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과 임라산(林羅山)의 『노자초해(老子抄解)』 비교 연구 서설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 투고 : 2010.02.05
  • 심사 : 2010.03.13
  • 발행 : 2010.03.31

초록

이 논문은 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과 하야시라잔(林羅山)의 『노자초해(老子抄解)』 비교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를 정리한 정리형 논문이다. 필자는 '박세당의 『신주도덕경』과 하야시라잔의 『노자초해(老子抄解)』비교 연구'에서 주목했던 점은 첫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 둘 모두 당면한 시대의 사상적 도그마를 극복하려고 했다는 점"이며, 두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이 지향한 공통적 사유, 곧 '기성의 질서를 넘어서'라는 사상적 도전 과정에 그들의 『노자』 주석이 그 역할의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노자』 해석은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노장 이해도 임희일의 연장선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야시라잔은 『노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 『장자』에 대해서는 유가적으로 해석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았다. 결국 하야시라잔에게 있어서 '임희일의 노장 이해에 대한 반전'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도가 사상 수용은 일차적으로는 '『노자』 수용'을 의미하며 좀 더 세밀하게 지적한다면 '도가 일반'이나 '『노자』 일반'이 아닌 특정한 하나의 관점 곧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를 수용했던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박세당의 『신주도덕경』은 임희일 주석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다. 그는 『노자』와 『장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면서 유가 경전이나 임희일의 주석을 답습하는 간접적 해석 방식을 지양하고 유가와 도가의 사상적 공유지점을 '수신치인(修身治人)'으로 지목하고, 이어서 『장자』「제물론」 성심(成心)의 개념적 내포를 성선론적 성(性)의 개념적 내포와 동치시키는 보다 직접적 방식을 통해서 도가 경전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희일이나 하야시라잔이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를 수용했던 것과 달리 박세당은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와 『장자』를 수용했다고 비교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essay for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who lived Lee Dynasty in 17C and Hayashi La Zan who lived Doku Kawa Bakuhu in 17C. This article have two points at issue. First one is the their challenge that resisted the dogma of their own age. And the other one is their challenge of thaught had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Lao Zi Note. They had a their own Lao Zi Note, Park Sae Dang朴世堂 had a New Note of Lao Zi 新註道德經 and Hayashi La Zan 林羅山 had a Selection Note of Lao Zi 老子抄解.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t points between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The Hayashi La Zan's comprehension of Lao Zi followed in Lao Zi Note of Lin Xi Yi 林希逸 who had a point of Confucian comprehension of Lao Zi, so the study of Taoism of Hayashi La Zan excepted Zhuang zi. Hayashi La Zan concentrated on only Confucian comprehension of Lao Zi because Lin Xi Yi's Note of Zhuang Zi had a point of Zen Buddhism. However Park Sae Dang's the study of Taoism has Lao Zi and Zhuang Zi. He understood Lao Zi and Zhuang Zi in a base on Confucian comprehension. He indicated Confucian moral principle 修身治人 for a equal point of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And he understood Cheng Xin成心 in Qiwulun in Zhuang Zi is similar to Xing性 of Xing Shan性善 in Meng Zi. Park Sae Dang analyzed not simply Lao Zi but also Zhuang Zi in a base on Confucian comprehens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