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 and Application as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목초액의 항균활성 및 농약, 식품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

  • Lee, Sung-Suk (Division of Forest Bioenergy,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Ahn, Byoung-Jun (Division of Forest Bioenergy,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o, Sung-Taig (Division of Forest Bioenergy,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성숙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바이오에너지연구과) ;
  • 안병준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바이오에너지연구과) ;
  • 조성택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바이오에너지연구과)
  • Received : 2010.04.08
  • Accepted : 2010.05.14
  • Published : 2010.07.25

Abstract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pply for the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wood vinegars were measured as a hyphal growth inhibition rate using four plant pathogenic, four wood rot and one mushroom pathogenic fungi. Inhibition effect on the fungi growth was explicitly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s higher than 0.5% of unrefined wood vinegar and higher than 1.0% of refined wood vinegar,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unrefined wood vinegars showed the higher antifungal activities than that of refined wood vinegars. The highest inhibition effect on the fungi growth was shown in Libertella betulina which is a mushroom pathogenic fungus. In addition, the wood vinegars from Pinus densiflora showed the higher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the plant pathogenic and wood rot fungi than that from Quercus spp.. On the other han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s were determined by a paper disc method using the three gram positive and five gram negative bacteria. The unrefined wood vinegars showed a prominent effect on the suppression of bacteria growth at the concentration of 10%, while the suppression of bacteria growth was not observed in the refined wood vinegar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unrefined wood vinegars showed the higher antibacterial activities than the refined wood vinegar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s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were higher than those of wood vinegars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wood vinegars has the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an be applied as the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목초액의 농약 또는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나무 및 참나무류 기계식 목초액을 대상으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의 경우 미정제 목초액은 0.5% 이상의 농도 에서, 정제 목초액은 1.0% 이상의 농도에서 공시 식물병원균 및 목재부후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여 미정제 목초액이 정제 목초액보다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나무류 목초액이 소나무 목초액보다 항 균활성이 높아 탄화 원료인 수종에 따라 항균활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균종별로는 표고 해균인 주홍 꼬리버섯에 대한 항균효과가 다른 공시 균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균의 종류에 따라 목초액에 대한 감수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균에 대한 항세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소나무 및 참나무류 미정제 목초액의 경우 10% 농도에서 모든 공시 균주에 대해 생육저지환을 형성한 반면 정제 목초액 의 경우에는 저지환을 형성하지 않아 항세균활성도 미정제액이 정제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종에 따른 감수성에도 차이가 있어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그람 음성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탄화 원료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목초액은 식물병원균, 목재부후균,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유기합성 농약을 대체하거나 식품의 부패를 막기 위한 식품보존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Y. I., J. S. Kwon, Y. S. Song, and S. H. Wang, 2005. The effect of oak wood vinegar extract on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J. Appl. Pharmacol 13: 41-47.
  2. Gullen, M. D. and M. L. Ibargoitia. 1999. Influence of the moisture content on the composition of the liquid smoke produced in the pyrolysis process of Fagus sylvatica L. wood. J. Agric. Food Chem. 47: 4126-4136. https://doi.org/10.1021/jf990122e
  3. Ikegami, F., T. Sekine, and Y. Fujii. 1998. Antidermaptophyt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 mokusakueki. J. Pharmaceut. Soc. Japan 118(1): 257-266. https://doi.org/10.1248/yakushi1947.118.7_257
  4. Kang, J.-S., S.-H. Kim, P.-G. Kim, D.-W. Lee, and S. Ryu. 2009. Differences of wood vinegar l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MDA, and SOD activities in rats. J. Life Sci. 17: 105-109.
  5. Kim, J. S., J. C. Kim, J. S. Choi, T. J. Kim, S. M. Kim, and K. Y. Cho. 200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erbicidal substance from wood vinegars. Kor. J. Weed. Sci. 21(4): 357-364.
  6. Maga, J. A. and Z. Chen. 1985. Pyrazine composition of wood smoke as influenced by wood source and smoke generation variables. Flavour Fragr. J. 1: 37-42. https://doi.org/10.1002/ffj.2730010109
  7. Yun, S.-M., S.-J. Park, A.-N. Lee, S.-I. Ahn, and H.-S. Youn. 2009. Oak wood vinegar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induced by TLR4 agonist. J. Exp. Biomed. Sci. 15: 257-260.
  8. 目黑貞利, 河內進茦, 田中貴司. 1992. 酢酸および木酢液 によるシイタケ害菌の防除. 木材學會誌 38(11): 1057-1062.
  9. 김영직, 윤용범. 2008. 사료내 생균제, 일라이트, 활성탄 및 목초액의 첨가가 닭 다리육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28(4): 480-485. https://doi.org/10.5851/kosfa.2008.28.4.480
  10. 김영희, 김삼곤, 김근수, 이윤환. 2001. 시판 목초액의 성분조성. 한국농화학회지 44(4): 262-268.
  11. 김종수, 박승우, 함유식, 정수근, 이상한, 정신교. 2005. 목초액의 항균활성과 페놀화합물의 함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5): 470-475.
  12. 국립산림과학원. 2004.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제2004-4호 목초액의 규격과 품질. 1-10.
  13. 박정호, 전기일, 정창훈. 2003. 축산농가에서 목초액을 이용한 암모니아 가스의 제거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2(12): 1309-1313. https://doi.org/10.5322/JES.2003.12.12.1309
  14. 안병준, 조성택, 조태수, 이성재, 이윤수. 2003. 탄화물이 토양미생물 및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임산에너지 22(3): 49-56.
  15. 유승헌. 1998. 유기농업에서 무공해 생물자원을 이용한 병충해 종합방제 기술개발-키토산, 식초, 목초액의 토마토 잎곰팡이병, 겹둥근무늬병, 오이흰가루병 억제효과와 토마토 뿌리혹선충 억제효과.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4(3): 134-139.
  16. 이계원, 김아람, 조재수. 2008. HPLC에 의한 목초액 중의 유기산, 페놀 및 벤조피렌의 분석법 개발. 약학회지 52(1): 12-19.
  17. 이성숙, 최돈하, 이학주, 강하영. 2000.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II) -느티나무 심재의 항균 및 항산화물질-. 목재공학 28(2): 32-41.
  18. 임업연구원. 2000. 목초액 이용기술 개발. 2000년도 임업연구사업보고서(5-II) 195-208.
  19. 정순재, 오주성, 석운영, 조미용, 서정범. 2007.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가 가지 및 잎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5(4): 437-452.
  20. 정일선, 김유정, 길상완, 최영주. 2007. 참나무 목초액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과 일산화질소 합성 저해연구. 생명과학회지 17(1): 105-109. https://doi.org/10.5352/JLS.2007.17.1.105
  21. 조영호, 이주연, 이종화, 조재수, 이계원. 2009. 목초액의 안정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생명과학회지 19(10):1389-1395. https://doi.org/10.5352/JLS.2009.19.10.1389

Cited by

  1. Effect of various additives on reduction of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vol.48, pp.6, 2016, https://doi.org/10.9721/KJFST.2016.48.6.569
  2. Evaluation of Sapwood and Heartwood Decay Resistance after Immersion-Treatment with Pyroligneous Liquor vol.44, pp.6, 2016, https://doi.org/10.5658/WOOD.2016.44.6.880
  3.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wood vinegars obtained from hull of spina date seed and shell of peanut vol.33, pp.3, 2017, https://doi.org/10.1007/s40242-017-64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