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변증(五臟辨證)을 활용한 조선(朝鮮) 침법(鍼法) 연구(硏究)

A Study on the Acupuncture Methods of Joseon Dynasty Using Five Viscera Diagnosis

  • 오준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Oh, Jun-Ho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ion of Oriental Medicin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Nam-Il (Departmen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10.06.24
  • 심사 : 2010.07.29
  • 발행 : 2010.08.31

초록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methods of Joseon Dynasty by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viscera diagnosis and acupuncture methods. Material & Method : In the process, I'v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ridian/exterior and viscera/bowels, along with a thorough comparison of the academic tendency in acupuncture of Ming-China, Qing-China and Joseon. Result & Conclusion : The two fields of meridian and exterior, and viscera and bowels had been theoretically merged, and based upon that, foundation methods applying the five viscera diagnosis were designed. Joseon acupuncture exceeded the existing concept of viscera which simply related itself to the exterior meridian and exterior by integrating the concepts from the visceral manifestation theory. With this, large proportions of medicine related to the visceral manifestation theory were invited into acupuncture, expanding therapeutic boundaries for acupuncture treatment. A historical review on medical texts starts from the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which familiarized the public with mainstream acupuncture knowledge up until the Song dynasty, followed by Uibangyuchwi("醫方類聚"), which sparked up interest on the acupuncture methods based on viscera and bowels. Donguibogam("東醫寶鑑") organized the medical theories up until then, building a foundation upon which viscera/bowel-based acupuncture was able to develop further. In Chimgugyeongheombang("鍼灸經驗方"), viscera/bowel-based acupuncture methods started to blossom, integrating the meridian and exterior theory with the viscera manifestation theory, which in turn provided various methods through five viscera diagnosis. In the Saamdoin acupuncture method(舍岩道人鍼法), diagnostic criteria moved on to the five viscera diagnosis, and new methods resulting from the inter-complimentary and inter-prohibi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five phases were introduced, opening a new world of acupunc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盧重禮 外. 鄕藥集成方. 서울:행림서원. 1942.
  2. 金禮蒙 外. 醫方類聚. 의성당. 1993.
  3. 許任. 鍼灸經驗方(韓國醫學大系38). 서울:려강출판사. 1997.
  4. 許浚. 東醫寶鑑(영인본). 남산당. 1998.
  5. 맹웅재 외. 강좌 중국의학사. 대성의학사. 2006.
  6. 맹웅재 외. 한의학통사. 대성의학사. 2006.
  7. 김달호. (교감)舍岩道人鍼法. 소강. 1998.
  8. 김두종. 한국의학사. 서울:탐구당. 1981.
  9. 김치우. 고사촬요 책판목록과 그 수록 간본 연구. 서울:아세아문화사. 2007.
  10. 안상우 외. 鄕藥集成方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2001.
  11. 이재동, 김남일. 중국 침뜸의학의 역사. 집문당. 1997.
  12. 林昭庚. 焉良. 针灸醫學史. 中國中醫药出版社. 1995.
  13. 周一謀(김남일.인창식 역). 고대 중국의학의 재발견. 법인문화사. 2000.
  14. 肖少卿 외. 中國鍼灸學史. 寧夏人民出版社. 1997.
  15. 崔秀漢. 朝鮮醫籍通考. 中國中醫藥出版社. 1996.
  16. 黃龍祥. 中國鍼灸學術史大綱. 北京:華夏出版社. 2001.
  17. 黃龍祥. 鍼灸名著集成. 北京:華夏出版社. 1997.
  18. 강연석. 鄕藥集成方의 本草 분석을 통한 조선전기 향약의학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19. 강연석. 鄕藥集成方의 鄕藥醫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0. 김남일. 鄕藥集成方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진단학보. 1999;87.
  21. 김효연. 朝鮮朝 醫書에 관한 書誌的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22. 김훈. "醫者意也"의 기원에 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1999;12(2).
  23. 김중권. 東醫寶鑑의 문헌적 연구. 서지학연구. 1995;11.
  24. 박문현. 허임 鍼灸經驗方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25. 박현국, 김기욱. 鍼灸資生經의 침구 문헌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8;21(4).
  26. 안상우, 김남일. 醫方類聚 總論의 體制와 引用方式 分析. 慶熙韓醫大論文集. 1999;22(1).
  27. 안상우, 최환수. 醫方類聚 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6(1).
  28. 오준호, 김남일, 차웅석. 東醫寶鑑 鍼灸篇의 醫史學的 考察-內景篇에 나타난 鍼灸法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04;17(1).
  29. 오준호, 김남일, 차웅석. 東醫寶鑑 鍼灸篇의 醫史學的 考察-外形篇에 나타난 鍼灸法을 중심으로 -. 한국의사학회지. 2004;17(2).
  30. 오준호, 차웅석, 김남일, 안상우. 東醫寶鑑 鍼灸法의 選穴方法 고찰. 韓國醫史學會誌. 2005;18(2).
  31. 오준호. 東醫寶鑑 침구법의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2006.
  32. 王东紅. 郝保华. 子午流注形成年代探讨. 鍼刺硏究 1998;3.
  33. 願一煌. 是動病與所生病析. 南京中醫藥大學鍼灸推拿學院. 江蘇中醫 1998;19(4).
  34. 李嘉, 徐恒澤. 金元明淸针灸歌赋述要. 南京中醫藥大學學報. 1997;13(6).
  35. 이연희, 차웅석, 김남일, 박히준, 안상우. 鍼灸經驗方 訛穴의 取穴法 분석에 따른 현대적 적용 연구. 경락경혈학회지. 2008;25(4).
  36. 이봉효 외. 시동병 소생병의 배속에 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8;25(5).
  37. 张建斌, 王玲玲. 足陽明脈 是動病 病後探討. 安徽中醫學院學報. 2005;24(6).
  38. 조대진. 臟腑病證과 經絡病證 區分에 관한 硏究 - 黃帝 內經을 中心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39. 차웅석, 김남일. 醫學入門의 편제분석. 경희한의대 논문집. 1999;22(1).
  40. 차웅석. 중국의 醫學入門이 한국의 東醫寶鑑에 미친 영향. 한국의사학회지. 2000;13(1).
  41. 최용태. 東醫寶鑑의 문헌적 고찰. 구암학보. 1992;2.
  42. 최환수, 신순식. 醫方類聚의 인용서에 관한 연구(1).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3(1).
  43. 황민섭 외. 古代 경맥병증체계에 있어서 "是動則病"과 是主某所 生病"의 연원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29(2).
  44.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 지식정보자원 웹서비스 (http://jisik.kiom.re.kr/).
  45. 국사편찬위원회. (인터넷)조선왕조실록 웹서비스 (http://sillok.history.go.kr/).
  46. 김남일. 東醫寶鑑으로 읽는 韓醫學의 歷史(16): 五臟六腑의 藏象論的 해석 - 八卦를 매개로 한 생태학적 연계체계. 東醫寶鑑발간 400주년 기념 사업 홈페이지. (http://www.dongui400.or.kr/community/column_list.asp). 2009.
  47. 안상우. [고의서산책131] 攷事撮要(1). 민족의학신문. 2003; 389호.
  48. 안상우. [고의서산책240] 鍼經要訣. 민족의학신문. 2005; 50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