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ucian Cultivation of Mind and Meditation - The Care Model of Cultivation Applied by Toe-gye' 『The Method on Preservation of Human mind (活人心方)』

유가 공부론과 명상 - 퇴계 활인심방(活人心方)을 응용한 수양치료 모형 -

  • Received : 2010.01.26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Confucian moral cultivation and meditation. Recently our community is more interested in 'a disease of mind'. A view of world, life, values which derived from the distorted perception of 'a disease of mind' can not be treated by psychiatric methods. In this sense, 'a disease of mind' is different from psychiatric illness. In this reason, alternative therapies applying philosophy, literature, arts, and humanities are attracting attention. Meditation is also one of them. In general, Meditation has been developed in Buddhism, but its method is closely related with Confucianism. Buddhist meditation has a pessimistic view of the reality in human life, but that of Confucian philosophy has laid stress on the reality and ego in human life. At this point, the Confucian meditation could provide a clue of solution for us in treatment of a disease of human mind. So Confucian moral cultivation and meditation have a great significance for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as a methodology. In general, mental healing or psychotherapy has been proceeded by way of dialogue. 'Talking Cure' was conceived to let clients themselves recognize their current situation and find out the problem: "what happened and what's wrong" in their minds. But it does not have a high possibility of successful cure for subjects who are in the state of frustration, confusion, and lost of value. And also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o special institutions such as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military soldier who are targeted by current application of Humanities therapy. On this sense, it seems to be valuable to apply Confucian cultivation of mind and meditation which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ind-control for thi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oretically how to relate the Confucian cultivation of mind with meditation, and to suggest a model of Humanities therapy that could be applied by Toe-gye's 『The Method on Preservation of Human mind(活人心方)』. Although Confucian cultivation of mind could present a meaningful theory for curing the disease of mind, it is very difficult to put the theory into practice. It is because Confucian cultivation of mind in itself is a kind of instruction that you need to do in all of your life, and essentially it is difficult to expect a temporary effect by performance or practice. So a cure model of Confucian cultivation of mind will be suggested on this assumption and limitations. This model is attempted on the main purpose of Humanities therap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a Korean model.

이 논문은 유가 공부론과 명상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는 마음의 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흔히 세계관과 인생관, 가치관에 대한 왜곡된 인식에서 비롯된 마음의 병은 정신의학적 방법으로 치료될 수 없다는 점에서 신경정신과적 질병과는 구분된다. 철학을 비롯하여 문학, 예술 등 다양한 인문학을 활용한 대체치료가 주목받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명상 또한 이들 가운데 하나이다. '명상'은 흔히 불교에서 발전해 온 것으로 생각되지만, 유학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불교의 명상은 현실의 삶을 부정하지만, 유가의 명상 철학은 현실과 자아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또한 유가의 수양론과 명상 철학은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정신치료나 심리치료는 그 방법이 대개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대화치료(talking cure)'는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현 상황을 인지하고, 그 문제를 스스로 발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인문학을 응용한 치료가 대상으로 삼고 있는 교정기관이나 군부대와 같은 특수기관 수용자에게는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방법이 아니다. 이 점에서 '마음 다스리기'를 강조한 유가의 공부론과 명상법은 응용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어 보인다. 여기에서는 유가 공부론과 명상의 관계가 이론적으로 어떤 관계인가를 살펴보고, 퇴계의 『활인심방』을 응용하여 인문치료의 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동양의 수양론이 '마음의 병'에 대해 의미있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긴 하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현장에서 응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수양론 자체가 일생을 두고 수행해야 할 지침이며, 그 성격상 일시적인 수행이나 실습을 통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수양 치료 모형은 이러한 한계를 전제로 한 것으로, 인문치료의 한국적 모형 개발이라는 목적에 따른 시도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7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KRF-2007-361-AM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