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anufactural Condition of Vegetation Mat for Greening Impermeable Surfaces Using Wood Waste

폐목질 자원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용 식생기반재의 제조조건에 관한 연구

  • Kim, Dae-Young (College of Life Science & Biotechnology, Departmen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ersity) ;
  • Kim, Mi-Mi (College of Life Science & Biotechnology, Departmen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ersity)
  • 김대영 (동국대학교 바이오시스템대학 바이오환경과학과) ;
  • 김미미 (동국대학교 바이오시스템대학 바이오환경과학과)
  • Received : 2007.11.29
  • Accepted : 2010.01.15
  • Published : 2010.05.25

Abstract

The cityward tendency of the population caused the building crowd and the skyscrapers, and destroyed the cityscape and ecosystem of the city.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rs studied to make more green spaces in the city. The roof greening is one of the methods to get the green spaces in the city.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is method such as the safety load, growth of the plants on the artificial foundation, and so 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waste woodchips and the waste papers as a new materials for the artificial foundation. The new artificial foundation was made of the waste woodchips and the waste papers with the different ratio of mixture (woodchips, paper slurry, and fertilizer). The artificial foundation was applied to the planting of three different plants (creeping bentgrass, barley, and whea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the plants with 1% of fertilizer was higher than other conditions. The best making condition of foundation was 40% pulp and 60% woodchips in the germination of all plants.

도시 내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건물의 옥상 등 인공지반에서의 녹화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나 인공지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옥상의 경우 건물에 미치는 하중과 강우 및 관수에 관한 문제를 비롯하여 식물의 성장도 원활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인공토양의 경우 원석을 수입하여 가공 생산하는 것으로, 앞으로 인공지반 녹화가 활성화될시 수입으로 인한 비용 등의 문제로 새로운 대체물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녹화소재의 단점인 하중과 설치 후 유지 관리를 보완하고자 친환경 대체재료로서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이용한 식생기반재를 개발하고 그 제조조건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본 실험은 폐목재칩과 폐지슬러리의 혼합비와 비료의 주입농도를 달리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하고 잔디와 보리를 식생기반재당 1 g씩 파종하여 성장률을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는 0.9 : 0.1~0.5 : 0.5의 비율로 혼합되었으며, 그 결과 혼합비율이 0.6 : 0.4 일 때 잔디는 약 1.5배, 보리는 약 1.9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비료의 농도가 1%일 때 제조된 식생기반재에서 비료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보다 약 1.3~1.5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식생기반재의 pH는 7.1~8.8로 약알칼리성을 보였으며 주입된 비료의 농도가 높을수록, 폐목재칩의 혼합량이 많을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비료 용찰실험 결과 비료를 첨가하지 않은 칩과 비교시 비료를 첨가한 칩에서 인, 칼륨, 몰디브덴의 성분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비료의 주입은 성공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춘, 한승호, 강진형. 2003. 식생블록(그린스톤)에서의 식물생육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2): 57-70.
  2. 김도경, 황지환. 2001. 인공지반에서 금잔디의 증발산량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1): 161-167.
  3. 박철수, 이재준, 황경희. 1996. 아파트단지 내 녹화공간 확대를 위한 한국과 일본의 인공지반 사례조사 비교연구
  4. 안원용, 김동엽. 2001. 옥상녹화 후 인공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28(6): 77-84.
  5. 이동근, 윤소원, 오승환, 장성완. 2005. 옥상녹화조성에 따른 온도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6): 34-44.
  6. 이석해, 이행렬. 2000. 인공지반 녹화의 실태분석-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구 사례-. 산업과학연구 10권: 125-142.
  7. 이성기, 류남형, 허근영. 2002. 펄라이트로 조성된 토양층의 하중. 한국조경학회지 30(1): 87-96.
  8. 이은엽, 문석기. 2000. 옥상녹화공법의 배수층 구조별 식물생육 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4): 11-21
  9. 최일홍. 2004. 인공지반 녹화사례와 기술동향. 도시문제 4월호: 33-46.
  10. 허근영, 심경구. 2001. 인공기반 녹화용 신소재 인공토양 개발. 한국원예학회지 42(3): 355-364.
  11. 현대건설기술연구소. 1997. 인공지반 조경 녹화기술에 관한 연구. 현대건설주식회사.

Cited by

  1.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of The Hydroponic Substrate Using Waste Wood Chip vol.43, pp.3,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3.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