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석인. (1975). 산업심리학. 서울: 일조각, p. 183.
- 강순희. (1974). 피부신축에 따른 작업복 구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논문집 8집, p. 629.
- 강희정, 최혜선.(2008). 조선소 용접복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8), 1169-1178. https://doi.org/10.5850/JKSCT.2008.32.8.1169
- 권수애, 이종민, 최종명. (2003). 의복과 인체의 환경적응. 서울: 교학연구사, pp. 266-272.
- 김규상, 노재훈, 이경종, 정호근, 문영한. (1993). 중소규모 사업장의 작업환경과 건강장해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5(1), 3-14.
- 김성숙, 김희은. (2006). 건설현장 근로자의 작업복 실태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2), 203-208.
- 김성숙, 김희은. (2008). 소재개선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복 착의성능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 228-235.
- 김영희. (2007). 자동차 정비 작업복의 기능적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4), 531-539. https://doi.org/10.5850/JKSCT.2007.31.4.531
- 김창준. (1995). 복식대사전. 서울: 라사라, p. 1027.
- 김화진. (1999).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작업복 색채기획에 관한 연구: -생산직 근로 자들의 작업복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영, 정용현, 정재황, 서길수, 문영한. (1997). 유기용제의 피부흡수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7(2), 279-288.
- 김혜령, 서미아. (2002). 기계공업 종사자의 작업복 착용실태 조사 연구. 복식문화연구, 10(6), 718-734.
- 박순자, 신정숙, 정명희. (2003). 생활폐기물 소각장 작업자의 작업환경과 작업복 현황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7(8), 992-1003.
- 박윤숙. (1989). 섬유업체 근로자의 작업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혜원, 박진아. (2008). 공단근로자의 작업복 디자인 실태 및 선호도 연구. 패션비즈니스, 12(2), 134-152.
- 배현숙. (2001). 자동차 제조업체 근로자의 작업복 착의실태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9(7), 115-124.
- 배현숙, 박혜원, 박진아. (2007). 창원시 근로환경의 질과 복지향상을 위한 공단근로자들의 작업복 실태조사. 창원: 창원발전연구센터, p. 11.
- 백남원, 이영환, 윤충식. (1998). 우리나라 산업장 근로자의 유기용제 폭로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8(1), 88-94.
- 서미아, 박선희. (1996). 직장 남성들의 근무복 실태조사 연구. 복식문화연구, 4(3), 337-347.
- 서재민, 유진환, 임동현, 최정우, 조수현, 용종원, 조봉수, 서정록, 송삼성, 김관민. (2007). 조선업 위험성 평가 프로그램 모델 개발:-조선업 안전관리 시스개발 프로젝트-.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분야 2007-57-928.
- 유진환. (2008). 조선업 위험성평가 프로그램. Journal of the KSME, 48(6), 66-69.
- 윤학자. (1978). 작업복의 색과 구성이 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가정대학 연구보고 4집, pp. 13-22.
- 이경화. (1999). Clean Room Wear의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48, 117-132.
- 이사영. (1980). 산업안전관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p. 22.
- 이윤정, 정찬주, 정재은. (2002). 반도체 산업환경에서의 방진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지, 26(2), 337-348.
- 임현주, 최혜선, 이경미, 김수아. (2008). 항공정비복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지, 32(5), 681-691. https://doi.org/10.5850/JKSCT.2008.32.5.681
- 연도별 산업재해율. (200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검색일 2009. 7. 15, 자료출 http://www.kosha.or.kr
- 장귀연. (2009). 색채기능과 효과를 고려한 기계.자동차.조선업체의 작업복 색채계획.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선옥, 최혜선. (2006). 건설현장 근로자의 작업복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7), 1090-1102.
- 하선주, 최혜선, 김은경. (2008). 철도근로자 작업복 개발을 위한 착의실태조사. 한국복식학회지, 58(1), 90-103.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8). 조선업 중대 재해 사례집. 서울.
- 한국조선공업. (2009). 한국조선협회. 자료검색일 2009. 7. 15, 자료 출처 http://www.koshipa.or.kr
- 홍경희, 박길순, 권애연, 송양순, 오승희, 정유미. (1996). 동작기능성 향상을 위한 작업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2), 311-322.
- 深作光貞, 丹羽雅子. (1984). 快適性の 槪念過程. 纖維製品消費科學會誌, 25(6), 18-25.
- Fanger, P. O. (1967). Calculation of thermal comfort: Introduction of a basic comfort equation. ASHRAE Transactions, 73(2), 1-16.
- Vokac, Z., Kopke, V., & Keul, P. (1972).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and clothing comfort of the scandinavian ski dress in wear trials. Textile Research Journal, 42, 125-134. https://doi.org/10.1177/004051757204200210
Cited by
-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tective Clothing Materials for Welding in a Hazardous Shipbuilding Industry Work Environment vol.15, pp.3,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3.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