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Walking Environment Using GIS Method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GIS기법을 이용한 근린주구 보행환경평가 -창원시를 사례지역으로-

  • Park, Kyung-Hu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Byeon, Ji-Hye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9.08
  • Accepted : 2010.10.31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research tried to suggest a method of DB construction in the field using evaluation variables and Mobile GIS focusing on Changwon City as a leading study to encourage walking and biking in everyday life. First, twenty evaluation variables of WEs(walking environme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lso scored separately. Second, the field survey-DB of each variable was built effectively using Mobile GIS. Finally, WEs were evaluated synthetically based on the obtained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While the WE of the zones located in the fringe of Changwon square were generally got a high score as over 42, other zones located in detached or row house area were evaluated relatively highly bad. Findings from this research will help in determining the zone required improvement of WEs or easy access to main destination such as a park, shopping center, school, etc. and also selecting variables of WEs, needed an intensive improvement, in the selected zone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field and questionnaire survey. Furthermore, those will be used as a means of decision making support for planing, designing and maintaining of WEs to promote people's physical activity in their daily lives.

본 연구는 창원시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걷기와 자전거 타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Mobile GIS를 활용한 현장에서의 보행환경 DB 구축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문헌연구를 통하여 총 20개의 보행환경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항목별 평가점수 부여방식을 정립하였고, Mobile GIS 기법을 활용하여 각 조사항목의 DB를 효과적으로 구축하였다. 그 결과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보행환경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창원광장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역의 종합점수가 42점 이상으로 다른 구역에 비해 양호한 보행환경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단독 및 연립주택 중심의 주거지역에서는 보행환경이 상대적으로 매우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지역과 주요 목적지인 공원, 쇼핑시설, 학교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구간을 전략적으로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행환경개선 지역 또는 구간이 결정되면, 현장조사 결과 및 지역주민의 보행환경 인식조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보행환경 요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일상생활 속에서 시민들의 신체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행환경계획 및 설계, 그리고 유지 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의사결정지원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 2008. 보행환경 만족도 연구. 21-54쪽.
  2. 국토연구원. 2006. 근린주구 보행활성화를 위한 보행친화적 환경요소의 계량화: 주거지역의 보행친화도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15-38쪽.
  3. 김영욱, 신행우. 2007.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 특성에 관한 연구: 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과 보행량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 8(3):83-94.
  4. 김용수, 김수봉, 강신용, 권기찬, 임원현, 조용기. 1997. 도시 Amenity 증진을 위한 가로공간 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121-130.
  5. 김정열. 1998.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가로시설물 디자인의 컨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공예학과 석사학위논문. 1-101쪽.
  6. 김태호, 이기영, 박제진. 2009. 보행자의 인식 서비스수준에 대한 요인분석. 서울도시연구 10(2):161-173.
  7. 박경훈, 박종완, 정성관, 유주한. 2007. 걷기활동 증진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의 개발. 한국환경과학회지 16(11):1231-1238.
  8.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2008.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1):161-172.
  9.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김준형. 2009. 주거지 보행환경 인지가 생활권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8):253-261.
  10. 박종완. 2006. 걷기활동 증진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평가지표 선정 및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5-61쪽.
  11. 변지혜, 박경훈, 최상록. 2010.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해시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조경학회 37(6):57-65.
  12. 심종혁. 2002. 가로환경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경관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김해시 가락로의 가로변건축물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50쪽.
  13. 이상규. 2001. 도심 상업지역 가로 이용자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쪽.
  14. 이상준. 2001. 광주광역시 보행환경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환경연구 6(1):11-21.
  15. 이영환, 한삼건. 1999. 경주 구시가지 상업지역 가로경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2):745-750.
  16. 이인성, 김현옥. 1998. 도시주거지 보행경로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GIS를 이용한 보행환경 만족의 분석. 국토계획 33(5):117-129.
  17. 최강림. 2008. 도시상업가로 보행환경의 현황분석과 개선방향 연구: 인천시 주요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4(12):237-248.
  18. 탁형렬. 2002. 일산신도시 보행자 전용도로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평가.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68쪽.
  19. Ackerson, K.J. 2005. A GIS Approach to Evaluating Streetscape and Neighborhood Walkability. Master Thesis, University of Oregon.
  20. Cervero, R. and K. Kockelman. 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2:199-219. https://doi.org/10.1016/S1361-9209(97)00009-6
  21. Clifton, K.J., A.D. Livi and D. Rodriguez. 2006.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audit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83:1-16.
  22. Giles-Corti, B., A. Timperio, H. Cutt, T. Pikora, F. Bull, M. Knuiman, M. Bulsara, K. Van Niel and T. Shilton. 2006. Development of a reliable measure of walking within and outside the local neighbourhood: RESIDE's neighborhood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Preventive Medicine 42:455-459. https://doi.org/10.1016/j.ypmed.2006.01.019
  23. Lee, C. and A.V. Moudon. 2004. Physical activity and environment research in the health field: implication for urba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9(2):147-181. https://doi.org/10.1177/0885412204267680
  24. Lee, C. 2004. Activity-Friendly Communities: Physical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Biking and Their Policy. Ph.D.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pp.51-127.
  25. Moudon, A.V. and C. Lee. 2003. Walking and Bicycl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21-37. https://doi.org/10.4278/0890-1171-18.1.21
  26. Pikora, T., B. Giles-Corti, F. Bull, K. Jamrozik and R. Donovan. 2003.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cycling. Social Science & Medicine 56:1693-1703.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163-6
  27. Pikora, T.J., F.C. Bull, K. Jamrozik, M. Knuiman, B. Giles-Corti and R.J. Donovan. 2002. Developing a reliable audit instrument to measure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3(3):187-194. https://doi.org/10.1016/S0749-3797(02)00498-1
  28. Saelens, B., J. Sallis, J. Black and D. Chen. 2003. Neighborhood-based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 environment scale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1552-1558. https://doi.org/10.2105/AJPH.93.9.1552
  29. Tilt, J.H., T.M. Unfried and B. Roca. 2007.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of neighborhood greenness and accessible destinations for understanding walking trips and BMI in Seattle, Washingt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1(4):371-379. https://doi.org/10.4278/0890-1171-21.4s.371

Cited by

  1. 초등학교 주변 물리적 환경이 보행안전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vol.15, pp.2,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