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담수직파논 올챙이고랭이 발생밀도에 따른 경합 및 쌀 수량예측

Competitiveness and Yield Loss Prediction of Water-seeded Rice by Densities of Scirpus juncoides Roxb

  • 투고 : 2010.02.23
  • 심사 : 2010.03.16
  • 발행 : 2010.03.31

초록

본 시험은 2008년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벼 재배포장에서 최근 담수직파답에서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잡초 중 올챙이고랭이를 대상으로 잡초 밀도별 벼와의 경합력을 구명하고 Rectangular hyperbola 모델을 기초로 잡초의 밀도에 따른 쌀 수량 감소를 예측하여 경제적인 방제 필요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잡초를 완전 방제 했을 경우를 가상한 벼 수량은 올챙이고랭이에서 10a당 466kg으로 피의 457kg보다 다소 높았으며, 벼와 잡초의 경합력은 올챙이고랭이에서 0.00188로 피의 0.02402 보다 낮았고, 수량 예측식은 올챙이고랭이가 y = 466/(1+0.00188x), $R^2$ = 0.933, 피가 y = 458/(1+0.02402x), $R^2$ = 0.973로 나타났다. 제초제 구입 비용을 10a당 12,492원, 제초제 살포 인건비를 9,936원, 쌀의 가격을 kg당 2,000원, 제초제 방제가 95%로 적용하여 구한 경제적 피해 한계 밀도는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10a당 466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정도가 0.001884인 올챙이고랭이는 평방미터당 13.4본,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458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02402인 피는 평방미터당 1.07본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rice yield loss and determine the economic threshold levels for water direct seeded rice from competition of the most serious weeds, Scirpus juncoides Roxb. (bulrush) and Echinochlor crusgalli L. (barnyardgrass) in Daegu of Korea. To predict crop yield as a function of weed density used a rectangular hyperbola, and determine their economic threshold levels used the equation developed by Cousens. The rice yield loss model of S. juncoides was predicted as y = 466 / (1+0.00188x), $R^2$ = 0.933 and that of E. crusgalli was y = 458 / (1+0.02402x), $R^2$ = 0.973. In comparison of the competitiveness represented by parameter ${\beta}$, it was 0.001884 in S. juncoides and 0.02402 in E. crusgalli. Economic threshold calculated using Cousens' equ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competitiveness of weed. So that the economic threshold of S. juncoides was 13.4 and that of E. crusgalli was 1.07 plants per $m^2$.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오도, 국용인, 조승현, 문병철. 2007. 벼 이앙재배에서 피와 알방동사니 발생밀도에 따른 쌀 수량, 미질 및 경제적 허용 한계밀도 설정. 한국잡초학회지 27:102-111
  2. 권오도, 문병철, 안규남, 박홍규, 신해룡, 국용인. 2009. 벼 담수직파에서 알방동사니의 발생밀도에 따른 쌀 수량예측 및 경제적 방제밀도 수준 설정. 한국잡초학회지 29:167-177.
  3. 김현호, 변종영. 1998. 벼 직파재배 유형에 따른 잡초발생 및 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18:12-19.
  4. 마상용, 고성림, 한성수. 2002. 올챙이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 수집종의 Sulfonylurea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한국잡초학회지 22:334-342.
  5. 박태선, 강동균, 문병철, 조정래, 김길웅. 2005.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 올챙이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의 발생 밀도에 따른 벼의 생리 생태적 특성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25: 179-184.
  6. 박태선, 문병철, 조정래, 강충길, 박재읍. 2006. 논에서 Sulfonylurea계 저항성 올챙이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의 관리와 경합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6:98-107.
  7. 송석보, 황재복, 홍연규, 강항원. 2008. 기계이앙 재배 논에서의 여뀌바늘 발생밀도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28:214-219.
  8. 양환승, 김동성, 박수현. 2004. 잡초 형태.생리.생태 합판화류 II. 이전농업자원도서 pp. 462-465.
  9. 원종건, 안덕종, 김세종, 권오도, 문병철, 박재읍. 2009. 기계이앙답 가막사리와 한련초 발생밀도에 따른 벼 수량 감수정도 예측 및 경제적 한계밀도. 한국잡초학회지 29:328-335.
  10. 조승현, 권영립, 최동칠, 최정식, 문병철, 전재철. 2006. 벼 건답직파 재배에서 잡초경합에 의한 수량감소. 한국잡초학회지 26:295-302.
  11. 조승현, 권오도, 권영립, 최동칠, 문병철, 전재철. 2007. 이앙재배에서 올챙이고랭이 경합에 의한 수량감소. 한국잡초학회지(별책) 27:84-85.
  12. 허상만, 조이기, 권삼열. 1995. 벼 직파재배 양식에 따른 잡초발생양상 및 경합특성. 제 1보. 잡초의 발생분포와 생장. 한국잡초학회지 15:278-288.
  13. Berti, A., and M. Sattin. 1996. Effect of weed position on yield loss in soybean and a comparison between relation weed cover and other regression models. Weed Res. 36:249-258. https://doi.org/10.1111/j.1365-3180.1996.tb01654.x
  14. Cousens, R. D. 1985. A simple model relating yield loss to weed density. Annals Applied Biology. 107:239-252. https://doi.org/10.1111/j.1744-7348.1985.tb01567.x
  15. Cousens, R. D. 1987. Theory and reality of weed control thresholds. Plant Protection Quarterly. 2:13-20.
  16. Cowan. P. S. E. Weaver and C. J. Swanton. 1998. Interference between pigweed (Amaranthus spp.),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and soybean (Glycine max.). Weed Science. 46:533-539.
  17. Genstat Committee. 1993. Reference Manual (Genstat 5.0, Released 3).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8. Kim, D. S., P. Brain, E. J. P. Marshall and J. C. Caseley. 2002. Modelling herbicide dose and weed density effects on crop-weed competition. Weed Research. 42:1-13. https://doi.org/10.1046/j.1365-3180.2002.00253.x
  19. Kropff M. J., and C. J. T. Spitters. 1991. A simple model of crop loss by weed competition from early observations on relative leaf area of weeds. Weed Research. 31:97-105. https://doi.org/10.1111/j.1365-3180.1991.tb01748.x
  20. Kropff, N. J., L. A. P. Lotz, S. E. Weaver, H. J. Bos, J. Wallinga and T. Migo. 1995. A two-parameter model for prediction of crop loss by weed competition from early observations of relative area of weeds. Annals of Applied Biology. 126:329-346. https://doi.org/10.1111/j.1744-7348.1995.tb05370.x
  21. Lindquist, J. L., D. A. Mortensen, S. A. Clay, R. Schmenk, J. I. Kells, K. Howatt and P. Westra. 1996. Stability of corn (Zea mays)-velvetleaf(Abutilon theophrasti) interference relationships. Weed Science. 44:309-313.

피인용 문헌

  1. Prediction of Rice Yield Loss by Aneilema keisak and Aeschynomene indica Competition in Flooded Direct-Seeded Rice vol.1, pp.4, 2012, https://doi.org/10.5660/WTS.2012.1.4.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