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Job Stress of Hospital Workers in Busan

부산지역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 정용모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
  • 장효강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 Received : 2010.01.18
  • Accepted : 2010.03.31
  • Published : 2010.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stress amou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workers and job-stress's influence on the stress-measurement fiel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urveyed 475 workers in 9 hospitals (2 general hospitals and 7hospitals) in Busan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m.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amount depending on worker'scharacteristics.Second, the stress-measurement field with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job-stress is the job requirement, and the lowest field is the hospital culture. Third, at comparing the job stress amount with those of average Koreans, the stress-requirement field occupies the upper 50% zone for male, and the job-instability forfemal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recognized that the structure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must consider the different stress factors according to the workers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직무스트레스에 스트레스 측정영역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9개 의료기관(종합병원 2개, 병원 7개) 종사자 47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종사자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측정영역은 직무요구이었으며, 가장 낮은 영향영역은 직장문화이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한국인 참고치와 비교시 남성은 직무요구 영역, 여성은 직무불안정 영역이 상위 50% 범주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 의 조직관리는 종사자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요소를 고려하여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 김남신, 문희자, “ 임상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4권, 제1호, pp.43-61, 1992.
  3. 김판석, 일부 종합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만성피로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연구학회, 제19권, 제3호, pp.203-225, 2005.
  5. T. L. Conway, H. W. Ward, R. R. Vicker, R. H. Rahe, Occupational stress and variation in cigarette, coffe, and alcohol consumption, J Health Soc Behav, Vol.22, 1981.
  6. R. A. Karasek,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 Sci Q, Vol.24, 1979.
  7. 이경숙, 간호원의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차년도), 연세대학교 연구보고서. 2003.
  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정확성 및 신뢰성 평가와 사업장 시범적용에 관한 연구(2차년도), 연세대학교 연구 보고서. 2005.
  10. 한대성, 정민예, 유은영, 정보인, “병원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09-118, 2008.
  11. 정진주, “병원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현황과 요인분석”,"한국환경위생학회지",제28권, 제2-3호, p.297, 2002.
  12. C. Cherniss, Staff Burnout. Job stress in Human servic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Inc, 1980.
  13. 허혜경, 임상간호원의 이직반응에 미치는 제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14. 구미옥, 김매자, “임상간호원의 업무 스트레스에 관한 분석적 연구”, "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9-49, 1985.
  15. 강윤식, 의사들의 전문직업성, 직무스트레스 및 직업만족도, 경북대 대학원, 2000.
  16. 김정미, 병원 종사자들의 직업성 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7. 이경숙, 수술실 간호사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에 관한 상관관계연구, 경희대 행정대학원, 1991.
  18. 강승주, 김인숙, “양.한방 협진 대학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조선의대논문집", 제31권, 제3호, pp.90-101, 2006.
  1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www.kosha.or.kr/

Cited by

  1. A Study on the Structural Impact of Job Stres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ed Boundary Spanning Behavior of Hospital Employees vol.11, pp.11,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