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Melting Characteristics of a Blade Type Fuse Used for Vehicles Due to Overload

과부하에 따른 차량용 블레이드형 퓨즈의 용단특성 해석

  • 최충석 (전주대학교 소방안전공학과)
  • Received : 2009.11.26
  • Accepted : 2010.04.0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basis for judgment on the cause of an accident by analyzing the melting characteristics of a blade type fuse used for vehicles due to overloa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it was conducted by connecting the electrical system with condition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vehicle to apply the load. Carbonization pattern experiment of fuse by outside flame applied Korean Standard (KS). The fuse melted by the overcurrent showed a smooth cross-section while the test terminals, clear plastic body, etc., burnt out by the external flame was badly deformed. When 185% of the rated current (27.8A) was applied to a cable of 15A rated current onto which an over-capacity fuse (20A) was installed, the fuse melting time was 217 seconds. In addition, when a load current of 28.8[A] (139%) was applied, the fuse's test terminal and terminal blade were not burnt out although foam was observed on some parts of the plastic body. When a load capacity of 28.2[A] (141%) was applied to a cable of 15A rated current onto which an over-capacity fuse (30A) was installed, the fuse melting time was approximately 10 seconds. When a load current of 35.8[A] (119%) was applied, the fuse's test terminal and terminal blade were not burnt out, although some parts of the plastic body was swelled.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the switch terminal melted if approximately six minutes lapsed under such conditions. When a load capacity of 39.4[A] (131%) was applied to a cable of 15A rated current onto which an over-capacity fuse (30A) was installed, the fuse melted in approximately 69 seconds, and the test terminal and terminal blade were not burnt.

본 연구에서는 과부하에 따른 차량용 블레이드 퓨즈의 용단 특성을 해석하여 사고원인 판정의 근거를 확보하는데 있다. 실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자동차와 유사한 조건의 전기시스템을 부하로 연결 하여 수행하였다. 외부 화염에 의한 퓨즈의 탄화 패턴 실험은 한국산업규격(KS)을 적용하였다. 과전류에 의해 용단된 퓨즈는 단면이 매끄러운 형태를 나타냈지만 외부화염에 의해 소손된 퓨즈의 시험단자, 용기 등이 심하게 변형되었다. 정격 용량이 15A인 전선에 과용량(20A) 퓨즈를 설치하고, 부하 용량은 정격전 류의 185%(27.8A)를 공급하였을 때 퓨즈의 용단 시간은 약 217초이다. 또한, 부하전류 28.8[A](139%)가 흘렀을 때 퓨즈의 시험 단자, 터미널 블레이드의 소손은 없으나 용기의 일부에서 기포 현상이 있다. 정격 용량 15A 전선에 과용량(30A) 퓨즈를 설치하고 부하용량 28.2[A](141%)가 흘렀을 때 퓨즈의 용단 시간 은 약 10초이다. 부하전류가 35.8[A](119%) 흘렀을 때 퓨즈의 시험 단자, 터미널 블레이드의 소손은 없 으나 용기의 일부가 부풀어 올랐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태로 약 6분이 경과되면 스위치 단자가 용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정격용량 15A 전선에 과용량(30A) 퓨즈를 설치하고 부하용량 39.4[A](131%)가 흘렀을 때 퓨즈는 약 69초에 용단되었고, 시험 단자 및 터미널 블레이드의 소손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東京消防廳, "新火災調査敎本 第8券 車輛火災編", pp.105-114(2007).
  2. 선우 명호 외 3 공역, "자동차공학", pp.236-248, 인터비전(2004).
  3. 최충석 외 5, "전기화재공학", 도서출판 동화기술, pp.189-198, 202(2004).
  4. 최충석 외 2, "과전류에 의해 용단된 소선의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안전학회논문지, Vol.19, No.1, pp.60-65(2004).
  5. 최충석 외 2, "VCTFK의 반복피로에 의한 소손 패턴의 특성 해석", 한국안전학회논문지, Vol.19, No.4, pp.42-47(2004).
  6. 김동우 외 4, "MCCB 및 단자대 접속부의 접촉불량에 의한 소손특성 및 과열 감지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2, No.4, pp.54-60 (2008).
  7. 김향곤 외 4, "백열전구의 소손 패턴 분석을 통한 화재조사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2, No.5, pp.22-28, (2008).
  8. KS R ISO 8820-1, "도로차량 -퓨즈링크-제1부: 정의 및 이란 시험 요구 사항"(2003).
  9. KS R ISO 8820-2, "도로차량 -블레이형 퓨즈 링크-제2부: 치수"(2003).
  10. W. Wrasidlo, "Transitions and Relaxations in Aromatic Polymers", J. Polymer Sci., Vol.A-2, No.9, pp.1603-1627(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