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Offer of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Unit Hydrograph in a Small Basin

소규모 유역에서 강우와 단위유량도의 관계 제시

  • Yoo, Ju-Hwa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Youngdong Univ.)
  • 유주환 (영동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4.18
  • Accepted : 2010.06.29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A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responding to a small basin is used to calculate the flood discharge in the basin. The peak discharge and the time to peak of the unit hydrograph are dealt with its characteristic values. In this study it is shown and analyzed the fluctuations at peak discharges and times to peak of unit hydrographs by rainfall storms in a small national basin $8.5\;km^2$ wide are no small. And on assumption that a major factor in the fluctuations of the unit hydrographs in a small basin be rainfall intensity of a rainstorm, both relations of peak discharge and time to peak with rainfall intensity are suggested as exponential functions respectively. In this result although it is a limit of the study in which its result is accompanied with not small dispersion in the peak values of unit hydrograph due to a defect in used data it is sure an averaging regression relation between peak discharge and time to peak with rainfall intensity as identified in this study has hydrological worth from the complementary viewpoint of the theory of unit hydrograph.

작은 규모 유역의 홍수 유출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유역을 대표하는 하나의 단위유량도를 많이 적용해 왔다. 이 때 단위유량도의 첨두유량과 첨두 발생시간은 단위유량도를 결정하는 특성치로 취급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8.5\;km^2$ 정도의 소규모 유역에서도 강우 사상별로 단위유량도의 첨두유량과 발생시간은 상당히 변동되는 것을 보이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일 소유역에서 단위유량도 변동의 주요인으로 강우 사상별 평균 강우강도라고 보고 강우 사상별 강우강도와 단위유량도의 첨두유량 및 발생시간의 관계를 각각 지수함수식으로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 자료상의 제약 등으로 단위유량도 첨두치에상당한 분산을 동반하는 한계는있지만 연구된 대로 단위유량도의첨두유량 및 첨두 발생시간과 강우의 평균적인 회귀 관계는 단위유량도 이론의 보완적 측면에서 수문학적 가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1974). 홍수량 추정을 위한 합성단위유량도 유도의 연구조사보고서.
  2. 권오헌, 류태상, 유주환(1993). “선형계획법에 의한 대표단위도 유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2호, pp. 173-182.
  3. 김상단, 유철상, 윤용남(2000). “지형형태학적 순간단위도의 특성속도에 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15-330.
  4. 김상용(1972). “단위유량도에 의한 유출해석-낙동강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4호, pp. 89-105.
  5. 김재한, 윤석영(1993). “소유역의 수로기하학적 특성과 사면을 고려한 유역순간단위도의 유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2호, pp. 161-171.
  6. 김재한, 이원한(1980). “폐선형계로 본 유역대표 단위유량도의 유도를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3권, 제2권, pp. 35-47.
  7. 김주철, 정관수, 김재한(2003). “지형학적 인자를 고려한 대표순간단위도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1호, pp. 23-32. https://doi.org/10.3741/JKWRA.2003.36.1.023
  8. 김홍태, 신현석(2009). “산악지역을 위한 한국형 지형수문단위도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호, pp. 75-92.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75
  9. 박진욱, 유철상, 김중훈(2000). “Nash 모형과 Diskin 모형을 이용한 순간단위도의 유도 및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1호, pp. 123-132.
  10. 선우중호(2006), 수문학 제2판, 동명사.
  11. 선우중호, 고영찬(1986). “단위유량도합성을위한Snyder 계수의 조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9권, 제1권, pp. 57-63.
  12. 성기원(2008). “평활화된 무차원 단위핵함수를 이용한 단위도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6호, pp. 559-564. https://doi.org/10.3741/JKWRA.2008.41.6.559
  13.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2004). “GIS 및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5호, pp. 407-424.
  14. 안태진, 류희정, 정광근, 심명필(2000). “단순강우-유출사상으로부터 최적단위도와 침투율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문학회, 제33권, 제3호, pp. 365-374.
  15. 유주환(2006). “유역을 대표하는 Horton 침투 모형내 매개변수의 최적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호, pp. 977-984.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1.977
  16. 윤용남, 선우중호(1975). “유역특성과 유출특성간의 상관 계수해석에의한단위유량도의합성-한강및금강유역-.”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8권, 제1권, pp. 61-79.
  17. 윤용남, 심순보(1976). “단위유량도법에 의한 소유역의 계획홍수량 결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pp. 76-86.
  18. 이순탁, 박종권(1987). “하천 유출량 산정을 위한 GIUH 모델.”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0권, 제4권, pp. 267-278.
  19. 이정식, 김재한, 이원환(1987).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에 의한 첨두유량의 강우-유출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7권, 제1호, pp. 55-64.
  20. 전민우(2003).“합성단위도를 위한 Snyder방법의 개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5B호, pp. 381-388.
  21. 전시영(1994). “국내기존 합성단위유량도 비교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7권, 제2호, pp. 97-109.
  22. 정성원, 문장원(2001). “국내 수문특성에 적합한 합성단 위도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문학회, 제34권, 제6호, pp. 627-640.
  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9).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한 단위유량도의 합성방법 개발.
  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연구보고서, 1996년 설마천 시험유역.
  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 연구-합성단위도 개발을 중심으로.
  26. 허창환, 이순탁(2002). “하천유역에서GIS를이용한GIUH 모형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3호, pp. 321-330.
  27. Amorocho, J. (1963). “Measures of the linearity of the hydrologic system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8, No. 8, pp. 2237-2249. https://doi.org/10.1029/JZ068i008p02237
  28. Amorocho, J., and Hart, W.E. (1964). “A critique of current methods of hydrologic systems investigatio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45, pp. 307-321. https://doi.org/10.1029/TR045i002p00307
  29. Amorocho, J., and Orlob, G.T. (1961). Nonlinear analysis of hydrologic systems. Water Resources Center Contribution 40,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0. Clark, C.O. (1945).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Transactions of the ASCE, Vol. 110, pp. 1419-1446.
  31. Diskin, M.H. (1964). A basic study of the linearity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in watersheds. Ph.D. dis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32. Dooge, J.C.I. (1959). “A general theory of the unit hydrograph.”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4, No. 2, pp. 241-256. https://doi.org/10.1029/JZ064i002p00241
  33. Dooge, J.C.I. (1967). A new approach to nonlinear problems in surface water hydrology: hydrologic system with uniform nonlinearity.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Hydrology Publication, Vol. 76, pp. 409-413.
  34. Kulandaiswamy, V.C. (1964). A basic study of the rainfall excess-surface runoff relationship in a basin system. Ph.D. dis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35. Minshall, N.E. (1960). “Predicting storm runoff on small experimental watershed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86, No. HY8, pp. 17-38.
  36. Nash, J.E. (1957). “The form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Hydrology Publication, Vol. 45, No. 3, pp. 114-121.
  37. Pilgrim, D.H. (1976). “Travel times and nonlinearity of flood runoff from tracer measurements on a small watershed.”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2, No. 3, pp. 487-496. https://doi.org/10.1029/WR012i003p00487
  38. Rodriguez-Iturbe, I., Valdes, J.B. (1979). “The geomorphologic structure of hydrologic respons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9-1420. https://doi.org/10.1029/WR015i006p01409
  39. SCS (1975).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No.55, Soil Conservation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40. Sherman, L.K. (1932). “Stream flow from rainfall by the unit graph method.” Engineering News-Record, Vol. 108, pp. 501-505.
  41. Singh, K.P. (1964). “Nonlinear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theory.”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90, No. HY2, pp. 313-347.
  42. Singh, V.P. (1979). “A uniformly nonlinear hydrologic cascade model.” Irrigation and Power, Vol. 36, No. 3, pp. 301-317.
  43. Singh, V.P. (1988). Hydrologic Systems, Rainfallrunoff Modeling Vol.I, Prentice-Hall.
  44. Snyder, F.F. (1938). “Synthetic unit graph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19, pp. 447-454. https://doi.org/10.1029/TR019i001p00447
  45. Williams, J.R., and Hann, R.W. (1972). “HYMO, a problem-oriented computer language for building hydrologic models.”Water Resources Research, Vol. 8, pp. 79-86. https://doi.org/10.1029/WR008i001p00079
  46. 佐藤勝夫(1982). 洪水流出計算法, 山海堂.

Cited by

  1. A Research on a Revised Application of Unit Hydrograph Variant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in a Rainstorm vol.44, pp.1,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1.41
  2. Estimation of Design Discharge Considering Nonstationarity for River Restoration in the Mokgamcheon vol.33, pp.4,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4.1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