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Efficacy of Individu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tients with Primary or Secondary Insomnia

일차성 및 이차성 불면증 환자에서의 개별 인지행동치료의 임상적 효능

  • 신윤미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정신과) ;
  • 차보석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과학교실) ;
  • 임채미 (코모키 수면센터) ;
  • 신홍범 (코모키 수면센터)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05.3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individu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for Patients with Primary or Secondary Insomnia.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primary care sleep clinic from January 2008 to June 2009. The study sample included 64 outpatients with primary insomnia (n=30) and secondary insomnia (n=34)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DSM-IV. Participants completed sleep diaries,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Scale-16 (DBA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before CBT and shortly after completion of CBT. CBT was provided in 7 weekly, 40-50-minute individual therapy sessions. Results: Both groups of patient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somni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BAS and sleep parameters including sleep onset latency,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Repeated-measures ANOVA of the DBAS and sleep parameters showed no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s between patient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somnia, suggesting the efficacy of CBT for patients with secondary insomnia was equivalent to that of CBT for patients with primary insomni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BT is effective for the manage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insomnia in a primary care setting.

목 적: 본 연구는 일차성 및 이차성 불면증 환자에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이하 CBT)의 임상적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일차의료기관 수면클리닉에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64명의 외래 환자가 모집되었으며, DSM-IV에 의거하여 진단 된 일차성 불면증 환자는 30명, 이차성 불면증 환자는 34명이었다. 환자들은 CBT 전후로 수면 일지,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 척도(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Scale-16, 이하 DBAS) 및 상태-특성 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이하 STAI)를 각각 시행하였다. CBT는 1주 간격으로 7회, 1회당 40~50분 동안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결 과: 일차성, 이차성 불면증 환자군 모두 입면 잠복기, 총 수면 시간, 수면 효율과 같은 수면 지표와 DBAS 점수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는 두 군간에 시간에 따른 DBAS와 수면 지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차성 불면증에서의 CBT의 효과는 일차성 불면증에서의 효과와 동등하였다. 결 론: 이번 연구는 CBT가 일차의료 환경에서 일차성 및 이차성 불면증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