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of Coastal Sand Dunes in Yangyang Using Aerial Photographs

항공사진을 활용한 양양 해안사구 지역의 토지피복 변천 분석

  • Han, Gab-Soo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Kim, Kyeong-Nam (Green Growth Policy,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 한갑수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김경남 (강원발전연구원 녹색정책실)
  • Received : 2010.04.28
  • Accepted : 2010.06.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boundary of the coastal sand dunes and to analyze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 types using aerial photographs on Osan and Dongho coastal sand dunes in Yangyang. The boundaries of sand dunes were established using digital soil map, and land cover maps were made for each year using aerial photographs. As results of analysis, both beach and farmland areas have been decreased, since 1974 and forest area was relatively increased due to planting and forest growth. Facilities and bare land have been greatly increased since 1992. Loss of wetland, and beach due to these changes had an impact on the ecosystem destruction of sand dunes.

본 연구의 목적은 양양지역에 위치하는 오산사구 및 동호사구를 대상으로 사구지역의 범위를 설정하고,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계열적 토지피복의 변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토양도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구지역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시기별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토지피복의 분석결과, 오산사구 및 동호사구 모두 1974년 이래 해빈과 농경지의 면적이 계속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지 면적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해빈에서의 수목식재와 산림면적의 자연적인 증가에 기인한 것이었다. 한편, 시설지와 나지는 전 시기에 걸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992년 이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습지, 해빈 등의 감소로 이어져 사구생태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균. 2003. 지역개발과 주민생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충청남조의 비치와 해안사구를 사례로-. 환경영향평가 12(4):291-302.
  2. 강준묵, 강영미, 이주대. 2005.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서해안 지형 변화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13(2):13-20.
  3. 박경, 장은미. 2002. GIS기술과 현지 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안사구 변화 탐지. 대한지리학회지 37(5):511-521.
  4. 박의준, 구자용. 2003.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안습지 지형경관 변화 분석의 효율성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38(5):822-834.
  5. 변무섭, 박준모. 2002. 우이도 사구의 식물상 및 비오톱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93-101.
  6. 서동조, 박종화, 조용현. 1999. 항공비디오와 Landsat-TM 자료를 이용한 지피의 분류와 평가 -태안 해안국립공원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7(3):131-136.
  7. 손명원, 서종철, 전영권. 2002. 칠보 연안의 해안 지형시스템의 특성. 지리학연구 36(3):227-237.
  8. 송호경, 박관수, 박혜림, 서은경, 소순구, 김무열. 2005.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6):59-68.
  9. 양지연, 최철웅. 2006.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안지형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101-115.
  10. 오치영, 박소영, 김형석, 이양원, 최철웅. 2010.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토지피복분류와 정확도 비교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89-100.
  11. 최지연. 2005. 신두리 해안사구를 둘러싼 갈등 분석. 해양수산 246:5-15.
  12. 최철웅, 심영섭. 2001. 수치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운대해수욕장 해안선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4):39-50.
  13. 최희경. 2010. 동해안 사구의 보전현황 평가.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136쪽.
  14. 태안군. 2004. 신두사구 보전 및 활용방안. 39-40쪽.
  15. 환경부. 2002. 해안사구 보전.관리지침. 1-6쪽.
  16.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2004. 전국해안사구 정밀보고서(I). 7-12쪽.
  17. Van der Maarel, E. 1971. Plant and species diversity in relation to management. In E. Duffey and A.S. Watt (eds.),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Animal and Plant Communities for Conserva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Oxford, pp.45-63.
  18. Wilson, E.O. 1988. Biodivers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521pp.

Cited by

  1.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야산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vol.13, pp.3,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3.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