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 system in Central Asia: Significanc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중앙아시아 지역안보체제의 국제정치학적 의미

  • 김용환 (경상대학교 러시아학과)
  • Received : 2009.11.30
  • Accepted : 2010.01.10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In Post-soviet Space, particularly the Central Asian is a great turbulence region called the 'Eurasian Balkan', where diverse factors of conflict and dispute are existed. In Central Asia, a current regional security system is characterized by various multilateral cooperation relations among Central Asian nations and the world powers, such as NATO(PfP), OSCE, CIS, CSTO, CACO, SCO, CICA and so on. But nothing could obtain superiority as pan-regional security system. Unless internal problems and conflicts of the Central Asian nations be solved, security won't be assured in this region. Narrow-minded and blind realism will spread insecure region, make a lasting trouble spot in Eurasian contin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significanc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of security system in the Central Asia. I examine general features of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 formed after the Soviet Union's collapse, characteristics of multilateral cooperation related with Central Asian nations. Through consideration current situations I suggest prospects of security system in Central Asia.

본 논문의 목적은 소련해체 이후 중앙아시아 지역안보환경의 변화 양상과 중앙아시아 지역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다자간 협력기구들의 현황 및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중앙아시아 지역안보체제의 국제정치학적 의미를 규명하고, 중앙아시아 지역안보체제의 구축 전망을 제시하는데 있다. 중앙아시아는 일찍이 '유라시아의 발칸'으로 인식되었듯이 구(舊)체제에서 축적되고 독립 후 새로운 체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각국 내부의 다양한 갈등 요소들과 상호간 분쟁 요소들, 그리고 강대국들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중첩되고 있는 안보불안정 지역이다. 현실의 중앙아시아 지역안보는 미국을 위시한 서방의 이익을 대변하는 나토, OSCE 체제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포스트소비에트국가 간의 다자 및 양자협력 체제, 중국, 인도, 터키 등 역외 주요행위자들이 참여하는 다자협력기구들의 활동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의 움직임들은 아직까지 어느 것도 범지역적 대표성을 획득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각국 내부의 문제와 이들 국가 간의 갈등요소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 지역의 안보는 담보될 수 없으며, 편협하고 맹목적인 현실주의는 불안정 지역의 확산을 가져오고 유라시아대륙의 상당부분을 분쟁의 영구적인 근원으로 만들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미국, 러시아, 중국, EU 등 주요 행위자들의 전략적 판단과 선택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5년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KRF-2005-079-BM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