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ropriate Digital Camera System for Digital Ultraviolet Photography

디지털 자외선 사진을 위한 적정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 이영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하동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Received : 2010.04.28
  • Accepted : 2010.06.29
  • Published : 2010.07.28

Abstract

Reflected-Ultraviolet photography is applied to the evidence of crime, Archaeology, and Dermatology. In the past, Ultraviolet photography was done with standard black-and-white film. Because emulsion of film is more sensitive to near UV light than CCD(Charge Coupled Device) or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of digital camera. In this research, we purpose to improve qulity of ultraviolet photographs and to find out the best alternative digital camera by utilizing a cunsumer digital camera. To achieve theses, we removed IR cutoff filter from digital camera. And by using modified UV pass filter, we verified the increase of image resolution of digital ultraviolet photographs. Also, we analyze reproducibility of digital ultraviolet photographs according to type, size, pixel of image sensor. Furthermore, this research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n practical digital camera system by utilizing a cunsumer digital camera. Eventually, it will contribute to practical use in the various field of digital ultraviolet photographs

자외선 사진은 범죄수사, 고고학, 피부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과거 자외선 사진은 일반적인 흑백필름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그 이유는 필름의 감광유제로 사용되는 할로겐화은(AgX)성분이 카메라의 센서인 CCD(Charge Coupled Device)혹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에 비해 자외선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외선 사진의 화질을 개선시키고, 자외선 사진을 위한 최적의 디지털 카메라 특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카메라의 적외선 차단 필터를 제거하고, 자외선 투과필터의 개조를 통해 자외선 사진의 화질향상 여부를 검증하였다. 또한 센서의 종류와 크기, 화소수에 따른 자외선 사진의 재현성을 화질측정 요소들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을 이용한 자외선 사진에 가장 적합한 카메라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을 통해 일반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한 자외선 촬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국 디지털 자외선 사진의 폭넓은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M. Langford, Langford's Advanced Photography, Oxford: Elsevier Science Ltd., 2008.
  2. B. M. Freedman, R. V Earley, and T. P. Balakrishnan, "Digital ultraviolet reflectance photography can be used to quantify improvements in photodamage,"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Vol.4, pp.73-77, 2005. https://doi.org/10.1111/j.1473-2165.2005.40204.x
  3. A. Richards, "Digital Reflected-Ultraviolet Imaging," Advanced imaging, Vol.21, pp.18-21, 2006.
  4. A. G. Dyer, L. L. Muir, and R .A. Muntz, "A Calibrated Gray Scale for Forensic Ultraviolet Photography," J Forensic Sci, Vol.49, pp.1056-1058, 2004. https://doi.org/10.1520/JFS2003410
  5. F. Ray, Scientific Photography and Applied Imaging, Focal Press, 2002.
  6. 조윤철, "자외선사진연구", 한국사진학회지, 제7호, pp.101-106, 2000.
  7. 윤성빈, "디지털 적외선 촬영을 위한 통합시스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학위논문, 제18회, 2008.
  8. 김영수, "비가시광선을 이용한 범죄사진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제11호, pp.15-25, 2004.
  9. 박형주, "디지털 카메라 파라미터와 비주얼 노이즈 상관관계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제18호, pp.20-27,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