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IS & GPS Application of Management of Granitic Flagstone from the Trifurcated Path at Jongmyo Royal Shrine, Seoul, Korea

종묘 어도박석 관리를 위한 GIS 및 GPS 활용

  • Lee, Jin-Young (Geologic Environmental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
  • Hong, Sei-Sun (Geologic Environmental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
  • Yun, Hyun-Su (Geologic Environmental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Jongmyo royal shrine, located in Seoul, i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nd a cultural relic of n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Examination of its udobakseok(granitic flagstone; thin, flat and even stepping-stones for the King) has shown that parts are in damaged condition. In this study, GIS and GPS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damage and to find granitic flagstone for replacement and restoration of the damaged stones. 1,158 out of 2,361 stone pieces of the udobakseok were damaged at Jongmyo. Replacement granitic flagstones are available on Seokmo Island, in Ganghwa County, and estimates show that approximately 100,000 pieces of stone can be quarried. This research aided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and location of granitic flagstones for restoration of the Jongmyo udobakseok. It also demonstrated that GIS and GPS technologies can apply a critical role in managing cultural properties. The wide use of GIS and GPS technologies can be expected for survey and management of other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to Jongmyo.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종묘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관리되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과거 종묘의 어도박석(임금이 지나갈 수 있도록 바닥에 깔은 얇고 편편한 돌)이 일부 훼손되어 복원을 위한 현황 조사 및 대체 부재가 분포하는 지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조사를 위하여 GIS 및 GPS 기술이 활용되었으며, 조사결과 종묘의 어도 박석은 사용된 부재가 총 2,361매로 나타났으며, 훼손된 것으로 나타난 부재는 총 1,158매로 나타났다. 현재 종묘의 어도박석으로 대체가능한 부재의 채석가능지역은 강화군에 위치한 석모도 일대이며 채석 가능한 박석의 양은 100,000매로 추정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종묘 어도 박석의 복원에 필요한 위치정보 및 부재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으며, GIS와 GPS가 문화재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종묘를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재의 부재조사 및 현황관리에 GIS 및 GPS 기술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인영, 우성호, 임순범. 2008. 3D 구조 표현에 기반한 전통건축물의 디지털 복원 및 활용 기술. 정보처리학회지 15(3):41-48.
  2. 문병채, 박현욱, 정태영. 2003. GIS를 이용한 문화정보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43-60.
  3. 장문현, 이정록. 2009.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한국GIS학회지 17(3):329-339.
  4. 장용구. 2006. 모바일 GPS/GIS기술을 이용한 유적지표조사 시스템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91-1001.
  5. 장호식, 김진수, 이종출. 2005. 무선조정 헬리곱터와 지상사진측량시스템에 의한 석조 문화재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1D):151-158.
  6. 장호식, 노태호, 이종출. 2004. 웹을 이용한 문화재 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2(1):63-68.
  7. 정성혁, 이계동, 이재기. 2003. 문화재 웹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진측량기법. 산업과학기술연구논문집. 17(2):79-85.
  8. 정성혁, 이재기. 2004. Web GIS 도형 자료 구축을 위한 문화재 3차원 모델링 기법. 한국지형공간학회지 12(2):37-42.
  9. 최일선, 정희경. 2006. XML 및 모바일 RFID 기반의 문화재 안내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10(1):41-46.
  10. 한국지질자원구원. 2005. 박석의 암질특성과 채석산지 조사연구. 97쪽.
  11. 한승희, 배연성, 배상호. 2006. 문화재 원형복원을 위한 수치사진측량과 광학스캐닝기법의 응용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5D):869-876.
  12. 홍세선, 윤현수, 이진영, 이병태, 이효민, 송치영. 2006. 종묘 어도박석 화강암의 재질특성 연구. 암석학회지 15(3):139-153.

Cited by

  1. 웹을 이용한 비지정 문화재 관리 시스템 구축 - 경주 남산 지역을 중심으로 - vol.15, pp.4,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4.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