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e sequenced a 522 bp fragment including the $tRNA^{Thr}$, $tRNA^{Pro}$ gene and the first half of the control region from 29 wild and cultured olive flounder specimens from Korea. Out of 522 nucleotide sites, 49 (9.4%) were variable, 23 haplotypes being found. Most haplotypes are unique in the wild population and only four were shared by cultured specimins. The nucleotide diversity and differences between wild and cultured populations were $0.025{\pm}0.013$ and $0.015{\pm}0.008$, and $12.94{\pm}6.00$ and $7.83{\pm}3.75$, respectively. Haplotype diversity was $0.98{\pm}0.02$ and $0.49{\pm}0.09$ in the wild and cultured population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marked reductions of genetic variability in the hatchery strains were observed in the number of mitochondrial DNA haplotypes and haplotype diversity when compared to the wild populations. Furthermore, we detected significant population differentiation between both populations. The mtDNA sequencing technique used to evaluate the genetic variability of hatchery strains compared to that of the wild population is potential for genetic monitoring of olive flounder hatchery stocks.
우리나라의 주요 양식 대상 종이며, 년간 총 생산량 1위를 점하고 있는 넙치를 모델로 하여 양식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서식하고 있는 자연산 및 양식산 넙치 각 29개체를 사용하여, hypervariation 영역으로 알려진 tRNA ($tRNA^{Thr}$, $tRNA^{Pro}$) 영역과 control region의 앞부분까지의 522 bp에 대한 염기서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23개의 haplotype에서 522 bp의 염기 중 49곳(9.4%) 에서 변이가 나타났다. 대부분의 haplotype은 자연집단에서 유일하게 나타났으며, 오직 4개의 haplotype만이 양식집단에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사이에서는 유전적으로 유의한 집단분화가 발생하였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분석 기법은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뿐만 아니라 양식집단의 유전적 모니터링에 사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