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최미성 (2008). 실제체형과 이상체형에 대한 남녀 대학생들의 인식과 선호체형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3), pp. 443-453.
- Richard, L. Gregory (1997). Eye & Brain: The Psychology of Seeing. Princetone University Press, pp. 194-243.
- 김양원, 이해영. 이은경 (1997)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취급실태. 한국생활과학회지, 6(2), pp. 115-120.
-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상표 챙바지의 구매의도에 따른 평가기에 대한 신념과 추구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차이연구. 한국의류학희지, 18(2), pp. 263-272.
- 김언정 (2003). 청바지 형태에 다른 소비자 착용실태 및 착의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정숙, 성수광 (2003). 진 슬랙스 구입 및 수선에 관한 실태조사-18-23세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2), pp. 153-158.
- 불황도 비껴간 美프리미엄진 시장 '후끈'(자료 검색일 2009. 06. 08) 성공창업의 플랫폼 비즈플레이스 뉴스팀. 자료출처 http://www.bizplace.co.kr/biz_html/content/naver_content_ view.html?seq_no=20567&page=1&b_code=&code=2009.07.01
- 최윤미 (1993). 복식에 표현된 초현실주의 양식 및 그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1), pp. 137-149.
- 류정아 (1992). 의복디자인의 선이 체형에 미치는 착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정, 이인자 (1994). 의복디자인에 따른 게스탈트 착시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 22, pp. 333-344.
- 최은영 (1995). 무늬의 크기, 배열, 명도대비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 24호, pp. 193-203.
- Marin, L. Davis (1980). Visual Design in Dress. Prentice Hall, p. 45.
- Harriet, T. Mcjimsey (1976).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Iowa State University Press, pp. 109-115.
- 박혜령 (1995). 의복디자인 선에 따른 색채의 착시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231-232.
- Marin, L. Davis (1980). Visual Design in Dress. Prentice Hall, pp. 18-22.
- Sailor P. J. (1971). Perception of Line in Clothing. Perceptural and Moter Skills, 33(2) , pp. 987-990. https://doi.org/10.2466/pms.1971.33.3.987
- Margaret, Baer (1979). Visual recall of Dress design determined by perceptual Styl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7(5), pp. 292-303. https://doi.org/10.1177/1077727X7900700503
- 류정아 (1992). 의복디자인의 선이 체형에 미치는 착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 Marilyn, R. Dlong (1987). The Way We Look - A Framework for Visual Analysis of Dres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p. 63.
- 박채련 (1997). 체형에 따른 선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I. 대한가정학회지, 35(1), pp. 307-318.
- 이경성 (1986). 공예통론. 수학사.
- 이경선 (1976) . 미슬이란 무엇인가. 일지사.
- Fallon, A. E., & Rozin, P. (1990). Sex deferences inperceptions of body shape. Journal of Abormal Psychology, 94, pp. 32-39.
- Thomp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 we've reviled them, now can we rehabilitate them?. Journal of Social Issues, 55(2), pp. 17-21.
- Douty, H. L. & Brannon, E. L. (1984). Figure attractiveness: male and female preference for female figur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3(2), pp. 46-51.
- Labat, K. L., & Delong, M. R. (1990). Body Cathexis and satisfaction with fit of apparel.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8(1), pp. 27-31.
- 竹內敏雄(編修) (1983). 美學藝術學事典, 안영길, 지미정, 오무석, 민은기, 손현숙, 최범, 이재언 역 (1990). 미학.예술학 사전, 미진사. pp. 14-21.
- 장문호 (1975). 復節美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8-11.
- Ted, Polyhemus (1988). Body Style, Lennard Publishing. p. 51.
- Fashionbiz (2006). 진마켓 뜨겁다. 섬유저널, 3, pp. 23-25.
- 자료검색일 2009.06.21. 자료출처 http://www.truereligionbrandjeans.com/Womens_Jeans/pl/c/1170.html
- 어미경, 서미아 (2007). 캐쥬얼 브랜드의 청바지 생산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4), pp. 702-712.
- 이경림, 박숙현 (2008). 신체만족도와 선체인지도에 따른 의복 맞음성 만족도. 복식, 54(1), pp. 69-81.
- 김해순 (2002). 데님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스티치 장삭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영희 (2000). Jean 소재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올뽑기와 올풀기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진, 도월희 (2008). 부츠컷 청바지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20-30대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의류학회지, 32(2), pp. 271-283.
- 이영미, 이인자 (2005). 신체유형과 성별에 따른 청바지 이미지1.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1), pp. 85-99.
- 정삼호 (1988). 성인여성의 의복디자인 선호도와 의복태도에 관한 연구: 신체적 조건을 중심으로. 가정문화논의, 12, pp. 61-83.
- 자료검색일 2009.6.20, 자료출처 http://sizekorea.kats.go.kr/02_data/directData01.asp?OlapCode=SIZU0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