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s fo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al herb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한의약분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

  • Lee, Hai-Woo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Hoon (Departmen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Gyeong-Cheol (Department of Diagnost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Jong-H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Shin, Woo-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Park, Dong-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Hwang, Won-D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이해웅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훈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 김경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 김종환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우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동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황원덕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Received : 2009.12.19
  • Accepted : 2010.01.12
  • Published : 2010.01.25

Abstract

Preconditions fo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al herb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re classification of medicinal herbs for general public and special medical uses, establishment of national medicinal herb distribution company of governmental base, restriction in purchase of medicinal herbs for special medical use, partnership between doctors and pharmacis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coverage of herbal medicine-based medication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etc. The numb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harmacists which was born during 'the herbal medicine conflict' initiated in 1993, goes over 1,000 and will increase by 120 annually. The numb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Doctors is over 17,000 and increases by 850 annually. So in order to engage partnership between two groups, the government have to arrange the number of outputs of each group. Standard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diagnosis and disease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s a matter of course in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al herbs. Related societies and academies need to do researches with governmental fund first. After these works, we can launch a task force team for implementation of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al herb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roperly. Enter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for full coverage of Korean Medicine care service will be essential for the patients. Implementation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al herb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ould be the core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med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B.H. Cho. The politics of herbal drugs in Korea. Social Science & Medicine. 2000. 51. p.506.
  2. 신상문. 류동렬. 90년대 한약분쟁의 과정과 역사적 함의.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2. 10(2). pp.41-71.
  3. 金完朱. 韓藥調劑權에 관한 漢醫師.藥師간의 漢藥紛爭 硏究 : 政策論證模型의 適用. 서울. 成均館大學校. 1996.
  4. 조병희. 의료계와 사회의 갈등구조. 경제와 사회. 2000. 겨울호. pp.132-165.
  5. 이지영. 한국의약분업정책의 문제점과 평가.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3-25.
  6. 이재현. 의약분업 추진현황. 병원약사회지. 2000. 17(1). pp.1-34.
  7. S. Kwon. Pharmaceutical reform and physician strikes in Korea : separation of drug prescribing and dispensing. Social Science & Medicine. 2003. 57. pp.535-537.
  8. 박진한. 한약재 유통실태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경주대학교 논문집. 2005. 18. pp.419-439.
  9. 김용호 외. 첩약의 건강보험 급여형태 및 급여범위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7. 20(3). pp.244-260.
  10. 이희선. 한약조제권 분쟁의 해결을 위한 의약분업방안에 관한 쟁점.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994. 4(1). pp.197-220.
  11. 윤영주 외.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 30(1). pp.153-172.
  12. 유태우 외. 독성 간손상 관련 한국인의 약물복용 실태와 건강비용 조사 : 독성 간손상의 진단 및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공동연구. 대한간학회지. 2007. 13(1). pp.34-43.
  13. 于斌. 我院50例中药制剂不良反应分析. Journal of Shenyang Pharmaceutical University. 2009. 26(18). pp.61-62.
  14. 何先元. 615味常见中药毒性分类研究. 中国药房. 2007. 18(30). pp.2392-2393.
  15. 张力, 杨晓晖. 在中药安全性监测和评价过程中充 分引入药物警戒理念. CJ ITWM. 2009. 29(9).pp.843-846.
  16. 全灿, 戴新华, 徐蓓, 刘军, 李红梅. 中药安全及其标准物质研究. 中草药. 2007. 38(10). pp.1441-1445.
  17. 吴文博, 齐俊英, 李大庆. 对中药药性有毒无毒的新识. 中国中医基础医学杂志. 2006. 12(10). pp.772-773.
  18. 조재국. 의약분업 성과평가와 제도개선.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2003. 보건복지부 정책보고서. 요약pp.1-22.
  19. 이종찬 엮음. 한국 의료 대논쟁, 서울. 조합공동체 소나무. 2000.
  20. 최희경. 한국의 의료갈등과 의료정책. 서울. 지식산업사. 2007. p.139.
  21. 차흥봉. 의약분업 정책과정. 경기도. 집문당. 2006. pp.70-78, 83-116.
  22. 임종필. 한약학과 학제개편 타당성 연구. 보건복지부. 2005. p.164.
  23. 이종찬. [심층진단 의사.약사.한의사.의보조합] '너 죽고 나 살기' 20년 싸움. 서울. 신동아. 2000. 4월호. 통권 487호. pp484-499.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 n/2006/11/09/200611090500015/20061109050 0015_1.html. 2010.01.09.
  24.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0.01.09.
  25. '약사 한약취급 자격 논란'. 2005년 8월 23일. 의협신문.
  26. '약사 무제한 한약취급 허용 강력 요구'. 2006년 9월 16일. 메디팜뉴스.
  27. '탁상행정 사생아 한약사의 절규'. 2003년 12월 11일. 주간동아.
  28. '한약의약분업은 불가하다'. 2009년 3월 2일. 한의신문.
  29. '한약사회, 제18대 국회서 약사법 관련 규정 개선'. 2008년 8월 18일. 한의신문.
  30. '한약과 6년제 요구 등록거부 200여명 제적위기'. 2004년 11월 15일. 동아닷컴.
  31. '의료인 의무 포기.의약분업 빌미 제공'. 제461호. 2004년 4월 23일. 민족의학신문.
  32. 본디올한의원 청정탕전시스템. http://www. bondiol. co.kr /info/bondiol_system.asp. 2010.01.09.
  33. '한의사들 氣가 막힙니다'. 2009년 3월 20일. 동아닷컴.
  34. '약사 한약취급 자격 논란'. 2005년 8월 23일. 의협신문.
  35. '한약 부작용은 적으나 가격은 비싸다'. 2009년 3월 9일. 한의신문.
  36. '한방복합과립제 의약분업 추진 파문'. 제698호. 2009년 2월 23일. 민족의학신문.
  37. "한약제제(韓藥製劑)란 한약을 한방원리에 따라 배합하여 제조한 의약품을 말한다". 약사법 제2조.
  38. 서경석. '한약분쟁 해결책은 없는가'. 월간 사회 평론 길. 1993. 10. pp.104-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