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병렬화 처리기법 적용

Application of MPI Technique for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 투고 : 2010.04.20
  • 심사 : 2010.08.05
  • 발행 : 2010.08.31

초록

지금까지 분포형 모형은 개념적 모형에 비해 운동역학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물의 흐름을 수치해석으로 추적해 나가기 때문에 많은 컴퓨터 메모리용량이 요구되고 계산수행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분포형모형의 적용은 주로 소유역에 국한되어 적용되어왔으며, 대유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격자의 해상도를 낮추거나 소유역 적용과 동일한 해상도에서는 계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실무적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어왔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MPI (Message Passing Interface)기법을 적용하여 물리적이고 복잡한 수치계산을 하는 분포형모형의 단점 중 하나인 대유역 적용시의 계산소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병렬화 기법의 적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단일 영역에서 계산된 결과와 다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여 수행되어진 계산 결과를 비교하였다. 용담댐 유역에 2006년 태풍 '에위니아' 사상을 대상으로 병렬화 계산을 수행한 결과 단일 프로세서에서 분포형모형을 수행하는 것보다 병렬코드에서 수행한 경우가 유출계산 값의 변동 없이 최고 10배에 해당되는 계산시간이 단축되었다.

Distributed Models have relative weak points due to the amount of computer memory and calculation time required for calculating water flow using a numerical analysis based on kinematic wave theory when compared to the conceptual models used so far. Typically, the distributed models have been mainly applied to small basins. It was necessary to decrease the resolution of the grid to make it applicable for large scale watersheds, and because it would take up too much time to calculate using a higher resolution. That has been one of the more difficult factors in applying the model for actual work. In this paper, MPI (Message Passing Interface) technique was applied to solve the problem of calculation time as it is one of the demerits of the distributed model for performing physical and complicated numerical calculations for large scale watersheds. The comparison studies were performed a single domain and a divided small domain in Yongdam Dam watershed in case of typoon 'Ewiniar' at 2006. They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application effects of parallelization technique. As a result, a maximum of 10 times the amount of calculation time was saved but keeping the level of quality for discharge by using parallelization code rather than a single processo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욱, 양성봉(2000) “ MPI 기반의병렬성층.회전난류시뮬레이션” 정보처리학회논문지, 한국정보처리학회, 제7권, 제1호, pp. 57-64.
  2. 박진혁, 강부식 (2006) “댐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과 집중형모형의 유출해석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3호, pp. 171-182.
  3. 박진혁, 강부식, 이근상, 이을래 (2007). “레이더와 Vflo를 이용한 남강댐유역 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논문집,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0권, 제3호, pp. 13-21.
  4. 박진혁, 허영택 (2008a) “유역특성을 반영한 공간격자기반의 분포형모형 개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3D호, pp. 431-436.
  5. 박진혁, 허영택(2008b) “홍수유출해석을 위한 운동파기반의 분포형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41권, 제5호, pp. 455-462.
  6. 박진혁, 허영택 (2009). “K-DRUM 개선을 위한 초기토양 함수자동보정기법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논문집,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7권, 제2호, pp. 71-79.
  7. 박진혁, 허영택, 류경식, 이근상 (2009) “GIS격자기반 KDRUM을 활용한 용담댐유역 홍수유출모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1D호, pp. 145-151.
  8. 한국대댐회 홈페이지, http://www.kncold.or.kr/korean/dam/k_dam9.html.
  9. 허영택(2006) “Cavity Formation and Its Remote Sensing in Sand Layer.” 교토대학 박사학위논문
  10. Beven, K. (1979) “On the generalized kinematic routing method.”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pp. 1238-1242. https://doi.org/10.1029/WR015i005p01238
  11. Mein, R.G., and Larson, C.L., (1973). “Modeling the infiltration component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Bulletin 43.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MN.

피인용 문헌

  1.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mputing Time of 2 Dimensional Finite Volume Model using MPI vol.47, pp.7,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7.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