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oretical Re-inquiry on Gilles Deleuze's Thought about Alfred Hitchcock's Film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에 대한 들뢰즈 사유의 이론적 재고찰

  • 강승묵 (공주대학교 영상광정보공학부)
  • Received : 2010.04.01
  • Accepted : 2010.05.24
  • Published : 2010.07.28

Abstract

This paper has conducted a theoretical re-inquiry on Gilles Deleuze' thought about Alfred Hitchcock'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ought in relation with the concept and theory about film.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at film can acquire the academic significance as a philosophy including an academic denomination of social science and Arts. According to the findings, Gilles Deleuze appeared that A. Hitchcock used the mental-image which can transform the perception-image, the action-image, and the affection-image in film and make the relation including the way which it is developed between character and event. Also, as the mental-image can change the meaning of film, camera is the essence and mental referent. And the mental-image makes the other images a specific frame, permeates into image and transforms it. This paper sets limits to some problems that Deleuze's thought about film generalizes to filmic theory, but has a importance to inquiry new research as a theoretical introspection for the practical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film and philosophy.

본고는 영화와 관련된 개념과 이론에 대한 들뢰즈의 사유를 바탕으로 히치콕 영화를 이론적으로 재고찰했다. 이를 통해 영화가 사회과학과 예술학의 학문적 분파로서는 물론 철학으로서의 학문적 의의도 가질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들뢰즈는 히치콕이 지각, 행동, 감화-이미지를 틀 지우고 변형시킬 수 있는 정신-이미지를 영화에 활용함으로써 인물과 인물, 인물과 사건, 사건과 사건 사이의 추상적이고 자연적인 관계를 포함해 그 관계가 전개되는 방식도 이미지로 대상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들뢰즈는 히치콕 영화를 통해 정신-이미지가 영화의 의미를 전환시키고, 영화적 본질 또는 정신적 관계항으로서의 카메라가 이미지를 특정 형식으로 틀 지우는 동시에 그 이미지에 침투해 변형시킨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고는 들뢰즈의 영화에 대한 사유를 영화이론에 일반화하는데 적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논의의 한계로 제한하고 있지만, 영화와 철학의 관계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성찰의 계기로서 새로운 연구문제를 탐색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수, 전수일, 이효인,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pp.9-10, 1996.
  2.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78-281, 1986.
  3. C. Colebrook, Gilles Deleuze, 백민정, 질 들뢰즈, 태학사, pp.25-52, 2004.
  4. G. Deleuze, Pourparlers, 김종호, 대담 1972-1990, 솔, p.75, 1994.
  5. G .Deleuze, Pourparlers, p.84, 1994.
  6. 박성수, 전수일, 이효인,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p.10, 1996.
  7. G .Deleuze, Pourparlers, 김종호, 대담 1972-1990, 솔, pp.84-90, 1994.
  8.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 -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6-29, 1989.
  9.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p.121, 1999.
  10.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136, 1986.
  11.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73, 1997.
  12. P. P. Pasolini, “The Cinema of Poetry,” in B. Nichols, Movies and Metho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542-558, 1976.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pp.13-16, 1999, 재인용.
  13.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139-148, 2002.
  14.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73, 1986.
  15. Suzanne H. de Lacotte, Deleuze : Philosophie et Cinema, 이지영, 들뢰즈: 철학과 영화-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여행, 열화당, p.31, 2004.
  16.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 -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5, 1989
  17. 박성수, 전수일, 이효인,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p.72, 1996.
  18.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6-29, 1989.
  19.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p.134, 1999.
  20. G. Deleuze and F. Guattari, What is Philosiphy, trans. H. Tomlinson & G. Burchell.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 -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169-170, 1989
  22. G. Deleuze, Difference et repetition, trans. P .Patton, Difference and Repeti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190, 1994.
  23.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46, 1989.
  24.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168, 1989.
  25.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62-370, 2002.
  26.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63-364, 2002.
  27.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64-365, 2002.
  28. E. Alliez, “Midday, Midnight: The Emergence of Cine-thinking,” in G. Flaxman(ed.), The Brain is the Screen: Deleuze and the Philosophy of Cinema(pp.293-302),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apolis
  29. 장일, “기억의 이미지, 역사의 이미지: 허우 샤오시엔, 들뢰즈, 시간-이미지”, 언론과 사회 13-3, pp.76-86, 2005.
  30.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p.12, 1986.
  31.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1, 2002.
  32.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2-37, 2002.
  33.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pp.128-144, 1989
  34. 박성수, 들뢰즈와 영화, 문화과학사, pp.122-126, 1998.
  35.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9, 2002.
  36.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pp.45-49, 2002.
  37.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pp.40-41, 2002.
  38.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7, 2002.
  39.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7-368, 2002.
  40.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8-369, 2002.
  41. L. Giannetti, Understanding Movies, 김진해, 영화의 이해, 현암사, p.61, 1987.
  42. D. Bordwell and C. Thompson, Film Art: An Introduction, 주진숙, 이용관, 영화예술, 이론과 실천, p.99, 1993.
  43. L. Giannetti, Understanding Movies, 김진해, 영화의 이해, 현암사, p.349, 1987.
  44. S. Sharff, The Elements of Cinema, 이용관, 영화 구조의 미학, 영화언어, pp.18-19,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