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IS-Based Analysis of the Debris Flow Occurrence Possibility Using an Airborne LiDAR DEM around Pyeongchang-Gun, Kangwon-Do

항공라이다 DEM을 이용한 강원도 평창군 일원의 GIS 기반의 토석류 발생가능성 분석

  • Lee, In-Ji (Dept. of Geoinformatics Engineering,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Ha (College of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Suh, Yong-Cheol (Dept. of Geoinformatics Engineering,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이인지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이동하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
  • 서용철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Received : 2010.09.06
  • Accepted : 2010.11.1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GIS-based debris flow simulation using the high-resolution airborne LiDAR DEM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ective and resonable debris prevention plans in Korea. To do so, we set a study area to an specific region over Pyeochang-gun in Kangwon-do which showed the extreme rugged distribution of topography and simulated a possibility of debris flow occurrence in this area using a GIS-based numerical simul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After that, we also performed the debris flow simulation by SINMAP and geomorphic analysis method in the same region and compared each result with that of GIS-based debris simulation for verifying the reliability.

본 논문에서는 보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토석류 방재대책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고정밀 LiDAR DEM을 이용한 GIS 기반의 토석류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시하였다. 매우 극단적인 산악지형 분포를 보이는 강원도 평창군 일원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유한차분법을 적용한 GIS 기반의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토석류의 발생 가능성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후 해석된 토석류 시뮬레이션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일한 대상지역에 대하여 SINMAP 및 지형해석 방법에 의한 토석류 해석을 수행하고, 그 해석결과를 본 연구에서 제안된 GIS 기반의 토석류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2003.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사면붕괴 재해연구.
  2. 소방방재청. 2008. 2007년 재해연보.
  3. 유남재, 전상현, 박남선. 2008. 강원도 토석류 산사태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28(A):3-10.
  4. 유병옥, 장범수, 최승일, 최우경. 2006. 고속도로변 토석류 피해발생 및 대책. 한국지반환경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115-127.
  5.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59-73.
  6. 위광재, 이영균, 이동하, 서용철. 2010. GIS 기반의 토석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0(1):49-55.
  7. 이동하, 김영섭, 서용철. 2009a. 고해상도 항공라이다 DEM 해석을 통한 강원도 일원의 산사태 예측 가능성 분석. 한국GIS학회지 17(3):381-387.
  8. 이동하, 이영균, 서용철. 2009b.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한 대용량 DEM 프로세싱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4):61-66.
  9. 이사로, 최위찬, 장범수. 2002. 지질구조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GIS학회지 10(2):247-261.
  10. 장현익, 김경석, 이상돈, 유병옥. 2008. 영동고속도로 토석류 SINMAP해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2972-2975.
  11. 전병희, 장창덕, 김남규. 2010.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에 의한 침식, 퇴적량 측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54-63.
  12. 조홍동, 배우석. 2007. 최근 국내 토석류의 발생과 방재대책.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지반환경 8(3):6-10.
  13.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2004. GIS를 이용한 홍수 시 고속도로 사면붕괴 특성평가 연구.
  14. Burrough, P.A. and R.A. McDonnell.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5. Carrara, A. and F. Guzzetti. 1999. Use of GIS technology in the prediction and monitoring of landslide hazard. Natural Hazards 20:117-135. https://doi.org/10.1023/A:1008097111310
  16. Glenn, N.F., D.R. Streutker, D.J. Chadwick, G.D. Thackray and S.J. Dorsch. 2006. Analysis of LiDAR-derived topographic information for characterizing and differentiating landslide morphology and activity. Geomorphology 73:131-148.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07.006
  17. Guth, P.L. 2003. Eigenvector analysis of digital elevation model in a GIS: geomorphometry and quality control. In: I.S. Evans et al.(eds.). Concepts and Modeling in Geomorphology: International Perspectives. TERRAPUB, Tokyo, Japan, pp.199-220.
  18. Kasai, M., M. Ikeda, T. Asahina and K. Fujisawa. 2009. LiDAR-derived DEM evaluation of deep-seated landslides in a steep and rocky region of Japan. Geomorphology 113:57-69.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9.06.004
  19. Lorenzini, G. and N. Mazza. 2004. Debris flow : phenomenology and rheological modelling. WIT Press.
  20. McKean, J. and J. Roering. 2004. Objective landslide detection and surface morphology mapping using high-resolution airborne laser altimetry. Geomorphology 57:331-351. https://doi.org/10.1016/S0169-555X(03)00164-8
  21. Pack, R.T., D.G. Tarboton and C.N. Goodwin. 1998. The SINMAP approach to terrain stability mapping. In: D.P. Moore and O. Hungr, Editors, 8th Congress of IAEG vol. 2, Balkema, The Netherlands, pp.1157–1165.
  22. Rickenmann, D., D. Laigle, B. McArdell and J. Hubl. 2006. Comparison of 2D debris-flow simulation models with field events. Computational Geosciences 10:241-264. https://doi.org/10.1007/s10596-005-9021-3
  23. Wang, C., S. Li and T. Esaki. 2008. GIS-based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rainfall-induced debris flow.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 8:47-58. https://doi.org/10.5194/nhess-8-47-2008
  24. Woodcock, N.H. 1977. Specification of fabric shapes using an eigenvalue method.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8:1231-1236. https://doi.org/10.1130/0016-7606(1977)88<1231:SOFSUA>2.0.CO;2
  25. WP/WLI (International Geotechnical Societies UNESCO Working Party on World Landslide Inventory). 1990. A suggested method for reporting a landslide.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41:5-12. https://doi.org/10.1007/BF0259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