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ndamental Acoustic Investigation of Korean Male 5 Monophthongs

한국 남성의 단모음 [아, 에, 이, 오, 우]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기반연구

  • 최예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언어치료학과)
  • Received : 2010.04.29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6.28

Abstract

Numer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have already been published related to English vowels. However, only minimal amounts of studies based on the acoustic analysis of Korean vowels have been accomp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sufficient quantitative data based on the acoustic aspects of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s between the ages of 20s and 30s. A total of 31 males in their 20s and 30s produced the five fundamental vowels /a, e, i, o, u/ by repeating each of them three times in the standard Korean dialect. Such speech productions were recorded with 'Cool edit' and F1, F2, F3, F4 were extracted through the MATLAB acoustic analysis program.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patterns of forman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except that the formant levels of F1 and F2 of the vowels produced in this study were generally lower than that in previous studies. Future studies need to focus on obtaining vowel data by considering other factors such as age and other speech materials.

영어의 경우는 모음포만트 분석이 질적이나 양적으로 이미 오래전부터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 모음이 음향음성학적으로는 제대로 분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충분한 자료 확보를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정상 남자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한국어 모음의 음향학적 측면에서 정량적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한국어 표준어를 산출하는 20~30대의 남자 총 31명을 대상으로 기본 5 모음 인 /아, 에(애), 이, 오, 우/를 3회 반복산출한 것을 Cool edit에 녹음하여 MATLAB음향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음의 F1, F2, F3, F4를 구하였다. F1과 F2 모두에서 본 연구의 모음 포만트가 선행연구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전체적인 패턴은 매우 유사하였다. 연령별, 어음재료에 따른 한국어 모음 자료들에 대한 연구가 더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양병곤, “합성한 한국어 단모음의 지각실험 연구”, 언어, 제21권, 3호, pp.127-146, 1995.
  2. G. E. Peterson and H. L. Bamey, "Control methods used in a study of the identification of vowels," JASA, Vol.24, p.183, 1954.
  3. 양병곤, “MRI에 의한 모음의 성도 측정 및 면적 변이에 따른 합성 연구", 음성과학, 제4권, 제1호, pp.19-34, 1998.
  4. 정일진, "표준어 단순 모음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연구", 대한음성학회, 제33권, 제1호, pp.111-125, 1997.
  5.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0.
  6. 정명숙, 방송 언어에 나타난 말소리의 사적 변천, 국어학, 제39권, pp.221-249, 2002.
  7. 조성문,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인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24권, pp.427-441, 2003.
  8. 문승재, “한국어 단모음의 음성학적 기반 연구” 말소리, 제62권, pp.1-17, 2007.
  9. 성철재, 박종원, 김귀룡, “성도 자기공명 영상과 음향정보(F1/F2)를 이용한 한국어 단모음 [이, 에, 아, 오, 우, 으] 판별” 말소리, 제56권, pp.103-12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