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ttitude of the Internet Users to Real-Name System and Suggestions for Measures to Handle Adverse Effects of Anonymity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a Group of Experts and a Group of Non-Experts -

인터넷 이용자의 실명제에 대한 태도와 익명성의 역기능 대처 방안 - 관련 종사자 집단과 일반 사용자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백신정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협동과정 과학관리학)
  • Received : 2010.03.18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oday's society is being caught in a whirlpool of change that is not behind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Reformation and so on. Technological determinism is the most general perspective that explains information society. It is the belief that information technology will bring about a particular form of information society. It is the opinion that the sequence of change of technology is inevitable and asks for a particular social change(Kim, 2006). When technology asks for it, however, not only the degre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but also the credibility of the degre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a society. This study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opinion that social change and individual change can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rust of people in the Internet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s preferences of real-name system depending on the credibility of anonymity on the Internet and its influences on the behaviors of users, focused on the survey on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users and users related to the Internet business. It also suggests not only the potential and the appropriateness of anonymity on the Internet, but also measures to alleviate adverse effects of it. Last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dispute of real-name system and the standard of the anonymity policy on web sites.

21세기를 막 들어선 세계는 과거 산업혁명, 종교개혁 등에 전혀 뒤쳐지지 않는 정보사회의 변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있다. 이러한 정보사회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관점이 바로 기술결정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기술이 곧 특정한 모습의 정보 사회를 가져올 것이라는 믿음이다. 기술 결정론이란 기술변화의 경로가 필연적이며 특정한 사회 변화를 요구한다는 견해를 의미한다[2]. 그러나 기술이 특정한 사회 변화를 요구함에 있어서, 기술의 발전의 정도 또한 중요하지만 기술의 신뢰감도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하게된다. 이러한 전제로 본 연구에서도 인터넷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감 정도에 따라 사회 변화와 개인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견해를 가지고 진행하였다. 인터넷 익명성의 신뢰도에 따른 실명제의 선호도와 이용자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일반 사용자와 인터넷 관련 업계 종사자 간의 차이를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인터넷 익명성의 가능성 및 당위성 그리고 역기능에 대한 해소방안을 제안하여 실명제의 논의와 인터넷 웹사이트의 익명성 정책에 대한 기준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량, 엄명용, 김태웅(2007), 사이버 일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5. https://doi.org/10.5392/JKCA.2007.7.5.027
  2. 김환석(2006), 과학사회학의 쟁점들, 문학과지성사.
  3. 윤해진(2006), 온라인 서포트 커뮤니티에서의 인지된 익명성 - 계층적 개념구조와 공적인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0권, 6호.
  4. 이민식(2002), 사이버 범죄 피해에 대한 반응:일반모델의 검증, 피해자학연구, 제10권, 제2호, pp.207-247.
  5. 전명식(2004), 정보통신학 정립을 위한 연구: IT 기반 사회의 익명성과 그 역기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6. 최연숙(2004),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과 청소년들의 사이버 일탈행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성균관대.
  7. 최희재, 이준기, 김정원(2009),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기술적, 사회적 익명성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02.
  8. Kling et al(2000), “Assesing Anonymous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in Baird, R. M, Ramsower, R., Rosenbaum, S.E(ed.):Cyberethics - Social and Moral Issues in the Computer Age,” Prometheus Books, New York , pp.107-128.
  9. Hair, J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Black, W. C.(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Hall, 5th 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