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 by Burned Grasses in Saebyeol-Oreum of Jeju-do

새별오름에서 초지 화입에 의한 식생 변화 연구

  • Received : 2009.11.27
  • Accepted : 2010.04.02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is research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rned, which is made in the early spring every year at Saebyeol-Oreum from 2003 to 2009, on changes in vegetation on the grassl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y of the land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surface land that had the angle of azimuth and the angle of slope in the range of southeast $135^{\circ}{\sim}180^{\circ}$ accounting for 73.89% and $21^{\circ}{\sim}30^{\circ}$ accounting 58.33% of the entire surface land, respectively, was found to be high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was found to be lowered from 27.07 in 2003 to 19.47 in 2009, and this can be attributable to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having been heightened from 7.07 in 2003 to 16.23 in 2009. The reason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was found to be high is thought to be that vegetation on the surface land was removed by burned in the early spring and, due to this, the dry surface of soil and the high slope accelerated the soil erosion and could not provide proper environment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for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so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were excluded and Artemisia japonica whose importance value had been highest have flourished. Researches to maintain the current vegetation on the burned location of Saebyeol-Oreum and to adjus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o restore vegetation and the proper time and cycle of burned should be conducted.

Keywords

References

  1. 김승찬, 조남기, 김한림, 1978, 제주도 개량목초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축산학회지, 20(2), 164-170.
  2. 김원, 1983, 당지동 산화적지의 이차식생, 한국생태학회지 6(3), 187-197.
  3. 김원, 박정혜, 조영호, 1999, 산불이 삼마산의 삼림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2(3), 145-153.
  4. 김종홍, 장한성, 1985, 싸리바구산의 산화적지의 초기식생 천이, 한국생태학회지, 8(2), 109-117.
  5. 김진, 2005, 화입이 제주도 새별오름의 토양 화학적 특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6. 김창기, 정연숙, 주광영, 이규송, 2006, 산불 피해 산림의 식생 발달과 토양 보존을 위한 사면 처리 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9(3), 295-303. https://doi.org/10.5141/JEFB.2006.29.3.295
  7. 문형태, 정연숙, 1996, 강원도 고성지역에서 산불이 소나무림 토양의 영양염류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19(5), 375-383.
  8. 박관수, 이승우, 2000, 산화에 의한 토양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농업과학연구, 27(2), 95-100.
  9. 산림청, 2009, http://sanfire.forest.go.kr/foahome.
  10. 송국만, 2005, 화입에 의한 새별오름의 식물상 및 식생변화,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11. 심학보, 김원, 1993, 섭제골 지역의 산회지 및 비산화지의 군락구조 비교, 한국생태학회지, 16(4), 429-438.
  12. 심학보, 김원, 1996, 초례산의 산화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및 토양성분의 동태, 한국생태학회지, 19(5), 417-430.
  13. 심학보, 김원, 1998, 팔공산에서 식생과 토양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1(5-1), 465-473.
  14. 양동윤, 김진관, 김주용, 김민석, 2005, 토양침식에 미치는 토양표면상태의 영향, 한국지형학회지, 12(2), 63-72.
  15. 윤익석, 장남기, 1969, 한국의 초지형과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학회지, 11(2), 254-257.
  16. 이미정, 송호경, 이준우, 전권석, 김효정, 정도현, 2003, 임도 절토비탈면의 식생천이-충청도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2(4), 397-408.
  17. 이시영, 임주훈, 2000, 산불피해지의 연소유형과 수종별 임목피해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2000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연구발표회, 115-117.
  18. 이원규, 김춘식, 차순형, 김영걸, 변재경, 구교상, 박재욱, 1997, 산불이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0(3), 157-162.
  19. 제주도, 1997, 제주의 오름, 제주도, 244.
  20. 제주도특별자치도, 2008, http://www.jeju.go.kr/files/File/2009/status/2008_status_01.xls.
  21. 조남기, 1986, 한라산 인공초지의 식물천이, 한국작물학회지, 31(3), 336-349.
  22. 조영호, 1987, 대구 주변의 소나무림의 산화적지에서의 이차천이와 종다양성,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3. 조영호, 김원, 1992, 산화 후 소나무림의 이차천이와 종다양성, 한국생태학회지, 15(4), 337-344.
  24. Brower, J. E., Zar, J. 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Dubugue, Iowa, 325.
  25. Curtis, J. T., Mclntosh, R. 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6. Kim, J. H., Mun, H. T., 1982, Ecological Studies on the Montane Grassland of Mt. Soback in Korea, J. Ecol. Field Biol., 4(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