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Blended Learning Model using Differentiated Learning Pattern

수준별 학습 패턴을 적용한 블랜디드 러닝 모형의 개발

  • Received : 2009.10.14
  • Accepted : 2010.01.20
  • Published : 2010.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learning model based on achievement level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nd mechanism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e started by attempt to develop two questionnaires using the components of web-based instru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s results were implemented to represent the topology and directed merging path within components. 154 students at a high school were required to take each web course respectively for two weeks. And questionnaires data, achievement level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classical multidimensional scal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data. As an result, the topology and directed path within factors of blended learning process were derived and revised as a final model.

학습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적용될 학업 성취 수준별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 포함된 변인과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웹 학습요소와 자기조절학습을 기초로 하여 두 종류의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또한 이를 적용한 반응을 근거로 하여 각 요소 간 위상과 경로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154명을 실험 대상으로 2주간 사이버 학습을 실시하고 각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설문지 자료를 획득하였다. 또한 상관분석, 전통적 다차원척도법 그리고 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통계적 처리를 통해 각 요소 간 위상과 경로를 규명하고 블랜디드 러닝 모형을 정형화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의길, “온라인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협동학습의 관계 및 이들이 인지적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1권, 제3호, pp.53-78, 2005.
  2. 임철일,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전략의 특성과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17권, 제3호, pp.53-83, 2001.
  3. D. H. Jonassen, Revisiting activity theory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In D. H. Jonassen & S. M. Land(Eds.)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89-121), Mahwah, NJ: LEA, 2000.
  4. J. R. Malpss, H. F. O'Neil, and D. Hocevar,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high-stakes math achieve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high schoo students," Roeper Review, Vol.21, pp.281-299, 1995. https://doi.org/10.1080/02783199909553976
  5. K. Mantyla, Blended E-LEARNING, ASTD, 2003.
  6. 강이철, 박기용, “e-Learning환경에서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정보 구조화 방략”,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pp.191-215, 2001.
  7.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pp.67-72, 2003.
  8. 김종두, "웹 기반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분석: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학업성취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2호, pp.87-114, 2006.
  9. 이재경,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2호, pp.83-106, 2000.
  10. B. J. Zimmerman and M. Martinez-Pons,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pp.284-290, 1994. https://doi.org/10.1037/0022-0663.80.3.284
  11.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1호, pp.223-246, 2000.
  12. C. Senecal, R. Koestner, and R. J. Vallerand, “Self-regul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gy, 135, pp.607-617, 1995. https://doi.org/10.1080/00224545.1995.9712234
  13.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이론: 의미, 구성요소, 설계원리”, 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1호, pp.143-162, 1999.
  14. K. Ley and D. B. Young, “Instructional principles for self-regulation,” ENT&D, Vol.49, No.2. pp.93-105, 2001.
  15. D. H. Schunk, "Verbalization and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 pp.347-369, 1986. https://doi.org/10.1016/0361-476X(86)90030-5
  16. 김도헌, "Blended Learning 그것이 알고 싶다", 월간산업교육, Vol.151, pp.54-57,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