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chnical Improvements of the Projection of Household Health Care Expenditure

보건의료 가책소비지출 추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노상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Received : 20090900
  • Accepted : 20091200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more confident and efficient projection method that is to estimate the Number of Household per Family scales(NHF) in projecting the Household Heath care Expenditure(HH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ed thre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because projecting the NHF does not reflect the recent socio-demographic trends in the process of projecting the National Health Expenditure(NHE),the prior projection results have serious problem in the confidence and political availability. Second, the projection results about the HHE might be underestimated relative to the real one. Third, in order to estimate the more confident and efficient estimates of the HHE, the estimated NHF reflecting the socio-demographic trend must be used to project the one. There is an alternative method that the NHF and the increasing or decreasing rate of them which are regularly surveyed and suggested by the KOSIS should be used to project the process.

본 연구는 보건의료 가계소비지출 추계에 있어 가구원수별 가구 수 추계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 국민의료비 추계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구 원수별 가구 수의 추계는 우리나라 인구사회학적 변화추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결과의 신뢰성과 정책적 유용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었다. 둘째, 이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 기존 보건의료 가계소비지출 규모의 추계결과가 실제적인 규모에 비해 과소추계 되었음을 제시했다. 셋째, 보다 신뢰할 수 있고 효울적인 보건의료 가계소비지출 규모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인구사회학적 변화추이가 반영된 가구원수별 가구 수의 장래 추계결과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그 대안으로 통계청에서 매 5 년 마다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는 인구주택 총조사 가구 수 통계와 장래 추계가구 수의 증가율을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원 (1986). <국민의료비 연구: 추계와 분석>, 한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 권순원 (1988). <국민의료비 추이와 의료비 안정화 대책>, 한국개발연구원.
  3. 권순원 (1993). <국민의료비 증가추이와 안정화 방안>, 한국개발연구원.
  4. 명재일, 홍상진 (1994). <국민의료비의 구조와 동향: 1985-1991>, 한국의료관리연구원.
  5. 명재일, 홍상진 (1997). <국민의료비의 지출동향: 1985-1994>, 한국의료관리연구원.
  6. 명재일, 홍상진 (1998). <국민의료비의 지출동향: 1985-1995>, 한국의료관리연구원.
  7. 신정우, 정형선 (2007). 가계 의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 <보건경제정책연구>, 13, 97-118.
  8. 신종각 (1997). 의료보험 급여범위와 본인부담 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9. 양봉민, 이태진 (1989). <국민의료비 억제방안에 관한 연구>, 의료보험관리공단.
  10. 이성규 (1988). <우리나라 국민의료비 추계에 관한 연구(1975-1993)>, 서울대학교.
  11. 이태진 (1990). <국민의료비 추계 및 의료비 증가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12. 장영식, 고경환, 도세록, 이내연 (2002). <국민의료비 산출체계 개발 및 추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장영식, 고경환, 도세록, 이내연 (2003). <2001년 국민의료비 추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정영호, 강성호 (1998). <1996년 국민의료비 추계와 지출구조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정영호, 이견직 (2000). <국민의료비 산출모형 개발 및 추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정형선 (2009). <2007년 국민의료비 및 국민보건계정>, 보건복지가족부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17. 정형선, 이준협 (2004). <재원, 기능 및 공급부문별 국민보건계정을 위한 시계열데이터 구축>, 보건복지부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18. 통계청 (2007). <2005-2030 장래가구추계>, 통계청.
  19. 홍정기 (1995). <국민의료비의 시계열 및 간접의료비용 추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