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lake Durability of Fresh to Weathered Cretaceous Shale

풍화에 따른 백악기 셰일의 물성 및 슬레이크 내구성에 관한 연구

  • Kim, Hai-Gyoung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Tae-Kuk (Dept. of Civi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Oh, Kang-Ho (Dep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해경 (광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태국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오강호 (전남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8.02
  • Accepted : 2010.09.1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We performed laboratory measurement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lake durability of Cretaceous shale from the Hwasun area, Korea, including highly weathered and fresh samples, yielding ranges of specific gravity of 2.14-2.88, dry density of 1.86-2.83(g/$cm^3$), water content of 0.12-6.36 (%), porosity of 1.33-20.49 (%), and absorption ratio of 0.51-8.5 (%). The absorption ratio shows a strong linear relation with porosity, expressed as Ab = 0.44P-0.09 (Ab: absorption ratio, P: porosity). Values of the slake durability index ($Id_2$) and point load intensity index ($Is_{(50)}$) of highly weathered to fresh shale are 90.07-99.33 (%) and 10.8-90.2(kg/$cm^2$), respectively. $Id_2$ is linearly related to $Is_{(50)}$, expressed as $Is(50)=1E-07e^{0.2033Id_2}$(kg/$cm^2$)($r^2=0.69$). This equation is a useful tool for estimating the $Id_2$ value for shale in the Hwasun area.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 셰일을 대상으로 실내 시험을 통하여 풍화정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과 슬레이크 내구성 특성을 파악하였다. 심한풍화 상태에서 신선한 상태의 셰일의 비중은 2.14~2.88, 건조밀도는 1.86~2.83(g/$cm^3$), 함수율은 0.12~6.36(%), 공극률은 1.33~20.49(%) 그리고 흡수율은 0.51~8.52(%)의 범위를 갖는다. 물리적 특성 중에서 공극률과 흡수율은 Ab = 0.44P-0.09(Ab: 흡수율, P: 공극률)의 관계식으로 표현되며, 결정계수($r^2$)는 0.99로 상관성이 양호한 편이다. 심한풍화 상태에서 신선한 상태의 풍화정도에 따른 셰일의 슬레이크 내구성 지수($Id_2$)는 90.07~99.33(%)의 범위를 갖으며. 또한 점하중강도 지수($Is_{(50)}$)는 10.8~90.2(kg/$cm^2$)의 범위를 갖는다. 점하중강도 지수와 슬레이크 내구성 지수와의 관계에서는 점하중강도 지수가 클수록 슬레이크 내구성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상관 관계식은 $Is_{(50)}=1E-07e^{0.2033Id_2}$(kg/$cm^2$) ($r^2=0.69$)로 표현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석, 유병옥, 이상돈, 2002, 경상분지 셰일 지역에서의 절토사면 파괴 특성, 한국지반공 학회 암반역학위원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104-114.
  2. 김교원, 김수정, 2006, 한반도의 암종별 공학적 특성의 상 관성 분석, 대한지질공학회지, 16, 59-58.
  3. 김봉균, 김종환, 박희인, 윤석규, 이대성, 이하영, 장기홍, 정창희, 1982, 한국의 지질과 광물 자원, 대림문화출판사, 520p.
  4. 김성환, 유병옥, 조성로, 1997, 암석의 풍화에 따른 강도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 공학회 97 사면안정 학술발표회 논문집, 115-136.
  5. 김영수, 서인식, 허노영, 이재호, 김병탁, 2001a, 층리면을 고려한 셰일의 공학적 특성, 한국 지반공학회논문집, 17(1), 5-13.
  6. 김영수, 허노영, 방인호, 이재호, 성언수, 2001b, 셰일(혈암)의 이방성 파괴특성, 한국지반 공학회논문집, 17(2), 13-20.
  7. 문종규, 2001,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와 점하중강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5p.
  8. 민덕기, 문종규, 2006a, 울산지역 퇴적암의 강도 추정법 연구-점하중 강도 지수로부터 일 축압축강도 추정-,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2(8), 63-75.
  9. 민덕기, 문종규, 2006b, Schmidt hammer 반발지수로 울산 지역 퇴적암의 공학적 특성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 22(10), 139-150.
  10. 박시현, 1996, 퇴적암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p.
  11. 박형동, 2002, 이암과 셰일의 지질공학적 특성, 한국지반공학회 암반역학위원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20-30.
  12. 윤지선, 1991, 암석암반의 조사와 시험, 구미서관, 671p.
  13. 이수곤, 이송, 1995, 점하중강도를 이용한 한국화강암의 일축압축강도 추정방법, 대한토목학회, 15, 1015-1027.
  14. 이승재, 노상림, 윤지선, 2001, 포항지역 이암과 대구지역 흑색 셰일의 물리, 역학적 특성, 한국자원공학회지, 38(4), 310-315.
  15. 이영휘, 1995, 포항 이암층의 slaking, 팽창 및 전단강도 특성, 한국지반공학회지, 12(2), 33-42.
  16. 이영휘, 김용준, 박준규, 2000, 압축강도와 풍화에 관련된 퇴적암의 공학적 특성, 한국지반 공학회논문집, 16(1), 5-17.
  17. 이영휘, 김용준, 정강복, 2002, 퇴적암의 공학적 특성 및 문제점, 한국지반공학회 암반역학 위원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32-50.
  18. 이정인, 이희근, 유창하, 양형식, 1982,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암석류의 역학적 특성연 구(제1보) -주요 탄전 지역 및 지하발전소건설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암의 역학적 성질-, 대한광산학회지, 19, 260-267.
  19. 이희근, 양형식, 1997, 응용암석역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504p.
  20. 임종석, 이원택, 권호진, 송영우, 박용원, 1996, 지반공학 용어사전, 671p.
  21. 정태종, 1996, 대구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셰일의 역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7, 489-496.
  22. 정형식, 유병옥, 1997, 암석의 풍화에 따른 강도변화 특성 및 강도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 지반공학회지, 13(6), 71-93.
  23. Bieniawski, Z. T., 1975, The point load test in geotechnical practice, Engineering Geology, 9, 1-11. https://doi.org/10.1016/0013-7952(75)90024-1
  24. Bieniawski, Z. T., 1989, Engineering Rock Mass Classif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272p.
  25. Brown. E. T., 1981,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ering(ISRM suggested methods), Pergamon press, 200p.
  26. Franklin, J. A. and Chandra, R., 1972, The slake durability test, Int J Rock Mech Sci 9, 325-341. https://doi.org/10.1016/0148-9062(72)90001-0
  27. Gamble, J. C., 1971, Durability-plasticity classification of shales and other argillaceous rocks, Ph. D.,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159p.
  28. Goodman, R. E., 1980, Introduction to Rock Mechanics, John Wiley & Sons, 478p.
  29. Hawkins, A. B. and Olver, J.A.G., 1986, Point load test: correlation factors and contractual use an example from the Corallian at Weymouth, Geological society publication, 2, 269-271.
  30. ISRM, 1985, ''Suggested Methods for Determining Point Load Strength'',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 Geomechanics Abstract, 22, 51-60. https://doi.org/10.1016/0148-9062(85)92327-7
  31. Leung, C. F. and Radhakrishnan, R., 1990, Geotechnical properties of weathered sedimentary rocks, Geotech Eng, 21, 29-48.
  32. Wyllie, D. C., 1992, Foundations on Rock, Chapman & Hall, England, 40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