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of a Context-aware System for Safety at Smart Home and Analysis of Network Traffics

댁 내 안전관리를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설계 및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 성윤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우현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이미정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09.07.16
  • Accepted : 2009.11.1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damage of safety accidents at home can be minimized by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as well as by coping with the accidents promptly through the help of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is paper, we identify several services to prevent and cope with the accidents that may occur at home by leveraging sensors and wireless network technology available at home network environments. In order to provide these services, we propose a context-aware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at home. The proposed system awares the dangerous situations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s in home network environment. The proposed system tries to not only prevent the accidents but also to cope with the situations using the information of rescue targets and the location where the accident occurs. We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ensors by implementing the proposed environments. Through OPNET simulation experiments, we also measure the amount of network traffic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bandwidth of IEEE 802.15.4 is enough for the proposed system. Finally, we determine more appropriate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end-to-end delay and battery consumption for the proposed system.

댁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는 인간의 주의 또는 안전관리 시스템의 도움을 통해 미리 예방하거나 빠른 대처를 함으로써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댁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중에서도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센서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해 예방/관리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댁내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 아니라 구조대상자와 사고 발생장소의 상황정보를 이용해 대응을 할 수 있는 댁내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안전관리 시스템이 대처하는데 있어서의 센서 감지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해손해를 일으킬 수 있는 사고유형을 센서를 활용하여 구현하였으며, OP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이벤트 발생 횟수에 따라 발생하는 트래픽 양을 측정하여 평상시의 네트워크 트래픽 양과 비교하고, IEEE 802.15.4에서 제공하는 대역폭이 제안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대역폭을 만족시키는지 평가하였다. 또한 종단 지연 시간 및 베터리 소모량을 기반으로 제안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에 좀 더 적합한 IEEE 802.15.4의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방법을 결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word.tta.or.kr/index.jsp
  2. 임신영, 허재두, 박광로, 김채규,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동향", IITA 기술정책 정보단, 2004. 4.
  3. Jae-Bong Yoo, et al., "Simple & Private Cricket Emergency Call System for Location - based Service under U-911 in an Indoor Environment," ICHIT 2008, pp. 558-563, August 2008.
  4. 신성식, 서현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실내 화재감시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학술 심포지움 논문집 제2권 제1호, 2008. 6, pp. 108-110
  5. 김미경, 서민석, 윤종선, 박현주, "유비쿼터스 위치기반 재난 구조 시스템 설계", 한국인터넷정보확회 2004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2004. 5, pp. 145-148
  6. 조종식, 박우석 등 "유비쿼터스 자녀보호 시스템", 한국인터넷 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5, pp. 639-642
  7. Katsuhiro Takata, et al., "A Context Based Architecture for Ubiquitous Kid's Safety Care Using Space-oriented Model," ICPADS 2005, pp. 384-390.
  8. 소비자 안전국, 리콜제도 팀,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실태조사," 한국소비자원, 2007. 4
  9. 소비자안전국, 한국소비자원, "가정내 노인 안전사고 실태조사", 1998. 5
  10. AIG 우리집 만사 OK 종합 보험, http://elcoco.co.kr/index.php
  11. 2005년도 안전교육교사연수 - 유아기에서 여든 살까지의 행복
  12. 성윤영, 우현제, 이미정, "댁 내에서의 안전관리를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설계", 한국통신학회, 2009년도 하계종합학술발표회논문초록집 Vol. 39, pp.463
  13. Strang, T. and Linnhoff-Popiem, C., "A context modeling survey," UbiComp 1st International Workshop on Advanced Context Modeling, Reasoning and Management, Nottingham, pp. 34-41, 2004
  14. 이서우, 이종권,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를 위한 상황인식 처리 기술", 정보과학회지 제24권 제10호, 2006. 10, pp. 16-24
  15. Bauer, J. "Identification and Modeling of Contexts for Different Information Scenarios in Air Traffic," Mar. 2003. Diplomarbeit
  16. Henricksen, K., et al., "Management Infrastructure from High-Level Context Models," In Industrial Track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Data Management (MDM 2003), Melbourne, Australia, January 2003, pp.1-6
  17. RFC2608 - Service Location Protocol, Version 2, http://www.faqs.org/rfcs/rfc2608.html
  18. 한백전자, www.hanback.co.kr
  19. 삼각측량법, http://ko.wikipedia.org
  20. http://opn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