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 Focused on Medium-sized Industrial Workers -

당뇨병 대상자에게 실시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중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

  • Hwang, Hyun-Jung (Inha University Hospital) ;
  • Jung, Hye-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황현정 (인하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1.21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Purpose: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the case-management program on the change of blood sugar, lifestyle, and knowledge level of diabetes mellitus (DM) for medium-sized-enterprise employees suffering from DM. Method: Subjects,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59 workers with FBS higher than 126mg/$d{\ell}$ or under DM medication treatment in the medium-sized enterprises, being managed by two distinct university hospital group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ervice teams. The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M patients consists of 6 different processes in which each subject is treated. Result: FB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mount of smoking, the frequency of drinking and the amount of drinking per week decreased. Also, the knowledge level for DM and the change of nutrition 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the amount of smoking increased and the frequency of drinking, the amount of drinking and nutrition level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he knowledge level for DM decreased. Conclusion: We expect that taking this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M management may significantly improve diabetic patients' overall health.

Keywords

References

  1. 김순영 (2008).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지현 (2009), 장상아. 당뇨병 교육이 환자의 혈당 조절과 자가 관리에 미치는 영향. 대한당뇨병학회지, 33, 518-525.
  3. 김태명 (2006). 당뇨병 환자 사례관리 실시에 따른 행태변화 및 혈당변화.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노동부 (2009). 2008년도 산업재해 발생현황.
  5. 노동부 (2010). 2008년도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결과.
  6. 대한당뇨병학회 (2007). 당뇨병 진료지침.
  7. 박연숙, 류순행 (2002). 일개시 보건소에 등록된 제2형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679-688.
  8. 배정하 (2002). 당뇨교육 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 자가간호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일 병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스포츠과학 연구논문집, 20, 35-53.
  9. 백경신 (1990). 당뇨병환자의 지식 정도별 건강신념 및 역할행위이행.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백훈정 (1993). 혈액투석 적용 만성 신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지식 정도와 자가간호 수행정도와의 관계연구. 신장간호, 4, 15-23.
  11. 질병관리본부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당뇨병 유병율 추이. http://knhanes.cdc.go.kr/
  12. 신은영, 김철환, 유원섭, 김희걸, 김창엽 (2003). 지역사회 중심의 당뇨 사례관리 사업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4(4), 1-9.
  13. 양순옥, 안수연, 임은실, 권명순 (2008). 강원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 효과 -고혈압. 당뇨 사례관리 중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1), 88-100.
  14. 유재홍, 하은희, 김수근, 김정연, 김용규, 이의철, 이철호, 손준석 (2007). 산재보상을 신청한 뇌.심혈관 질환의 특성 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19(1), 38-46.
  15. 이정화 (2007).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혈당 조절과 자가관리 수행양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전정은, 이영미, 오유진 (2009). 당뇨 환자의 혈당관리 태도에 대한 요인 분석(1)-혈당관리 요소와 식생활 태도를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4(2), 236-244.
  17. 최영옥 (2002). 중년기 당뇨병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간호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통계청 (2008).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19. 현경선, 김광미, 장숙희 (2009). 맞춤형 당뇨교육이 인슐린요법을 하는 제2형 당뇨환자의 혈당조절과 자가간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9(5), 720-730. https://doi.org/10.4040/jkan.2009.39.5.720
  20. Case Management Society of America (2006). Philosophy of case Management. Retrieved May 22. 2008.
  21. Goudswaard, A. N., Stolk, R. P., Zuithoff, N. P., de Valk, H. W., & Rutten, G. E. (2004). Long-term effects of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aking maximal oral hypoglycemic therapy: a randomized trial in primary care. Diabetes Med, 21, 491-496. https://doi.org/10.1111/j.1464-5491.2004.01153.x
  22. Norris, S. L., Lau, J., Smith, S. J., Schmid, C. H., & Schmid, M. M. (2002). Self- management education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glycemic control. Diabetes Care, 25, 1159- 1171. https://doi.org/10.2337/diacare.25.7.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