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riving the Declining Areas and Analysing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Us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asure

쇠퇴지역 도출 및 공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공간적 자기상관을 이용하여 -

  • Yun, Jeong-Mi (Regional Policy Research Division,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
  • Seo, Kyung-Chon (Urban Planning Division, Busan Metropolitan City)
  • 윤정미 (충남발전연구원 지역정책연구부) ;
  • 서경천 (부산광역시 도시계획과)
  • Received : 2010.05.27
  • Accepted : 2010.08.2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o draw the declining areas from the whole area of Chung-Cheong Province. For this purpose, the temporal and spatial conditions by the urban decline diagnosis indexes are utilized. Additionally,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was applied for extraction of those areas.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is one of the methods on exploring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the spatial factors. We also adopted the concepts of economics and then discovered the characteristics of deprivation areas. In applying this method, the positively valued areas were classified as the complementary areas, and the negatively valued areas as the substitutional areas. The findings show the declining areas and the growing areas caused by the growth of periphery. This study supports the regeneration plan of Chung-Cheong Province in extracting depressed or activated areas and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areas.

본 연구는 충청권을 대상으로 공간특성을 분석하고 쇠퇴지역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쇠퇴지역 도출을 위해 쇠퇴지표를 선정하고 충청권의 시 공간적 지표자료를 가공하여 공간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쇠퇴지역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공간적 자기상관을 적용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은 '공간'이라는 요인을 고려하여 공간특성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쇠퇴지역의 특성 도출을 위해 경제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정(+)의 값을 가지는 지역은 보완지역으로 부(-)의 값을 가지는 지역은 대체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주변지역의 성장으로 인해 쇠퇴되는 지역과 주변지역의 성장으로 인해 함께 성장하는 지역 등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권 시 군의 쇠퇴지역 도출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생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구. 2003. 공간자기상관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1): 273-294.
  2. 김석순, 하창현. 2007. 마창진 광역도시권의 내부인구이동 특성. 경남발전연구원 경남발전 86:48-65.
  3. 김영, 하창현, 안정근. 2004.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이용한 지방 연담도시의 도시공간구조 비교분석 및 상호작용분석.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9(6):7-24.
  4. 김일주. 2008. 신시가지 개발로 인한 천안시 중심시가지 쇠퇴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3쪽.
  5. 김정희. 2009.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쪽.
  6. 변태근. 2003. 공간 상호작용에 의한 지역 경쟁 및 보완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16쪽.
  7. 서경천. 2002. 공간적 영향을 고려한 지가추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65쪽.
  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 도시쇠퇴 실태조사 및 해외도시재생 시스템 조사․분석. 4차년도 중간보고서 49쪽.
  9. 윤정미, 서경천. 2009. 충청남도 중소도시 쇠퇴특성 분석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2쪽, 11-12쪽.
  10. 장희순, 송상열. 2006. 비성장형도시의 쇠퇴원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국토연구 5:39-57.
  11. 정대영. 2009. 공간자기상관기법을 이용한 근린상권의 공간특성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1):141-147.
  12.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허선영. 2009.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19.
  13. 조진희. 2009. 도시쇠퇴 수준 및 특성 유형화.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쪽.
  14. 조화섭. 2009. 진주시 도심지역의 쇠퇴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3쪽.
  15. 최현우, 김계현, 이철용. 2007. 해양환경 공간 분포 패턴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64.
  16. 하창현. 2005.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이용한 연담도시권의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18쪽.
  17. 한상욱. 2009. 지방중소도시의 복합쇠퇴 비교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22쪽.
  18. Anselin, L. and A.K. Bera. 1998.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in Aman Ullah and David Giles(ed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New York. pp.237-289.

Cited by

  1. GIS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NDVI 분포특성 분석 vol.16, pp.3, 2010, https://doi.org/10.34272/forest.2012.16.3.012
  2. 외국인 관광객 리뷰데이터를 활용한 토픽모델링 기반의 공간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vol.19, pp.8, 2010, https://doi.org/10.14400/jdc.2021.19.8.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