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D Inundation Analysis According to Post-Spacing Density of DEMs from LiDAR Using GIS

GIS를 활용한 LiDAR 자료의 밀도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

  • Ha, Chang-Yong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Kun-Yeun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Wan-Hee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하창용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한건연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조완희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Received : 2009.12.29
  • Accepted : 2010.03.04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points of LiDAR were modified in order to generate various DEM resolutions by applying LiDAR data in Ulsan. Since the LiDAR data have points with 1m intervals, the number of points for each resolution was modified to the size of 1, 5, 10, 30, 50, 100m by uniformly eliminating the points. A runoff analysis was performed on Taehwa river and its tributary, Dongcheon, with 200 year rainfall exceedance probability.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ensity of LiDAR data using FLUMEN, which was used to establish domestic flood risk map. Once DEM data obtained from LiDAR survey are use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data in determining optimal grid spacing, which is economical, effective and accurate in establishing flood defence plans including the creation of flood risk map.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에 대한 LiDAR 자료를 적용하여 각각의 해상도에 따른 다양한 DEM을 생성하기 위해 격자내의 LiDAR 포인트의 수를 조절하였다. 기본적인 LiDAR 자료는 1m 간격의 포인트를 가지므로, 등간격으로 포인트를 제거해 1, 5, 10, 30, 50, 100m의 크기로 해상도에 따른 포인트의 수를 조절하여 침수해석의 지형자료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 태화강과 그 지류인 동천유역을 대상으로 2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실시하였으며, 국내의 홍수위험지도 사업에 적용되었던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인 FLUMEN 모형을 적용한 침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LiDAR 자료의 밀도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LiDAR 측량으로 얻어진 DEM자료를 사용할 때, 침수양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비롯한 홍수방어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며 정확성을 유지하는 최적의 격자공간밀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8. 홍수위험지도 기본계획 보완 보고서.
  2. 강수만, 박민지, 김상호, 김성준. 2007. 홍수범람 해석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6B):583-590.
  3. 배용훈, 고덕구, 조용식. 2005. FLUMEN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8(5):355-364.
  4. 신영호, 고덕구, 정관수, 조효섭. 2003.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홍수지도 제작 연구. 2003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576-2580쪽.
  5. 유재홍, 조용식. 2005. 구리지역의 홍수범람해석. 2005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174-1178쪽.
  6. 이근상, 고덕구, 채효석, 신영호. 2003. 항공레이저측량 자료의 해상도에 따른 DEM 오차 비교평가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33-42.
  7. 이근상, 고덕구, 김우구. 2004.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1):52-61.
  8. Bates, P.D., M. Horrit and J.M. Hervouet. 1999. Investigating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Predictions of Floodplain Inundation using Fractal generated Topography. High Resolution Flow Modelling in Hydrology and Geomorphology. John Wiley & Sons. 181-201.
  9. Cobby, D.M., D.C. Mason and I.J. Davenport. 1999. Image processing of airborne scanning laser altimetry data for improved river flood modelling.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56:121-138.
  10. Hill, J.H., Graham, L.A., Henry, R.J., Cotter, D. M., Ding, A. and Young, D. 2000. Wide area topographic mapping and applications using airborne lidar detection and ranging technolog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6(8):908-914.
  11. Hodgson, M.E., J.R. Jensen, L. Schmidt, S. Schill and B. Davis. 2003. An Evaluation of LIDAR- and IFSAR- derived Digital Elevation Models in Leaf-on Conditions with USGS Level 1 and Level 2 DEM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4:295-308. https://doi.org/10.1016/S0034-4257(02)00114-1
  12. Kenward, T., D.P. Lettenmaier, E.F. Wood and E. Fielding. 2000. Effects of Digital Elevation Model Accuracy on Hydrologic Predic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4:432-444. https://doi.org/10.1016/S0034-4257(00)00136-X

Cited by

  1. GIS를 활용한 2차원 침수해석에서의 건물영향 분석 vol.13, pp.2,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2.119
  2. 지표 건물이 도시유역의 침수특성에 미치는 영향 vol.22, pp.1, 2013, https://doi.org/10.14249/eia.2013.22.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