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oot Mean Square for Parameter Setting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 Lee, Hyung-Seok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zhong Universtiy)
  • 이형석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6.16
  • Accepted : 2010.08.1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errors of variou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used to model values at unmeasured locations was compared and the accuracy of these predictions was evaluated. The root mean square (RMS) was calculated by processing different parameters associated with spatial interpolation by using techniques such as inverse distance weighting, kriging, local polynomial interpolation and radial basis function to known elevation data of the east coastal area under the same condition. As a result, a circular model of simple kriging reached the smallest RMS value. Prediction map using the multiquadric method of a radial basis function was coincident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btained by constructing a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of the study area through the raster mathematics. In addition, better interpolation results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optimal power value provided under the selected condition.

본 연구는 미측정점의 값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공간보간방법들의 예측오차를 비교하고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동해안 해안 지역의 표고점을 대상으로 역거리가중법, 크리깅, 지역 다항식보간법, 방사기반함수의 공간보간법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을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행하여 평균제곱근을 산출한 결과, 단순 크리깅 방법의 원형 모델이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래스터의 연산 결과, 방사기반함수의 다중방정식에 의한 예측 지도가 대상 지역의 불규칙삼각망 표현과 일치정도가 높았다. 또한 공간보간 실행시 선택된 조건하에서 제공되는 최적 파워값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 보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운용, 김천영, 이현우. 2001. DTM 보간기법별 토공량 산정과 지형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9(1):39-47.
  2. 백승아, 이태정, 김신도, 김동술. 2008. 서울지역 라돈농도의 분포예측을 위한 공간분석법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5):538-550.
  3. 이동천, 배경호, 유근홍. 2009. 3차원 수치지도 생성을 위한 지형공간 데이터 모델링. 한국측량학회지 27(3):393-400.
  4. 이민아, 이우균, 송철철, 이준학, 최현아, 김태민. 2007.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 변화예측 및 변이성. 한국 GIS 학회지 15(3):267-278.
  5. 이용신, 나유진, 방준세. 2009. 낙동강유역 면적 평균강우량 산정 기법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948-952쪽.
  6. 유시동, 김홍택, 송병웅, 이형규. 2005. 지리정보시스템 및 표준관입시험 결과를 이용한 비소성 실트질 지반의 액상화 평가.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6(2):5-14.
  7. 조홍래, 정종철. 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 GIS 학회지 14(1):29-41.
  8. 조홍래, 정종철. 2006. GIS를 이용한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GIS 학회지 14(2):223-234.
  9. 조홍래, 정종철. 2007.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환경자료의 지도화. 2007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73-279쪽.
  10. 최광희, 윤광성, 김종욱. 2006.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하논화산의 화구호 복원. 대한지리학회지 41(4):391-403.
  11. ESRI. 2001.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Statistical Tools for Data Exploration, Modeling and Advanced Surface Generation. An ESRI White Paper pp.7-9.
  12. ESRI. 2003. ArcGIS 9 Using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pp.300.
  13. Naoum, S. and I.K. Tsanis. 2004. Ranking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using a GIS-based DSS. Global Nest: the International Journal 6(1):1-20.
  14. Skelly, W. C. 1993. Spatial interpolation: getting a realistic estimate of general circulation model precipitation. Exchange Processes at the Land Surface for a Range of Space and Time Scales(Proceedings of the Yokohama Symposium, July 1993), LAHS Publ. 212:603-610.

Cited by

  1. 남한 강수량 분포 추정을 위한 PRISM 매개변수 및 수치표고모형 최적화 vol.15, pp.3,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036
  2.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이용한 제천시의 이산화탄소 분포 추정 vol.19, pp.2, 2010, https://doi.org/10.7851/ksrp.2013.19.2.121
  3. Evaluating accuracy of tidal datum level using spatial interpolation vol.24, pp.6, 2010, https://doi.org/10.1007/s41324-016-00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