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of Innovational Cluster for Knowledge Management in Busan

부산지역 지식경영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Jeong, Hyung-Il (Department of Management, Dong-A University) ;
  • Bang, Kwuen-Soo (One Stop Management Research Institution and Department of Management, Dong-A University) ;
  • Kim, Jong-Duk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ong-A University)
  • 정형일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 방권수 ((주)원스톱경영연구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
  • 김종득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0.11.24
  • Accepted : 2010.12.0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ways to sharpen the edges of Korean companies through the relativity analysis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innovational cluster in environmental changes in resent Busan. That is, according to the knowledge management approach, the methods and directions of strengthening industrial competition were established, while the strategy of innovational clusters was suggested as a way of expanding and encouraging knowledge management. The key words of innovational cluster are in this research are the framework of Cluster theory, the importance of innovational cluster, and the change of managerial strategy paradigm. This study provide the several implication for the practi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researchers. Based on these theories of knowledge management and industrial clusters, their close relationships were analyzed. As a result, industrial clusters were found to be effectively utilized to enlarge and deepen knowledge management. In addition, this suggests the efficient operation guideline of knowledge management. this study indicates both knowledge and innovational cluster should be operated and handled together in the managerial strategy. but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generaling the study result because it collects data from local firms only in Busan.

부산지역 지식경영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모델을 구축하게 되면, 첫째, 기존의 산업집적론에 비하여 과학기술인프라, 선진적인 고객욕구 충족에는 새로운 생산요소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데, 이것은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지식베이스의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로케이션으로 전문화가 요구되는 스킬이나 지식, 레벨이 높은 모델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클러스터의 개념과 모델은 단순히 기업만이 아니고, 대학, 연구기관, 금융기관, 정부와 지자체 등의 다양한 조직을 포함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집적의 효과로서 비용의 최소화를 강조하는 전통적인 집적론에 비하여 클러스터 이론에서는 이노베이션의 의의를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글로벌화나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환경변화가 급속하게 진전하고 있는 속에서, 국가나 지역의 경쟁우위의 원천으로서 이노베이션의 실현을 통하여 생산성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클러스터의 모델은 네트워크를 베이스로 한 협조관계에 있다고 하는 잘못된 이해가 실무자들을 시작으로 연구자들 상호간에도 클러스터 안에서 전개되고 있는 치열한 경쟁(특히, 이노베이션을 중심으로 한 경쟁)이 지역의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없어서는 안 되는 프로그램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지역의 새로운 발전 모델은 기술개발의 낙후, 인력과 원자재 확보의 어려움 등 많이 있지만, 이를 완화 내지는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프로그램이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