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Scale and Analysis of Peer-assesment Questions of the Preschool Teachers

동료 유아교사 평가 척도 개발 및 분석

  • 임은정 (서울교육대학교 아동교육연구소) ;
  • 이성균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육학과) ;
  • 정미림 (한국장학재단)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07.02
  • Published : 2010.07.28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for a scale of assessing the work performance, educational operations, and so on of preschool teachers by the peers. It has been previously discussed the studies of scale assesment of preschool teachers, however, the scale assesment had been a self-assesment or a transitory assesment by the senior teachers and principals only. This study is developed to assess the preschool teachers through the peer- teachers. Peer-assesment has strong points that to assess the teachers constantly can be more accurate, the assessment result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peer scholarship, and it can give the preschool teachers an opportunity to be recognised on tasks. There are 51 questions are developed to assess the peers. 9 sections total; 1) 6 questions on body human nature 2) 6 questions on view on career 3) 3 questions on self-development 4) 4 questions on curriculum planing 5) 12 questions on administering and managing 6) 6 questions on understanding children 7) 4 questions on managing a class 8) 7 questions on work performance 9) 3 questions on teaching practice. Each section is surveyed by 150 preschool teachers, and the all questions are analysed statistically appropriate of a scale(validity of contents, validity of surveyors, inter-item consistency) and appropriate of each section. It is known this peer assesment of preschool teachers is an appropriate scale.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동료장학과 교사발달을 위한 동료 평가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유아교사 평가척도에 대한 연구는 많이 논의되어 왔으나, 평가자는 주로 원장 또는 상급자에 의해 일시적인 평가나 자기평가로 이뤄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주변 동료교사를 통해 유아교사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문항을 개발하였다. 동료교사를 통한 평가는 교사의 지속적인 모습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에 대해 보다 세밀하게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51개 문항을 가지고 동료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9개 영역으로 분리하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척도의 적절성(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문항내적합치도)과 문항의 적절성(문항변별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료 유아교사 평가 문항으로서 적절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옥,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자질에 대한 자기.동료평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213-224, 2006.
  2. 김애자, 최경희,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업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35권, pp.77-100, 2003.
  3. 김은희, 황해익, “유치원 교사의 직무 전문성 자기평가준거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285-307, 2006.
  4. 김지은, 김진이, "유아교육기관의 역할분담에 따른 부모, 교사, 전문가의 역할기대", 한국영유아보육학, 제27권, pp.23-54, 2001.
  5. 이기숙, 이연섭, 이영자, "유아교사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유아교육연구, 제16권, pp.33-50, 1986,
  6. 이대균, "유치원 평가를 위한 영역별 준비, 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245-255, 2007.
  7. 이대균, 김선구, "보육시설과 유치원 평가제도의 개선을 위한 논의",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165-180, 2008.
  8. 이대균, 백경순, 박옥자, "우수 유치원으로 인증받은 W유치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pp.137-163, 2007.
  9. 이대균, 이기우, "유치원 기관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4권, 제1호, pp.213-235, 1999.
  10. 이대균, 이선정, "유치원 원감 자기평가척도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6호, pp.371-390, 2006.
  11. 조미영, 이문옥, "유아기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제57권, pp.23-51, 2009.
  12. 최미숙, 황윤세, 장영숙, "유치원 교사의 관심사에 따른 총체적 언어교수법의 신념과 실제의 차이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281-302, 2004.
  13. 최혜진, 황해익, "유치원 교사와 보육 교사의 자기평가에 대한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87-208, 2005.
  14. 하은옥, 허우정, 황해익,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pp.75-96, 2007.
  15. 황해익, 최혜진, 김남희, "유아교사의 자기평가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4호, pp.69-93, 2003.
  16. 황희숙, 강승희, "예비 유아교사의 사고양식 및 성격유형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131-150, 2005.
  17. S. Shin, "The Trends of Contents Techology," J. of Contents Association, Vol.3, No.2, pp.27-38, 2003.
  18. D. Cederblorn and J. Lounsbury, “An Investigation for User-Acceptance of Peer Evaluations,” Personnel Psychology, Vol.33, No.567, 1980.
  19. P. Cohe and W. Mackeachie, “The Role of Colleagues in the Evaluation of College Teaching,” Improving Colleage and University Teaching, Vol.28(Fall), No.147, 1980.
  20. D. R. Cruickshank, “What we know about teachers' problems?,” Educational Leadership, Vol.38, pp.402-404, 1981.
  21. F. W. Pakay and B. H. Stanford, Becoming a teacher(3rd eds.), Boston: Allyn & Bacon, 1995.
  22. P. Wood and N. Bennett, “Changing theories, changing practice: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issue 5-6, pp.635-64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