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Photovoltaic Facility Locat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 Kim, Ho-Yong (Department of Civi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호용 (미주리대학교 토목.건축.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5.03
  • Accepted : 2010.06.23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ccuracy of calculation and estimation of solar radiation and duration of sunshine,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n deciding the location of photovoltaic facilities effici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new and renewable energies, research on solar energy is also being conducted actively, bu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the location of photovoltaic facilities. Thus, this study calculated solar duration and solar radiation based on geographical factors, which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olar energy in GIS environment, and corrected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diffuse radiation. Moreover, we performed ordinary kriging, a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estimating values for parts deviating from the spatial resolution of input data, and used variogram, which can determine the spatial interrelation and continuity of data, in order to estimate accurate values. In the course, we compared the values of variogram factors and estimates from applicable variogram models, and selected the model with the lowest error rate. This method is considered helpful to accurate decision making on the location of photovoltaic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 태양광발전시설의 입지를 위하여 가장 큰 변수인 일사량 및 일조시간의 계산 및 추정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하여 태양에너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태양광발전시설의 입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환경에서 태양에너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지리적 요인을 대상으로 일조시간 및 일조량을 계산하였으며, 이 때 산란 일사량을 이용하여 분석 결과를 보정하였다. 또한 입력 데이터가 제공하는 공간해상력을 벗어나는 부분에 대한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공간통계분석방법인 정규 크리깅을 수행하였으며, 정확한 값을 추정하기 위해 데이터들의 공간적 상호관계와 연속성을 파악할 수 있는 베리오그램을 이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리오그램 인자 값 및 적용 가능한 베리오그램 모델의 추정치 비교를 통하여, 오차율이 가장 작은 모델을 선정하였다. 이는 정확한 태양광발전시설의 입지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8. 태양에너지 최적 활용을 위한 기상자원 분석 보고서.
  2.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지 43(6):1002-1015.
  3. 부경온, 권원태, 조주영, 양진관. 2005. 한반도 일조시간과 일사 관측 자료의 공간 상관성 분석. 기상기술 1:33-41.
  4. 신용선, 정래혁, 고재환, 전종택. 2008. 우리나라 대용량 태양광발전 현황 및 이용률 분석. 대한전기학회 전력기불부문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5. 이정택, 윤성호, 박무언. 1995. 우리나라의 계절별 일조시간과 기온의 상관관계 및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4:155-162.
  6. 조덕기, 강용혁. 2006. 국내 고집광 태양에너지 이용시스템 설치를 위한 법선면 직달일사량과 청명일 정밀조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53-62쪽.
  7. 최원기, 서승직. 2006. 태양에너지 분야의 연구 동향 개관.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135-146쪽.
  8. 최종근. 2002. 공간정보모델링: 크리깅과 최적화 기법. 구미서관, 서울. 289쪽.
  9. 황진욱, 김호용, 이성호. 2006. 해양오염도 분석을 위한 연안 정점 데이터의 활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71-80.
  10. Fu, P. and P.M. Rich. 2000. The Solar Analyst users manual. Helios Environmental Modeling Institute (HEMI), USA.
  11. Fu, P. and P.M. Rich. 2002. A geometric solar radiation model with application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37:25-35. https://doi.org/10.1016/S0168-1699(02)00115-1
  12. Issacx, E.H. and M. Sivastava. 1989. An Introduction to Applied Geostatis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146.
  13. Park, S. 2009. Estimating Air Temperature over Mountainous Terrain by Combining Hypertemporal Satellite LST Data and Multivariate Geostatistical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2):105-121.
  14. Rich, P.M. 1990. Characterising plant canopies with hemispherical photographs. Remote Sens. Rev. 5, pp.13-29.
  15. Rich, P.M., R. Dubayah, W.A. Hetrick and S.C. Saving. 1994. Using Viewshed models to calculate intercepted solar radiation: applications in ecology. American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Technical Papers, pp.524-529.

Cited by

  1. GIS Simulation을 이용한 태양광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지역 분석 vol.13, pp.4,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4.091
  2.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vol.13, pp.4,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4.138
  3. 전파특성실험과 GIS를 이용한 센서노드배치시스템 vol.14, pp.4,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4.150
  4. 남한 강수량 분포 추정을 위한 PRISM 매개변수 및 수치표고모형 최적화 vol.15, pp.3,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036
  5. 빈도분석을 통한 온실의 설계 적설심 평가 vol.16, pp.1, 2010,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1.247
  6. 효율성 측면에서 태양광 에너지 시설 최적입지에 관한 연구 vol.18, pp.7,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