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4종의 발효균주가 당귀의 nodakenin과 decursin의 함량에 미치는 변화

Nodakenin and Decursin Contents of Fermented Angelicae Gigantis Radix by 4 Species Strain

  • 박진한 (경주대학교 한약개발학과) ;
  • 정지욱 (대구한의과대학교 한약재약리학과) ;
  • 권기태 (식품의약품안전청) ;
  • 서민준 (경주대학교 한약개발학과) ;
  • 서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 박용기 (동국대학교 한방신약개발센터) ;
  • 이제현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 Park, Jin-Han (Dept. of Medicinal Herb Development, Gyeongju University) ;
  • Jung, Ji-Wook (Dept. of Herbal Medicinal Pharmacology, Daegu Haany University) ;
  • Kweon, Kee-Tae (Herbal Medicine Policy Divisi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 Seo, Min-Jun (Dept. of Medicinal Herb Development, Gyeongju University) ;
  • Seo, Eun-Kyoung (College of Pharmacy, Ehwa Womans University) ;
  • Park, Yong-Ki (Korean Medicine R&D Center, Dongguk University) ;
  • Lee, Je-Hyun (College of Pharmacy,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10.11.10
  • 심사 : 2010.12.15
  • 발행 : 2010.12.30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odakenin and decursin contents in each fermented Angelicae gigantis Radix by 4 species of ferment strains. Methods : The strains of fermented Angelicae gigantis Radix were Lactobacillus plantarum(SE1), L. acidophilus(AC), Bacillus subtilis(B2) and B. licheniformis(BL2). The fermentative changes of nodakenin and decursin were analyzed using HPLC. Results : All of 4 species strains reduced nodakenin and decursin concentration in Angelicae gigantis Radix by fermentation. But fermentability were difference between strains. The nodakenin concentration of AC was lower than B2. The decursin concentrations of SE1 and AC were lower than B2 and BL2. Conclusions : 4 species of fermental strain were difference decomposable rate with nodakenin and decursin in fermented Angelicae gigantis Radix.

키워드

참고문헌

  1. 한의과대학 본초학편집위원회. 본초학. 서울:영림사. 2004:145, 194, 415-6, 427, 632-4.
  2. 강병수, 서부일, 최호영. 한약포제와 임상응용. 서울:영림사. 2003:63.
  3. 서부일, 이제현, 최호영, 권동렬, 부영민. 임상한약본초학. 서울:영림사. 2006:634.
  4. 이시진. 본초강목. 북경:人民衛生出版社. 1978:1547.
  5. 한효상, 박완수, 이영종. 애엽발효추출물의 면역활성에 관 한 연구. 본초학회지. 2008;23(3):103-12.
  6. 이기동, 김정숙, 배재오, 윤형식. 경옥고가미방 효모발효물 함유 한방화장품이 인체 피부 생리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22(4):227-32.
  7. 손미예. 버섯균사체로 발효시킨 복령과 후박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식품산업과영양. 2007;12(2):51-7.
  8. 정용준, 한동오, 최보희, 박철, 이혜정, 김성훈. 발효한약 추출물 HP-1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병리학회지. 2007;21(2):387-91.
  9. 자재영, 전병삼, 박정원, 문제철, 조영수. 차가버섯과 어성초 함유 발효 조성물이 인체 위함 AGS 및 대장암 HCT-15세포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2004;47(2):202-7.
  10. 작자미상. 신농본초경. 타이베이:文光圖書有限公司. 1983: 140.
  11. 도홍경. 명의별록.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86:112.
  12.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7-89호. 대한약전 제9개정. 2007:916-7.
  13. 국가약전편찬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약전2005년판 1부. 북경:化學工業出版社. 2005:89.
  14. 후생노동성. 일본약국방 제15개정. 2005:1247.
  15. 김영중. 당귀의 생리활성 성분의 분리:국가한약재평가기술과학화연구사업단. 한약재평가기술과학화1단계연구사업성과발표회자료집. 서울:국가한약재평가기술과학화연구사업단. 2007: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