology. ALLYN and BACON,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