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시 도시공원 공급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이동현 (부산발전연구원 도시창조본부) ;
  • 이경주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Received : 2010.01.22
  • Accepted : 2010.03.22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level of urban park service provision in comparison to demand population size by region (e.g., dong) in Busan metropolitan areas. To this end, a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dex is utilized. The index is built upon the difference between planned and actual levels of park service provision. For each region, planned level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 capita service amount by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at region. Actual level is estimated based on Huff model, where distance between parks and residential locations are explicitly accounted for in model building.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Bus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shows that Gumsung-dong, Chunga-dong and Dongdaesin3-dong are well supplied with park service, while Hadan1-dong, Goejung2-dong and Joorae3-dong are under-provided when per capita service provision amount and the extent of service area are set to $6m^2$ and 1km, respectively. It is argued that those regions that suffer from under-provision need to be highlighted such that a priority is given to those areas for establishing new urban parks when renewing urban management plan.

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요 도시기반시설인 도시공원 서비스가 지역별로 적정하게 공급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공원 서비스 공급적정성 평가지수를 활용하는데, 이 지수는 기본적으로 계획공급량과 실제공급량 간 차이 값을 바탕으로 구성된다. 계획공급량은 지역별 인구수에 관련 법령이나 시행규칙 등에 명시된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을 곱하여 산정하며, 실제공급량은 허프모형(Huff model)을 변형한 식을 바탕으로 추정한다.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하는 실증분석 결과 1인당 도시공원면적 기준을 $6m^2$, 공급권역을 1,000m로 설정할 경우, 금성동, 천가동, 동대신3동 등의 공급이 양호한 반면, 하단1동, 괴정2동, 주례3동 등의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 지역에 대해서는 도시관리계획 등을 수립할 때, 공원 신설 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공원시설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부산광역시. 도시공원현황-내부자료. 2008.
  2. 오규식, 정승현. 2005. GIS 분석에 의한 도시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국토계획 40:189-203.
  3. 이양재 외. 1995. 도시기반시설 수준의 평가와 공급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7(1):27-36.
  4. 이경주 외. 2009. 근린공원 입지계획지원을 위한 공급적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3:107-122.
  5. 이동현 외. 2007. 경관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높이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132-141.
  6. 이동현 외. 2008. 부산시 최저고도지구 실태 및 기준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51-60.
  7. 이동현 외. 2009. 부산시 도시기반시설 공급수준 평가 및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8. Huff, D. L. 1963. "A probabilistic analysis of shopping cemter trade areas", Land Economics vol. 39. Wisconsin :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pp81-90. https://doi.org/10.2307/3144521
  9. Morris, D. E. 2005. It's a sprawl world after all. Gabriola Island (CA) : New Society Publishers.
  10. Murray, A.T., and D. Tong. 2007. "Coverage optimization in continuous space facility s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vol. 21, pp.757-776. https://doi.org/10.1080/13658810601169857

Cited by

  1.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정성 평가 vol.39, pp.4, 2011, https://doi.org/10.9715/kila.2011.39.4.018
  2.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vol.14, pp.4,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4.221
  3.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권역 설정 -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 vol.15, pp.2,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2.126
  4. 지리정보분석시스템을 활용한 공공서비스로서의 도시공원 입지특성 평가 -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 vol.22, pp.3, 2013, https://doi.org/10.14249/eia.2013.22.3.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