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t the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Heoninlleung in Seoul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헌인릉의 관속식물 분포

  • Kim, Kun-Ok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Hong, Sun-Hee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Yong-Ho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Na, Chae-Sun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ang, Byeung-Hoa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Son, Yo-Whan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김건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홍선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용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나채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강병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손요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o clarify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in Heoninlleung,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of Seoul, we investigated it from April, 2006 to June, 2009. Total 313 taxa; 68 families, 191 genera, 264 species, 41 varieties and 8 forma were distributed in Heoninlleung. Among them, 37 taxa were highly abundant everywhere (3A), 16 taxa were highly abundant locally (3B), 70 taxa were moderately abundant everywhere (2A), 96 taxa were common in certain regions locally (2B), 9 taxa were rare but observed everywhere with low frequency (2A) and 85 taxa were rare and observed locally (1B). The economic plants were 293 taxa. There were 156 taxa of edible source, 223 taxa of medicinal source, 141 taxa of ornamental source, 69 taxa of pastoral source, 12 taxa of industrial, and 8 taxa of timber source. Twelve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b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Ministry of Environment, 2 rare species were found. The specific species of I~V grades by phytogeography were 19 taxa. And twentyfour taxa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ere distributed. Naturalization Index was 7.7% and Urbanization Index was 8.4% in the investigated area.

313분류군이며, 목본식물은 25과 51속 70종 9변종 7품종 86분류군(27.5%)이고, 초본식물은 43과 140속 194종 32변종 1품종 227분류군(72.5%)이 조사되었다. 초본식물 227분류군 중 일년생 초본은 42분류군(18.5%), 이년생 초본은 24분류군(10.6%), 다년생 161분류군(70.9%)가 분포한다. 2.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범위로 3A가 37분류군, 3B가 16분류군, 2A가 70분류군, 2B가 96분류군, 1A가 9분류군, 1B가 85분류군으로 분포하고 있다. 3. 자원식물은 293분류군이다. 유용성에 따라 식용자원 156분류군(49.8%), 약용자원 223분류군(71.2%), 관상자원 141분류군(45.1%), 초지자원 69분류군(22%), 공업원료자원 12분류군(3.8%), 목재자원 8분류군(2.6%)으로 나타났다. 4. 특산식물로는 10과 10속 9종 2변종 1품종 12분류군 (3.8%)이다. 5. 환경부의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미선나무와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위기종인 붓꽃과의 솔붓꽃이 조사되었다. 6. 식물구계학적인 특정식물종 V등급의 1종, IV등급의 1종, III등급의 5분류군, II등급의 3분류군, I등급의 9종으로 모두 19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7. 귀화식물은 10과 20속 23종 1변종으로 2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환경부의 자연환경 보전법에 의한 생태계 교란외래식물은 돼지풀과 서양등골나물 2분류군이 있다. 귀화율은 7.7%, 도시화지수는 8.4%로 분석되었다. 8. 귀화식물의 귀화도 5등급의 13분류군, 4등급의 1종, 3등급의 8분류군, 2등급의 1종, 1등급의 1종이 있다. 이입 시기로는 제1기 귀화식물 12분류군, 제 2기 귀화식물 3분류군, 제 3기 귀화식물 9분류군이 있다. 9. 원산지별 귀화식물로는 중국 1종이 있고, 유라시아 4분류군, 유럽 10종, 중북미 9분류군이 도입되었다. 생활형을 구분하여 일년생 초본은 7분류군, 이년생 초본은 5분류군, 다년생 초본은 10분류군이 있으며 목본으로는 2분류군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아카데미서적. 서울. 1482 pp.
  2. Good, R. 1974. The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4th ed.) Longman Group, London.
  3.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 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Japan. pp.160.
  4. 강병화. 2008.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 지오북. 서울. 1권 1344pp, 2권 1352pp, 3권 1000pp.
  5.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현황. 한국잡초학회 22(3): 207-226.
  6. 국립수목원. 2004.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7.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포천.
  8.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 수목원. 포천.
  9. 국립수목원. 2009.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 포천.
  10. 김기중, 김영동, 김주환, 박선주, 박종욱, 선병윤, 유기억, 최병희, 김상태. 2008. APG 분류체계에 따른 한국 관속식물상의 계통학적 분류. Korean J. Pl. Taxon. Vol. 38 No. 3. 197-222
  11.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408pp.
  12.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249pp.
  13. 박수현. 2009.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서울. 575pp.
  14.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서울. 184pp.
  15.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ser. 13.
  16. 이창복. 1982.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J. Natl. Acad. Sci. Vol. 11. sci. ser. vol. 11.
  17.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권 914 pp, 2권 910pp.
  18.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 (3-4): pp.69-83.
  19. 전승훈. 1997.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p.216.
  20. 환경부. 2005a. 한국의 고유종. 환경부. 서울. pp.324-417.
  21. 환경부. 2005b. 한국의 법정관리 동식물. http://nre.me.go.kr
  22.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pp.127-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