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조건에 따른 장흥지역 토질의 공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Soil Mecha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in JangHeung Area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윤중만 (안산공과대학 건설계열)
  • Song, Young-Suk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Yun, Jung-Man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투고 : 2009.11.20
  • 심사 : 2010.03.18
  • 발행 : 2010.03.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에 대한 지질조건에 따른 토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상지역의 지질은 인곡응회암, 유치역암, 다도응회암 등으로 구분되며, 유치역암은 대상지역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다. 대상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역암, 응회암 및 세일구간에 대하여 비교란 및 교란시료를 채취하고 각종 실내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역암지역의 경우 건조단위중량이 크고 투수계수가 작으며, 응회암 및 셰일 지역의 경우 건조단위중량이 작고 투수계수가 큼을 알 수 있다. 흙의 유효입경과 세립토함유량은 흙의 투수계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흙의 유효입경이 증가함에 따라 흙의 투수계수는 증가하고, 흙의 세립토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투수계수는 감소하게 된다.

The soil mecha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logic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area. The geology of study area was consisted of Ingok Tuff, Yuchi Conglomerate and Dado Tuff. Yuchi Tuff covered about 80% of the study area. The disturbed and undisturbed soils were sampled from the conglomerate area, Tuff area and Shale area, and then a series of the laboratory soil tests was performed. The soils sampled from the conglomerate area have a large dry unit weight and a low permeability relatively, while the soils sampled from tuff and shale areas have a small dry unit weight and a high permeability. It is proven that the soil permeability is highly affected by the effective grain size and the silt and clay content. That is, the soil permeability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effective grain size, and the soil permeability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ilt and clay cont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수 (2007), "부산지역 자연사면의 지질조건에 따른 토질 특성", 지질공학, 제17권, 제3호, pp.471-481.
  2.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조용찬 (2000), "강우에 의한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특성 -충청북도 보은지역-", 지질공학, 제10권, 제2호, pp.163-174.
  3. 김경수, 송영석, 조용찬, 김원영, 정교철 (2006),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지질공학, 제16권, 제2호, pp.201-214.
  4. 김원영, 이사로, 김경수, 채병곤 (1998), "지형특성에 따른 산사태의 유형 및 취약성 -연천-철원지역을 대상으로-", 지질공학, 제8권, 제2호, pp.115-130.
  5. 송영석, 김경수, 채병곤 (2007), "자연사면의 산사태 발생 지역에서 지질조건에 따른 토질특성", 중앙대학교 방재연구소 논문집, 제1권, pp.43-49.
  6. 송영석, 조용찬, 서용석, 안상로 (2008),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예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9권, 제2C호, pp.59-69.
  7. 채병곤, 김원영,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최영섭 (2004),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개발", 지질공학, 제14권, 제2호, pp.211-222.
  8. Hazen, A. (1930), American Engineering Handbook, Wiley, New York.
  9. Hutchinson, J. N. (1988), "Morphological and geotechnical parameters of landslides in relation to geology and hydrogeology", Proc. 5th. Int. Symp. on Landslides, Vol.1, pp.3-35.
  10. Taylor, D. W. (1948), Fundamentals of Soil 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