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Zhu Xi's Theory of I-Qing in Yi Xue Qi Meng(易學啓蒙)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1.30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Zhu Xi(朱熹)'s theory of I-Qing(易經) present in Yi Xue Qi Meng. Zhu Xi aims to establish a novel Confucian theory of I-Qing, examining the study of I-Qing in Han Dynasity and the Taoist theory of I-Qing. To this end, he embraces Shao Yong(邵雍)'s theory of Xian Tian. Adapting the notion of Xian Tian(先天) as developed by Shao, he completes the Image-Number(象數) Theory of Hetu-Luoshu(河圖洛書). While discussing Hetu Luoshu, Zhu Xi argues that the Image and Number are not merely a form of prognostication, but a medium that reveals the principles of the nature and the sagely ways of mind. In addition, by studing I-Zhuan(易傳) in authoring Yi Xue Qi Meng, Zhu Xi maintains that the notions of Image and Number as he understands were to be approved by Confucius. This leads to the unification of Sho Yong's Tai-Ji(太極), Zou Dun Yi(周 敦頤)'s Tai-Ji, and Tai-Ji in Hetu. Through this work, Zhu Xi attempts to construct a systematic philosophy that straddles ontology and value theory, while identifying Li (理) with Xiang (象) and Shu (數). The Image-Number Theory of Hetu-Luoshu has replaced numerous theories of Image and Number at the time of Zhu Xi. Based on this theory, he restores the method of divination as presented in Xi CI Zhuan(繫辭傳). By successfully applying his theory of Image and Number to interpreting a number of recorded examples of divinatio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Warring States period, Zhu Xi demonstrates that his theory is not only an abstract metaphysical theory, but also can function as an adaptable method of divination.

이 논문은 향후 조선유학자들의 『역학계몽』의 수용양상을 연구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주로 『역학계몽』 원전을 분석하여 주자가 『역학계몽』을 지은 문제의식은 무엇이며, 그러한 문제를 풀어가는 논리와 사유의 특색은 무엇인가를 논의한 것이다. 주자의 문제의식은 당시 한대역학, 도교역학, 의리역학 등을 망라하여 새로이 계통이 있는 유가역학을 건립하려는데 있었다. 주자(朱子)는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모델로 소강절(邵康節)의 선천학을 수용하고, 그의 선천개념을 변용하여 하락상수론을 제시한다. 하락을 자연의 이치가 담긴 역의 근원이자 성인의 심법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상수가 단순히 술수가 아니라, 자연의 이치와 성인의 심법을 드러내는 매체임을 밝힌다. 또한 십익의 내용들을 『역학계몽』의 주요탐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그가 추구하는 상수가 이미 공자가 승인한 내용임을 정당화한다. 그리하여 하도의 중(中,태극), 소강절 선천학의 태극, 주렴계 태극도설의 태극을 하나로 회통시킴으로써 상·수·리가 일체가 되며, 우주론과 존재론, 수양론을 포괄하는 체계를 세우고자 하였다고 본다. 마치 리(理)와 기(氣)가 불리부잡(不雜不離)의 관계에 있듯, 상수와 리의 관계 역시 상호 밀착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수를 이치를 드러내는 매개로 보는 주자의 하락상수론은 당대의 번쇄한 상수론을 대체하여 「계사전」에 입각한 새로운 점법을 정비하고, 그에 의거하여 춘추전국시대의 점친 사례를 고증함으로써, 그의 상수론이 추상적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점법으로 적용가능함을 보여준다. 주자이후 중국학계에서 직접 『역학계몽』자체를 연구한 경우는 많지 않아, 조선에서 『역학계몽』관련 저작이 30편을 상회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향후 조선유학자들의 『역학계몽』연구를 탐색하는 것은 조선역학의 특색을 밝히는 하나의 통로가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KRF-2009-A0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