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User's Evaluation Criteria for VJ Broadcasting Program

VJ 방송프로그램의 수용자 평가척도 개발

  • 이종탁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Received : 2010.01.18
  • Accepted : 2010.03.04
  • Published : 2010.05.28

Abstract

As the broadcasting programs produced by VJ are increasing, every broadcasting company has doubts as to how their program evaluations derive the objective evaluation results and proposes their own tailored program evalu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production system. The proposed quality evaluation items represent a new model in terms of the perfectness of VJ broadcasting program production and are used as a way to revise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s of the broadcasting companies. To derive the items which help to find the problems of VJ broadcasting programs, 30 specialists, such as PDs, VJs, and professors, are chosen as a specialist group, and the first experiment is performed to select the evaluation items of VJ broadcast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tems, 9 VJ program evaluation items are made. Also, the second experiment i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is .939, which is proved to be significant. The selection of the quality evaluation items considering only the VJ broadcasting programs turns out to be significant as a new quality evaluation criterion.

VJ 제작 방송프로그램의 편성이 늘고 있는 시점에서 각 방송사의 프로그램 평가가 객관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느냐에 의문을 갖고, 제작시스템의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맞춤형 프로그램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품질평가의 항목들은 VJ 방송프로그램의 제작완성도 평가차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며, 현재의각 방송사의 프로그램 평가방법을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VJ 방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해낼 수 있는 항목의 도출을 위해 1차 실험으로 방송현장의 PD, VJ, 학계 교수 등 각 10명씩 총 30명으로 전문가그룹을 선정하여, VJ 방송프로그램의 평가항목을 선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결과를 근거로 총 9항목으로 VJ 프로그램 품질평가 항목을 설계하였다. 또한, 제안한 평가척도를 검증하기 위한 2차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품질평가방법의 신뢰도가 .939로 나타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품질평가 항목의 선정에 있어서 VJ 방송프로그램만을 고려하여 평가한 새로운 품질평가척도로서 유의미한 결과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탁, 곽훈성, “방송프로그램제작에 있어 1인 제작시스템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8호, 2007.
  2. 한진만, “방송평가방안 연구 종합보고서:방송편성평가”, 방송위원회, p.37, 1999.
  3. T. Leggatt, "Quality in Television: The views of professionals," In S. Ishikawa(ED.), Quality Assessment of Television. UK: University of Luton Press, pp.145-167, 1996.
  4. S. T. Eastman, S. W. Head, L., “Klein Broadcast / Cable Programming,” Calf.: Wadworth Publishing Company, p.50, 1985.
  5. 이은미, “수용자 방송평가에 관한 일고”, 방송연구, pp.77-102, 1994.
  6. 한국방송학회, “교육방송 프로그램 시청자 평가지수 개발 연구결과보고서”, 한국방송학회, 2002.
  7. 한국언론학회, “프로그램 품질 평가지수(QI) 개발연구결과 최종보고서”, 한국언론학회, 2003.
  8. 시청자만족지수 연구개발팀, “시청자만족도지수(ASI) 연구결과 최종보고서”, SBS, 2004.
  9. 이종탁, 정종건, “비디오저널리스트(VJ)의 방송프로그램 제작실태조사-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2009.
  10. George Casella and Roger Berger, “Statistical Inference,” Duxbury Press, p.421, 1990.
  11. Y. Hochberg and A. C. Tamhane,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 John Wiley & Sons, 1987.
  12. 허명회, “설문지.시험지 문항의 신뢰성 분석”, 응용통계연구, 제4권, 제1호, pp.93-105, 1991.
  13. 한국방송진흥원, “방송영상물 전문가 평가모델 개발연구-연예.오락 프로그램 평가체계 설정과 평가결과 분석”, 한국방송진흥원, 1999.
  14. 배현석, “수용자 참여 방송평가 시스템의 개발”, 방송연구, pp.63-103, 2004.
  15. 한국방송광고공사, “방송프로그램의 공익성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