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of Blue-Jean for Women that Apply Optical Illusion - Focusing on Linear Optical Illusions -

착시효과를 응용한 여자 청바지 디자인 - 선의 착시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09.09.07
  • Accepted : 2010.02.1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lue-Jean Design for Ideal Body Shape. The final aim of Fashion design is looks beauty of people by optical illusion. This study is based on Gestalt therapy and, is blue jeans design using optical illusion of vertical line for ideal beauty body image. Optical illusion for blue-jean design effect to achieve the ideal body shape. We can accumulate the preceding study for modern clothing from design and the related optical illusion effects. Vertical line stitches have all the advantages especially in pants design. I design blue jeans using optical illusion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ertical line helps that jean has the long body shape effectively. Second, Jeans which have two or more vertical lines is more effective than simple Jean in order to make slim body shape. Third, Appropriate position of horizontal lines can be effective to make long body shape. Fourth, Top stitch, pin-tuck and pleats can be applied to vertical or horizontal lines instead of cutting lines.

Keywords

References

  1. 최미성 (2008). 실제체형과 이상체형에 대한 남녀 대학생들의 인식과 선호체형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3), pp. 443-453.
  2. Richard, L. Gregory (1997). Eye & Brain: The Psychology of Seeing. Princetone University Press, pp. 194-243.
  3. 김양원, 이해영. 이은경 (1997)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취급실태. 한국생활과학회지, 6(2), pp. 115-120.
  4.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상표 챙바지의 구매의도에 따른 평가기에 대한 신념과 추구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차이연구. 한국의류학희지, 18(2), pp. 263-272.
  5. 김언정 (2003). 청바지 형태에 다른 소비자 착용실태 및 착의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정숙, 성수광 (2003). 진 슬랙스 구입 및 수선에 관한 실태조사-18-23세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2), pp. 153-158.
  7. 불황도 비껴간 美프리미엄진 시장 '후끈'(자료 검색일 2009. 06. 08) 성공창업의 플랫폼 비즈플레이스 뉴스팀. 자료출처 http://www.bizplace.co.kr/biz_html/content/naver_content_ view.html?seq_no=20567&page=1&b_code=&code=2009.07.01
  8. 최윤미 (1993). 복식에 표현된 초현실주의 양식 및 그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1), pp. 137-149.
  9. 류정아 (1992). 의복디자인의 선이 체형에 미치는 착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미정, 이인자 (1994). 의복디자인에 따른 게스탈트 착시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 22, pp. 333-344.
  11. 최은영 (1995). 무늬의 크기, 배열, 명도대비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 24호, pp. 193-203.
  12. Marin, L. Davis (1980). Visual Design in Dress. Prentice Hall, p. 45.
  13. Harriet, T. Mcjimsey (1976).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Iowa State University Press, pp. 109-115.
  14. 박혜령 (1995). 의복디자인 선에 따른 색채의 착시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231-232.
  15. Marin, L. Davis (1980). Visual Design in Dress. Prentice Hall, pp. 18-22.
  16. Sailor P. J. (1971). Perception of Line in Clothing. Perceptural and Moter Skills, 33(2) , pp. 987-990. https://doi.org/10.2466/pms.1971.33.3.987
  17. Margaret, Baer (1979). Visual recall of Dress design determined by perceptual Styl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7(5), pp. 292-303. https://doi.org/10.1177/1077727X7900700503
  18. 류정아 (1992). 의복디자인의 선이 체형에 미치는 착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19. Marilyn, R. Dlong (1987). The Way We Look - A Framework for Visual Analysis of Dres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p. 63.
  20. 박채련 (1997). 체형에 따른 선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I. 대한가정학회지, 35(1), pp. 307-318.
  21. 이경성 (1986). 공예통론. 수학사.
  22. 이경선 (1976) . 미슬이란 무엇인가. 일지사.
  23. Fallon, A. E., & Rozin, P. (1990). Sex deferences inperceptions of body shape. Journal of Abormal Psychology, 94, pp. 32-39.
  24. Thomp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 we've reviled them, now can we rehabilitate them?. Journal of Social Issues, 55(2), pp. 17-21.
  25. Douty, H. L. & Brannon, E. L. (1984). Figure attractiveness: male and female preference for female figur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3(2), pp. 46-51.
  26. Labat, K. L., & Delong, M. R. (1990). Body Cathexis and satisfaction with fit of apparel.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8(1), pp. 27-31.
  27. 竹內敏雄(編修) (1983). 美學藝術學事典, 안영길, 지미정, 오무석, 민은기, 손현숙, 최범, 이재언 역 (1990). 미학.예술학 사전, 미진사. pp. 14-21.
  28. 장문호 (1975). 復節美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8-11.
  29. Ted, Polyhemus (1988). Body Style, Lennard Publishing. p. 51.
  30. Fashionbiz (2006). 진마켓 뜨겁다. 섬유저널, 3, pp. 23-25.
  31. 자료검색일 2009.06.21. 자료출처 http://www.truereligionbrandjeans.com/Womens_Jeans/pl/c/1170.html
  32. 어미경, 서미아 (2007). 캐쥬얼 브랜드의 청바지 생산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4), pp. 702-712.
  33. 이경림, 박숙현 (2008). 신체만족도와 선체인지도에 따른 의복 맞음성 만족도. 복식, 54(1), pp. 69-81.
  34. 김해순 (2002). 데님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스티치 장삭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영희 (2000). Jean 소재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올뽑기와 올풀기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진, 도월희 (2008). 부츠컷 청바지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20-30대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의류학회지, 32(2), pp. 271-283.
  37. 이영미, 이인자 (2005). 신체유형과 성별에 따른 청바지 이미지1.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1), pp. 85-99.
  38. 정삼호 (1988). 성인여성의 의복디자인 선호도와 의복태도에 관한 연구: 신체적 조건을 중심으로. 가정문화논의, 12, pp. 61-83.
  39. 자료검색일 2009.6.20, 자료출처 http://sizekorea.kats.go.kr/02_data/directData01.asp?OlapCode=SIZU0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